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의 소부장 기업과 협력은 어떻게 해야할까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0-03-12
  • 출처 : KOTRA

- 러시아 수입대체산업 및 제조업 육성, 신동방정책 등을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 -

-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가상현실 등 IT응용기술 장비 공동개발 유리-

 



□ 러시아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협력 가능 분야

 

  ㅇ (소재: 석유화학) 현지 원자재 공급이 풍부하기 때문에 현지 생산공장 진출 또는 기업 M&A 추진이 유리할 것         

   -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PE) 등은 한국산이 강점이며 주요 수출품목이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은 현지 생산성이 높아지고 있는 품목

 

대 러시아 석유화학제품별 한국 수출 경쟁력

HS 코드

품목

주요 내용

최근 2년 내 러시아 수입의 한국 순위

390210

폴리프로필렌

(PP)

 ㅇ 수출 유망

  - 폴리프로필렌(PP)의 한국 수입 규모는 다소 낮은 편이나 PE(390120)과 HDPE(390690) 대비 수입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증가

  - 해당 품목들 한해서 러시아 수입의 한국 순위는 상위 5위를 견고하게 지키고 있는 상황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은 PE(390120)와 HDPE(390690) 대비 한국 수입 규모는 작으나 러시아 소비가 현지 생산성보다 높음.

2

390120

폴리에틸렌

(PE)

2

390110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4

390690

고밀도폴리에틸렌

(HDPE)

5

390319

폴리스티렌

(PS)

 ㅇ 다소 유망

  - 해당 품목의 러시아 수입 의존도는 낮은 편으로 수입국 중 한국 순위가 높은 편이나 규모가 작은 편

2

390422

폴리염화비닐

(PVC) 

 ㅇ 비 유망

  - 2018년 기준 한국으로부터 수입 규모는 4801만 달러 수준으로 한국산 경쟁력이 다소 낮은 수준

11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분석

 

    - 주요 사례로 BASF사는 현지 자원개발탐사 투자를 통해 원자재 공급선을 확고히 확보해 석유화학단지를 조성했고 이탈리아 MaireTechnimont S.p.A사는 러시아 석유화학 제조 공장 디자인 및 엔지니어 수주를 통해 현지 진출

 

  ㅇ (부품, 장비: 환경 및 인프라 장비, 설비, 기술제휴) 러시아 소부장 주요 기업들은 대부분 국영 또는 대기업들로 사회적 책임 사업(CSR)과 해외건설프로젝트 진출 사업을 확장 중으로 엔지니어링 설계, 부대 발전 설비 및 장비 공급, 폐기물 처리 시설 공급 등을 고려해 볼만한 상황

    - 러시아 원자력 공사인 Rosatom사는 해외진출을 대부분 원자로 공급으로 시작, 최근부터 프로젝트 개발 및EPC 진출을 확장 중

    - 한편, 의료기기, 농업, 조선 등으로 응용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어 Rosatom사와의 기술제휴도 고려해 볼 만함.

      · Rosatom사는 핵연료 처리 및 재활용(Project regenerated)을 위한 기술협력을, 원자력 발전에 다소 온화한 프랑스와 주로 수행 중(최근 합작 프로젝트 추진 규모: 10억 유로)

    - 2018년 동안 러시아가 해외 기업과의 기술교류를 통해 수출한 규모는 14억 달러이며, 수입한 규모는 30억 달러임.

 

2018년 러시아의 해외기업과의 기술교류 결과(수출입)

(단위: 백만 달러, 건)

분류

수출 규모

수입 규모

계약 체결 건수

계약 체결 규모

실제 발생 금액

계약 체결 건수

계약 체결 규모

실제 발생금액

총 계

3,033

32,369

1,405

4,914

16 471

3,065

이하: 경제활동

농업, 어업, 임업

12

2.3

2.4

47

12.1

3.4

자원개발업

10

2.7

1.6

109

1 306

213

제조업

545

626

75.9

2,780

4 907

1,511

전력, 가스, 온수 및 공기정화, 상하수도, 폐기물처리 및 복원작업

29

2579

40.1

29

8.0

1.6

건설업

51

26 942

253

32

37.0

16.2

운송 및 저장, 정보통신

46

5.8

5.7

48

30.9

25.2

기타 통신 활동

3

0.1

0.0

10

9.0

2.2

연구개발, 과학연구, 기술개발 등

933

417

164

344

369

96.0

자료: 2019년 러시아 통계 보고서(Russian Statistical Yearbook 2019)


  ㅇ (기술협력 및 공동기술개발) 일반적으로 러시아 소부장 산업 중 R&D 및 기술개발에 강점 분야로는 방위산업, 항공우주, 정밀화학, 광학, 농업, 전력, 의료 및 바이오텍, IT 및 퀀텀 컴퓨터 등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과의 기술공동개발 및 상용화 협력을 고려해 볼 만함.

