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 6개사 소싱방향
  • 투자진출
  • 디트로이트무역관 김호준
  • 2007-07-31
  • 출처 : KOTRA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 6개사 소싱 방향

- 디트로이트 3사 해외아웃소싱 확대, 그 외는 북미지역 내 소싱 확대 –

- 저임 지역 생산시설 보유 Tier 1 공략 등 전략적 접근 필요 -

 

보고일자 : 2007.7.30.

김호준 디트로이트무역관

detroit@kotradtt.org

 

 

□ 완성차 업체들의 소싱 방향

 

 ○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부품 해외 아웃소싱을 확대하는 반면, 해외 완성차 업체들은 북미지역 내의 소싱을 확대하고 있어 북미 자동차 부품 공급사슬은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

 

 ○ GM

  - GM은 이미 수 년 전부터 북미지역 생산 차량용 부품을 아시아, 남미 등 다양한 저임 국가들로부터 경쟁적인 가격에 수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적극적인 해외 아웃소싱 활동을 펼쳐온 바 있음.

  - GM이 자사 차량들의 이미지 등을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차량 내장(헤드라이너 등)의 경우 소재, 품질 등의 문제로 과거와 같은 적극적인 소싱이 어려워진 바 있으나, 그 외 부문은 여전히 공격적인 아웃소싱 대상으로 보고 있음.

  - 차량 앞유리 등과 같이 부서지기 쉬울 것 같은 부품 역시 패키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장거리 운송이 가능해졌으며, 시트처럼 부피가 큰 부품들의 경우도 고정적인 차량 생산계획 실행으로 원거리 부품 업체들로부터의 소싱이 가능해짐.

  - 북미 지역 공급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부품들은 북미 지역 업체들보다 10% 이상 낮은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한 상황

  - 구매 총괄 부사장인 Bo Andersson은 GM의 판매량이 늘고 있는 지역인 라틴 아메리카·동유럽·아시아 등에서의 구매를 더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전함.

  - GM의 글로벌 구매 예산은 총 860억 달러(북미 지역에서 610억 달러)이며, 1800개의 북미 업체를 포함한 총 3200개의 공급업체를 보유하고 있음.

 

 ○ 포드

  - 포드는 올해 J. D. Power의 초기 품질 조사에서 순위가 크게 상승했으나 공급업체들과의 관계 조사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함.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해 포드의 북미 구매담당 이사인 Andrew Hinkly는 공급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 없이 완성차 품질 향상은 불가능하다면서, 조사 결과에 의구심을 표명한 바 있음.

  - 포드는 2005년 9월부터 ‘상호간의 수익 향상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Aligned Business Framework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공급업체를 압축해 나가는 작업을 수행 중임.

  - 이 프로그램은 선호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을 통해 총 공급업체 수를 50% 이상 절감하는 대신, 선정된 공급업체들과의 관계 강화 등을 통해 품질 향상을 꾀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구매 뿐만 아니라 생산, 엔지니어링 그룹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그러나 포드가 초기에 전망한 것과는 달리 ABF의 진행은 빠르게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현재까지 47개사가 ABF 목록에 등재돼 있음. 다만, 목록에 등재돼 있는 기업들로부터의 구매액은 연간 구매액인 900억 달러 중 41억 달러로, 공급업체 수에 비해 구매금액이 높은 것으로 드러남.

  - 장기적인 관계 구축뿐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기업들은 제품개발 초기단계에 참여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 공급업체의 혁신적인 기술들을 포드의 새로운 차량 모델에 적용하도록 하고 있음.

  - 최근 교체된 포드의 새 CEO인 Alan Mulally는 ABF에 강한 지지를 보내고 있으나, 일부 공급업체들은 프로그램의 운영이 지나치게 경직돼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포드와 공급업체간의 관계를 얽매는 것으로 보고 불만을 표출하고 있음.

  - 포드의 글로벌 구매 총 예산은 900억 달러이며, 전세계적으로 약 2300개의 공급업체에서 납품을 받고 있음.

 

○ 크라이슬러

  - 사모회사인 Cerberus의 크라이슬러 인수로 다임러 그룹과의 분리가 확정됐음에도 불구하고, 구매 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두 그룹의 구매 부서가 분리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크라이슬러 그룹 구매 부사장인 Robert Schott는 전하고 있음.

  - 2003년 이후 크라이슬러 그룹의 구매를 책임져 온 Peter Rosenfeld가 Cerberus의 크라이슬러 인수 결정이 발표된 직후 사퇴했으며, 크라이슬러의 완성차 조립 및 스탬핑 담당 부사장으로 활동하다가 메르세데스 그룹 생산계획 총괄로 활동하던 Simon Boag가 새로운 구매 담당 수석 부사장으로 임명됐음.

  - 구매 담당 경영진의 교체가 향후 크라이슬러의 구매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일단 크라이슬러 그룹은 공급업체에 구매 전략에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이라면서 관계 유지에 주력하고 있음.

 - 또한 지금까지 다임러그룹과 공동으로 진행돼 온 구매과정이 앞으로도 계속 공동 진행이 이뤄질 것인지, 별개로 진행될 것인지의 여부 역시 아직 확정된 바가 없음.

