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정책] 남아공, 풍력에너지 시장진출의 문제점
  • 현장·인터뷰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장충식
  • 2010-02-24
  • 출처 : KOTRA

 

남아공, 풍력에너지 시장진출의 문제점

- Eskom의 자금난과 제도적 미비 -

 

 

 

□ 남아공의 풍력에너지 시장규모와 전망

 

 ○ IRP(Integrated Resource Plan)에 따르면, 남아공은 2013년까지 약 1만GWh를 목표로 함. MRPSA(Mainstream Renewable Power South Africa)사의 분석에 따르면, 향후 5년 이내에 5GW 용량의 풍력발전 설비로 확대돼 약 13TWh의 전력생산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남.

 

 ○ Research Channel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2월 기준 남아공 전력청(Eskom)은 풍력발전 에너지 관리를 위한 10,500㎿ 용량을 초과하는 전력계통망 신청을 받은 것으로 추정됨.

 

 ○ 남아공풍력발전협회 부회장(Mr. Mark Tanton)은 현재 신재생에너지의 촉진 현안인 PPA(Power Purchase Agreement)가 원만히 진행된다면, 최소 28개 풍력에너지 개발사업자들이 2013년까지 4000㎿ 용량의 설비를 증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풍력에너지 지역별 분포

    

 

□ 남아공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제약점

 

 ○ 남아공의 발전은 90% 이상의 석탄화력 발전소에 의존하는데, 풍부한 석탄 매장량과 광산과 밀착한 발전소의 지리적 특성상 석탄 운송비용이  발생하지 적어 저렴한 전기 생산 가능해 낮은 전기료에 전력을 공급해 왔음.

 

 ○ 그러나 발전설비 노후·발전설비 증설 필요성, 발전효율 증가를 위한 고품질 석탄 사용의 필요성 등을 이유로 최근 향후 3년간 매년 35%의 전기료 인상안을 제출한 상태임.

 

 ○ 특히 남아공이 경험한 2008년 제한송전 경험은 추가 화력발전소 건설 등의 빠른 추진의 동인이 됐으나, 최근 발전설비 건설자금 부족으로 신규 건설되는 Kusil, Medupi의 지분 매각해 건설비용 충당계획을 세우는 등 자금 사정이 악화된 상태임.

 

 ○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구매처(SBO: Single Buyer Office)인 남아공 전력청이 구매 단가가 높은 신재생에너지 구입계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상황임. 풍력에너지 개발업체들은 정부가 경제적·정치적인 이유로 전기료 인상을 통한 적극적인 정책추진에 열의를 보이지 않는 점과 신재생에너지의 구매계획(가격 외에 양적인 구매보장)을 명확히 규정하지 않는 점을 들어 본격적인 프로젝트 진행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

 

 ○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풍력에너지는 남부의 전력계통망 설비(National Grid)의 어려움으로 전력공급이 원활치 않은 지역에 “Water Pump"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주 정책목표로 하고 있어 사실상 대규모 사업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음.

 

 ○ 남아공의 경우 2017년까지 1만6000㎿ 증설을 계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석탄화력 발전소 개보수를 통해 전력 수요에 대응함. 남아공 전력청은 향후 4500㎿ 규모를 IPP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나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경제환경 변화와 국내 내부사정으로 사업진행이 지연됨.

 

 ○ 남아공 전력청은 노후된 발전설비의 교체와 정비를 위해 2010년 전력요금의 45% 인상안을 전력규제위원회(Nersa)에 제출했으나 여당(ANC), 노조(Congress of South African Trade Unions), 광산업계(AngloGold Ashanti Ltd.)의 반대로 35% 인상안을 제출한 상태임.

 

 

자료원 : Business Day, Engineering News, Research Channel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남아공, 풍력에너지 시장진출의 문제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