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FUTURE MANUFACTURING & TRADE SUMMIT 2019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황준혁
  • 2019-09-27
  • 출처 : KOTRA

- UAE 미래 제조업 및 수출입업계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행사 -

- 미래 제조업 발전과 수출진흥을 주요 테마로 다양한 주제발표와 패널토의 이어져 -

 

 

행사개요

행사명

미래 제조업 & 무역 서밋

(FUTURE MANUFACTURING & TRADE SUMMIT 2019)

개최기간 및 연혁

2019.9.10(화)~11(),

2016년 최초 개최 후 올해로 4회차

개최장소

Intercontinental Dubai Festival City

주최

UAE Ministry of Energy & Industry

행사내용

미래 제조업 발전과 수출진흥에 대해 발표, 패널토의, 전시 진행

규모

제조업 및 수출입 업계 관계자 1,000여명 참석

웹사이트

https://www.manufacturingtrade.com

자료원 : FUTURE MANUFACTURING & TRADE SUMMIT 2019 웹사이트

 

행사특징 및 주요프로그램

 

금번 행사에는 오사마 아미르 파델 UAE 에너지산업부 산업 차관보(Acting Assistant Undersecretary of industrial Affairs)와 사에드 알-아와디 두바이수출개발공사(DEDC, Dubai Export Development Corporation) CEO가 환영사 및 개회사 발표

 

ㅇ 본 행사 시작에 앞서, 2019년 한 해 동안 물과 전기 소모량 최소화에 앞장서고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이며, 탄소배출 저감에 노력한 현지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DEDC DEWA 등에서 공동으로 수여하는 ‘Dubai Green Industrial Award’ 시상식이 진행됐으며 대상인 Gold Star Award에는 Dubai Refreshment사가, 이어 2·3등상인 Silver, Bronze Star Award에는 Unilever Nestle가 각각 수상함.

 

Dubai Green Industrial Award 시상식

자료원 : 두바이무역관 촬영

 

ㅇ 이틀 동안 진행된 본 행사에는 UAE 제조업 발전과 수출진흥을 중심 테마로 4차 산업혁명과 다양한 첨단기술을 도입한 첨단 제조업, 물류/유통 및 수출입 등에 대한 발표와 패널토의가 이어짐.

    - (패널토의) ‘2030년 내 두바이의 지식기반·지속가능·혁신 산업의 글로벌 플랫폼 도약첨단제조와 생산’, ‘4차 산업혁명의 명암등을 주제로 다양한 패널토의가 진행됐으며 UAE 제조기업 CEO와 정부기관인, 학계 등 다양한 인사들이 패널로 참여함.

    - (주제발표) ‘두바이 실크로드 전략 : 글로벌 교역의 거점으로서 두바이의 위상 강화’, ‘UAE 제조산업의 글로벌화 로드맵’, ‘창고무인화와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등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됨.

 

주제발표 및 패널토의

자료원 : 두바이무역관 촬영

 

  ㅇ 아울러, 본 행사장 좌측에서는 ‘FUTURE MANUFACUTRING LOUNGE’라는 이름으로 현지 제조기업들과 경제자유구역, 산업단지 관계자들이 참가한 소규모 전시행사가 개최되었으며 Epicor Daifuku, Honeywell 등의 현지 제조사들과 Dubai South, Al Sajaa Industrial Oasis, Ajman Free Zone 등 경제자유구역/산업단지 등 총 21개 기업/기관이 참석해 방문객들과 자유롭게 미팅을 진행함.

 

FUTURE MANUFACUTRING LOUNGE

자료원 : 두바이무역관 촬영

 

UAE 제조업 현황

 

  ㅇ 산업별 시장 규모

    - UAE 주요 산업별 GDP 구성비는 2017년 기준 석유·가스 산업이 전체의 22.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뒤이어 소매업, 제조업, 건설업이 주요 산업으로서 역할을 담당

    - 석유·가스 산업의 경우 2014년 전체의 34.1%를 기록한 것에 비해 대폭 감소하였으며, 2016년까지 4위를 차지한 제조업이 2017 3위로 상승

    - UAE 에너지산업부에 따르면 제조산업의 국가 GDP 기여율은 9.5%이며 비석유 부문 중 11%를 차지하고 있음. 아울러, 지난 5년 간 평균 4.5%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총 460,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

 

UAE 제조업 시장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14

2015

2016

2017

2018

비석유 부문 총 GDP 중 제조업 비중

11.4

11.5

11.7

12.0

12.1

규모

28,060

29,619

31,056

32,608

33,239

증감률

3.8

5.6

4.9

5.0

1.9

자료원 : UAE 통계청 National Acount Estimates 2010-2018 / : ’18년은 추정치

 

  ㅇ 제조업 시장 전망

    - UAE 핵심 토후국인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수입대체산업 육성 및 비석유 부문의 GDP 기여도 제고를 목표로 한 국가 경제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장기 경제발전전략 추진

    - UAE 경제를 견인하는 양대 산맥인 석유·가스 산업과 건설업을 단기간에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아부다비 정부에서는 동 산업 수행을 위해 현지화 정도 평가제도(In-Country Value, Abu Dhabi Value)*를 도입, 제조업 특화 산업단지 홍보 등 제조업 분야 육성에 심형을 기울이고 있음.
     * In-Country Value : 아부디비 석유공사(ADNOC)의 UAE 현지 제품/인력 조달 우선정책
     * Abu Dhabi Value : 아부다비 경제개발부의 아부다비 기업 제품/인력 조달 우선정책

    - 비교적 석유·가스 의존도가 낮은 두바이와 기타 토후국의 경우 제조업을 지원하는 산업단지를 개설해 전 세계 제조업체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는바, 제조업 분야의 지속 성장이 기대됨.