  - 그룹 분리와 별개로, 인테리어 분야에서는 시트를 제외한 차량 내 인테리어를 통째로 하나의 공급업체로부터 소싱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풀 인테리어’ 소싱 전략을 적용한 차량이 2008년 여름에 시장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이렇게 전체 인테리어를 수주한 공급업체에서는 시트를 제외한 도어트림·헤드라이너·계기판 등을 모두 생산할 필요는 없으며, 자체 생산이 불가한 부분에 대해 다른 공급업체에 외주를 하되, 전체 내장의 디자인 및 조립 등에 대한 책임을 공급업체가 지게 됨.

  - 이미 수년 전 GM에서 이러한 전략을 시행한 적이 있으나 인테리어 분야 개발 등의 제어 불능으로 다시 디자인 역할을 회수한 바 있어, 이전략의 결과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임.

  - 다임러크라이슬러 그룹은 현재 연간 원자재 구매를 위한 840억 달러를 포함 총 1050억 달러의 구매 예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크라이슬러 그룹은 차량 조립을 위한 부품의 30%는 자체 생산, 70%는 공급업체에서 조달하고 있음.

 

 ○ 도요타

  - 지난 12월에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북미 도요타 법인 구매 부사장으로 취임한 Chris Nielsen은 도요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제 3세대 Tundra 픽업트럭 생산에 필요한 부품 납품이 적기에 이뤄지는데 집중하고 있음.

  - 도요타는 공급업체들을 조립 공장 주변으로만 배치해 온 기존 구조에서 탈피해, 4개 회사(Hero Logistics LLP, Hero Assemblers LLP, Vutex Inc, Avanzar Interior Technologies)를 Tundra 생산 라인에 위치시켜 동선을 최적화함으로써 생산 효율 극대화를 꾀하고 있음

  - 특히 물류비가 많이 드는 시트 부문은 조립 라인에서 불과 9m 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별도 공장 설립에 드는 비용을 없애고, 물류비를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음.

  - 2006년 북미 내의 소싱에 사용된 비용은 290억 달러로, 소수인종 공급업체(minority supplier)들로부터 10억 달러 이상을 구매하고 있으며 북미 지역에 약 500개의 공급업체로부터 부품공급이 이뤄지고 있음.

 

 ○ 혼다

  - 혼다는 주요 생산 거점이 위치한 오하이오주의 공급업체들로부터 구매하는 64억 달러의 부품을 포함, 연간 175억 달러의 부품을 북미 지역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미국 내 525개의 공급업체를 포함해 북미지역의 610개 공급업체들로부터 부품을 구매하고 있음.

  - 혼다는 북미 지역에서의 차량 생산 및 부품 소싱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2006년의 북미 지역 내 판매 차량의 생산지 비율은 북미/해외가 77/23으로, 도요타의 53.66.4를 크게 앞서고 있음

  - 인디애나주 그린스버그에 설립 중인 Civic 생산 공장에 대한 부품 조달은 대부분 현재 혼다의 공급업체들이 소재한 오하이오주·미시간주·인디애나·주켄터키주 등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북미 혼다 법인 구매 부부사장인 Jeff Tomko는 전하고 있음.

  - 그러나 부품 구매가 반드시 북미 내에서만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며, 일부 부품들의 경우 글로벌 소싱을 통해 조달할 예정임.

 

 ○ 닛산

  - 닛산 북미 법인은 LCC(Low Cost Countries 또는 Leading Competitive Countries, 중국, 멕시코, 인도 등)로부터의 부품소싱을 확대할 예정으로, 지난해 약 17%에 달했던 LCC로부터의 부품 조달 비중을 올해 24%로 늘릴 계획이며, 증가분의 상당 부분이 멕시코로부터 이뤄질 것이라고 북미법인 구매 부사장인 John Miller는 전하고 있음.

  - 전통적으로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분야의 부품업체들이 멕시코에 생산설비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환율변화를 고려하더라도 물류비 절감 측면에서 멕시코로부터의 소싱을 확대하는 것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보다 더 나은 것으로 판단

  - 닛산 구매부에서는 공급업체들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 해결(특히 북미지역 공급업체들의 재정 문제 등)을 위해 2년 전에 Nissan Supplier Revival Group(NSRG)를 구성했으며, 이를 통해 리-소싱(한번 소싱을 주었다가 공급업체의 문제로 인해 다시 다른 공급업체로부터 소싱을 하는 경우) 비율이 지난 2년간 10% 미만에 그치고 있음.

 

□ 시사점

 

 ○ 북미 완성차 업체 접근 전략

  - 해외 아웃소싱을 확대하고 있는 디트로이트 3사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기로 KOTRA가 지난해 GM과 개최한 Korea-GM Autoparts Plaza 이후 3억 달러 수준의 계약이 체결될 정도로 해외 아웃소싱에 대한 의지가 강력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함.

  - 포드 역시 ABF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전보다 훨씬 적극적인 태도로 해외 아웃소싱에 참여하고 있으므로 적극적인 접촉이 필요함.

  - 한국 기업들은 크라이슬러의 Full interior 전략에 직접 참여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Tier 1들의 동향을 주목해 동 Tier 1들에 대한 공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해외 아웃소싱의 상당 부분이 저임국가로 진출한 대형 부품업체들의 현지 법인·지사를 통해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 저임국가에 생산 설비를 갖춘 Tier 1들을 대상으로 접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

 

 ○ 북미지역의 해외 완성차 업체들의 경우 생산 및 부품조달 현지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앨라바마, 조지아 등에 현대·기아차와 동반 진출한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음.

 

 

자료원 : Wards AutoWorld, 무역관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 6개사 소싱방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