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라오스 의료환경(2): 보건 이슈로 본 유망 진료분야
  • 트렌드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이혜림
  • 2013-04-22
  • 출처 : KOTRA

 

라오스 의료환경(2): 보건 이슈로 본 유망 진료분야

- 높은 산모·유아 사망률로 인해 모자보건 수요 증가 -

- 교통사고 급증, 24시간 응급실 수요 증가 -

- 종합병원 투자는 시기상조, 전문병원이나 중급병원 투자 추천 -

 

 

 

□ 라오스 주요 보건 이슈

 

 ○ 라오스 국민건강지표는 지속해서 개선되나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임. WHO에 따르면 1990년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은 1000명당 120명이었으나 2010년 61명으로 감소함. 기대수명은 같은 기간 51세에서 65세로 증가함.

 

라오스 주요 보건 이슈

보건 이슈

내용

전염병

- 질병과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은 뎅기열, 말라리아, 급성 호흡기 감염과 같은 전염성 질병

HIV·에이즈

- 15-49세 HIV 발병률은 0.2%

- HIV 발병률이 높은 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인구의 국내외 이동 증가로 인해 발병률 증가 예상

결핵

- 결핵 발병률은 10만 명당 151명으로, 총 8851건으로 추정

- 결핵 사망률은 10만 명 당 67명으로 총 3954건으로 추정

만성질환

- 매년 약 1만4000명이 만성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

- 만성질환 중 심혈관 질환,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음.

모자보건

- 2010년 산모 사망률은 신생아 10만 명당 470명으로 매우 높음.

- 2010년 병원에서 출산한 비율은 37.0%로 낮음.

- 유아 사망 원인은 일반적인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병으로 폐렴, 설사, 홍역 등임.

교통사고

- 라오스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010년 약 6만 건으로, 2000년 5900건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이상 증가

노인복지

- 라오스 인구의 5%가 60세 이상이며, 경제성장에 따라 노인인구도 증가할 전망

- 노령화 현상으로 실명 및 시각장애가 증가할 전망임. 50세 이상 인구의 13%가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3%는 실명한 상태

- 노인에 대한 보건 서비스가 필요

자료원: WHO 라오스 국가협력 전략보고서 2012~2015

 

 ○ 2011년 라오스 통계청 통계연감에 따르면 0~19세의 인구 비중은 49.1%이며, 그 중 0~9세 비중은 25.9%임. 영·유아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개선이 특히 중요함.

 

 ○ 또한, 라오스 정부가 의료정책에서 주안점을 두는 분야 역시 모자보건임. 모자보건은 라오스 정부의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최우선 과제 5가지 중 하나임.

 

라오스 정부의 밀레니엄 개발목표 5대 최우선 분야

자료원: 라오스 기획투자부(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 라오스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010년 약 6만 건으로 2000년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증가함. 라오스의 통계수치가 빈약하고 정확하지 않음을 감안할 때 경미한 교통사고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함. 교통사고 발생건수 증가로 응급실 수요 또한 증가함.

 

□ 보건 이슈로 본 유망 진료분야- ① 모자보건

 

 1) 모(母)- 라오스 산모가 위험하다

 

 ○ 라오스 산모 사망률은 신생아 10만 명당 470명으로 세계에서 모성보건이 가장 열악한 나라 중 하나임. 인접국 캄보디아 산모 사망률의 2배이며, 베트남 산모 사망률보다는 거의 8배나 높은 수치임.

 

 ○ 높은 산모 사망률의 주된 원인으로 임산부 건강검진, 병원 분만, 산후조리와 같은 주요 모성보건 서비스에 대한 낮은 이용임. 산모에 대한 열악한 의료서비스는 라오스 의료체계의 주요 문제임.

 

 ○ 중산층 이상의 라오스 산모는 자국 의료시설이 열악하기 때문에 태국과 같은 주변국 병원으로 가서 분만하는 것을 선호함. 특히, 제왕절개 같이 수술이 필요한 분만은 주변국 병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2) 자(子)- 라오스 영·유아가 위험하다

 

 ○ WHO가 발표한 2010 라오스 5세 미만 유아 1000명당 사망률은 61명으로, 라오스는 아세안 국가 중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임. 대부분 유아 사망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질환으로 폐렴, 설사, 홍역 등임.

 

 ○ 라오스 4개의 중앙병원에는 세계 각국 정부와 NGO로부터 받은 인큐베이터나 영·유아 응급기기가 있으나 작동법 미숙과 관리부족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임. 영·유아를 위한 응급시설이나 중환자 시설은 전무한 상황임.

 

 ○ 높은 산모 사망률과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을 고려할 때, 라오스에서 수준 높은 모자보건 의료 서비스가 절실함. 또한, 모자보건은 라오스 정부가 의료분야에서 특히 주안점을 두는 분야이므로 우리 병원의 진출이 유망함.

 

비엔티안에 있는 국립 모자병원(National Mother and Child Hospital)

 

□ 보건 이슈로 본 유망 진료분야- ② 24시간 응급실

 

 ○ 라오스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10년 약 6만 건으로 2000년 5900건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이상 증가함. 라오스는 오토바이 운행이 많으며, 많은 운전자가 교통법규 준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오토바이 사고가 빈번함. 교통사고 발생 시 라오스 응급실에 갔다가 태국 병원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음.

 

 ○ 비엔티안에 있는 3곳의 중앙병원에서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함. 그러나 의료장비가 미비하고 의사의 수준이 낮아 응급실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움. 야간에 교통사고를 당하면 라오스 응급실에서 아침까지 기다렸다가 태국 병원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음. (라오스-태국 국경은 밤 10시에 폐쇄)

 

 ○ 라오스는 인구의 32.1%가 고혈압 환자이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비율도 높음. 심혈관계 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을 경우 응급치료 및 수술을 받기 어려움.

 

 ○ 라오스에 거주하던 한국인이 밤에 교통사고를 당해 라오스 응급실을 전전하다가 사망한 사례도 있었음. 라오스에 높은 수준의 시설과 시스템을 갖춘 24시간 응급실이 운영된다면 태국으로 가는 수요를 흡수할 수 있고 인명피해도 줄일 수 있을 것임.

 

□ 전망 및 시사점

 

 ○ 라오스는 인구 680만으로 다른 아세안 국가에 비해 작은 시장임. 그러나 최근 5년간 연 8%대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 그러나 의료 수준이 낮고 시설이 낙후돼 환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함.

 

 ○ 열악한 의료시설과 불결한 위생환경 때문에 중산층 이상의 라오스인들은 태국 병원을 찾음. 특히, 생명과 직결된 산부인과, 24시간 응급실 등의 의료 수요가 매우 높음. 라오스는 작지만 경쟁이 없는 시장이라는 특징이 있음. 한국 병원이 먼저 진출한다면 후발주자보다 선점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의료분야에 대한 정부 지출은 2010년 기준 GDP 대비 4%로 낮은 수준이며, 주요 사망원인으로 예방 및 치료 가능한 전염병이 많음. 2012년 라오스 1인당 GDP는 약 1450달러로 작기 때문에 단기간에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시장은 아님.

 

 ○ 따라서 한국의 종합병원 수준은 아직 시기상조이지만, 전문병원이나 중급 프랜차이즈 수준의 병원 투자에는 기회가 있다고 판단됨. 한국 의료진이 상주하면서 한국 병원 수준의 시설과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태국으로 넘어가는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WHO 라오스 국가협력 전략보고서 2012~2015, 라오스 기획투자부, LLC Research and Analysis 2012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라오스 의료환경(2): 보건 이슈로 본 유망 진료분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