 

UAE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우대분야

 

  ㅇ UAE 비전 2021 (UAE Vision 2021) (2010~)

    - 포스트 석유 시대 대비, 산업 다각화 추진을 목표로 다가오는 포스트 석유 시대에 다변화된 경제구조로의 변모를 지향

     * 2021년은 1971 UAE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연방을 형성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임.

    - 지식 재산을 국가 핵심 자원으로 인식하고 국가의 지속적인 번영을 위해 다변화되고 유연한 지식 기반 경제 구축 목표

    - (우대분야) 신재생·청정 에너지, 교통, 기술, 교육, 건강, , 우주 등 7대 혁신 중점 분야에 대한 발전전략 수립. 민간에서의 관련 분야 육성을 위해 모하메드 빈 라시드 혁신 펀드 (Mohammed Bin Rashid Innovation Fund) 설립, 금융 지원 독려

    - (주요내용) 사회, 문화, 보건, 교육, 인프라 등 포괄적 경제 다변화를 목표로 ①관광 등 비석유 부문 육성, ②교육 투자 확대, ③지속 가능한 환경 및 인프라 구축, ④의료 시스템 강화, 사회 응집력 강화, 안보 강화를 구체적으로 추진

 

ㅇ 아부다비 경제 비전 2030(Abu Dhabi Economic Vision 2030) (2008.11~)

    - 산업 다각화 및 비석유 부문의 육성을 통한 지속 가능 경제 건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비석유 부문을 총 GDP 64%까지 확대하고 비석유 부문 무역 균형을 달성하여 지속 가능 경제 건설

    - (우대분야) 금속제품, 건설자재 및 비금속광물제품, 석유화학 및 화학제품, 의약품, 식품·음료 및 소비재, 항공우주 및 방산 제품, 산업 기자재 등 7대 카테고리 분야 제조 중점육성 목표

    - (주요내용) 에너지, 제조업, 서비스 부문 중심의 경제 다변화 모색을 목표로 ①제조업 부문 육성, ②에너지 부문 지속 육성, ③서비스 부문 지속 확대 추진

 

ㅇ 두바이 산업전략 2030(Dubai Industrial Strategy 2030) (2016.6~)

    - 6개의 핵심 산업 중점육성을 통한 제조업 기반 강화를 목표로 항공·우주, 해양, 알루미늄·금속 가공, 제약·의료기기, 식음료, 산업기계 6개의 핵심 산업을 중점 육성하여 산업 다각화와 민간주도 성장 독려. 제조업 부문의 GDP 기여도 및 부가가치를 제고하여 글로벌 제조업 플랫폼으로의 변모

    - (우대분야) 항공, 해양, 알루미늄·금속 가공, 제약·의료기기, 식음료, 산업기계 등 6개 분야 집중 육성 목표. 식품·음료 부문에서는 이슬람 기준을 적용한 할랄 제품 제조를 장려하여 이슬람 경제 수도를 꾀함.

    - (주요내용) 교통·물류 허브로서의 이점에 기반한 전략산업 육성에 역점.

 

전망 및 시사점

 

  ㅇ 제조산업은 UAE의 산업다각화 전략 내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분야인바, 향후에도정부차원의 관심과 투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UAE 정부의 중점투자 분야 내에서도 제조역량 강화와 기술혁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업/제품을 중심으로 수요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UAE 산업/정책 금융인 무함마드 빈 라시드 혁신펀드(MBRIF) 관계자는 인터뷰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아이디어를 보유한 비국적자(외국인/외국기업)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바, UAE 진출을 희망하는 외국기업들은 이러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진출의 기회로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 제언함.

 

  ㅇ 로컬 생산제품 및 현지인 우선 활용 정책이 점차 모습을 드러냄에 따라 한국기업은 현지 로컬기업과 현지 공동 생산 등의 고도화된 파트너십 관계 구축을 통해 시장선점 필요

 

ㅇ 동 행사를 비롯해 진출 희망 분야의 전시 행사 참여를 통해 시장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인 파악이 중요하며 현지 기업/정부 관계자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진출 기회 마련 가능

 

자료원 : FUTURE MANUFACTURING & TRADE SUMMIT 2019 웹사이트, 현지언론, UAE 통계청, UAE 정부 및 두바이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FUTURE MANUFACTURING & TRADE SUMMIT 2019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