    - 2019년 러시아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러시아에서 3만 5774건의 특허가 승인됐고 이 중 9867건이 실용신안(Utility Model) 건이고 6305건이 산업적 원형 타입임.

    - 2018년 특허 승인 건수 중 혁신기술 개발 건수는 총 1565건이며, 대부분이 신규 기술개발건수(1384건)임. 이중 기술응용 특허발명 건수는 497건임.

 

2018년 러시아의 혁신기술 개발 건수

분류

전체 개발 건수

하위 분류

기술응용 특허발명 건수

신규 개발 건수

신규 첨단기술개발 건수

총 계

1565

1384

181

497

이하: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458

420

38

142

제조, 제조 공정 및 조립

492

441

51

171

소재 및 부품 자동화 운송

자동화 선적 및 하역 작업

40 37 3 9

자동화 테스트 및 모니터링

165

114

51

76

통신 및 감독

292

266

26

65

산업정보시스템

72

65

7

21

통합운용 및 감독

46

41

5

13

자료: 2019년 러시아 통계 보고서(Russian Statistical Yearbook 2019)


    - 2019년 러시아 통계 보고서에 의하면 2018년 동안 기술개발로 활동한 연구기관은 3950개로 이중 1574개가 연구소이고 254개가 디자인설계 분야 기관이며, 45개가 실험실, 917개가 산학연 기관, 419개가 기업 연구소임.


러시아 우주항공 소재 과학연구소

 로고

 사이트

https://viam.ru/

  ㅇ 연구 분야:

 - 티타늄, 마그네슘, 베릴륨, 알루미늄 합금

 - 절연 합금 및 철

 - 비철 소재, 철 소재, 절연 소재

 - 폴리머 소재 및 제조 공정 기술

 -합성 소재 기술

 

모스크바 바우만 국립기술대학연구소

로고

사이트

http://bmstu.ru/

  ㅇ 연구 분야:

 - 우주항공 장비 및 기술

 - 생물의학 기술

 - 나노 엔지니어링 및 기술

 - 에너지 효율화 기술

 - IT

 - 군비, 무기 및 특수장비

 

모스크바 물리기술 연구소(산학연)

로고

사이트

https://mipt.ru/

  ㅇ 연구 분야:

 - 퀀텀 및 전자 기술

 - 우주항공 물리학 및 기술

 - 무선통신 및 마이크로프로제서 기술

 - 응용 수학 및 컴퓨터 과학(수퍼 컴퓨터 과학, 빅데이터 분석 등)

 

  ㅇ (합작투자 및 M&A) 러시아 소부장 기업들의 외국기업 투자 유치 및 지분매각, 인수합병 사례와 해외진출 사례를 통해 러시아 진출 및 안정적 공급망 확보  

    - (BP, Glencore와 카타르 투자청 컨소시엄의 지분참여) 2012년 Rosneft사는 경쟁사 TNK-BP Oil사를 인수합병하면서 BP사는 자연스럽게 Rosneft사의 19.75% 지분을 차지함. 2016년 말경 해당 지분을 Glencore와 카타르 투자청 컨소시엄이 Rosneft사 지분 19.6% 매입함.

      · Rosneft사 지분 구조: Ronefegaz 50%, BP Russian Investments LLD 19.75%, QH Oil Investments LLC(Glencore와 카타리 투자청 컨소시엄) 18.93%, Morgan AG(독일) 5.6%

    - (르노사의 자동차 제조업 참여) Rostec 계열사인 AvtoVAZ(Rostec) 지분을 매입해 러시아 자동차 제조, 조립, 부품 생산 법인 대주주 사가 됨. 현재 기준 르노(Renault s.a.s)사의 AvtoVAZ 지분은 61.1%이며, 나머지 38.9%는 Alliance Rostec Auto B.V.명의로 Rostec사 지분임.

       → 1992-2007: 러시아 민영화 정책으로 AvtoVAZ는 주식회사를 설립하면서 처음으로 자동차 제조사로 등록됨.(2005년 ROSOBORONEXPORT가 대주주로 등록)

       → 2008-2009: 르노(Renault s.a.s.)는 AvtoVAZ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AvtoVAZ사의 25% 지분을 13억 달러 매입(2009년 1월 1일)

       → 2010: Rostec은  AvtoVAZ 사의 지분 18.83% 차지(2월 11일)

      → 2015: Alliance Rostec Auto B.V.가 설립(지분: Renault s.a.s 73.3%, Rostec 17.55%, Nissan International Holding B.V 9.15%)된 후 AvtoVAZ 지분 74.51% 차지(2월 27일)

       → 2017: In September, Renault s.a.s는 Nissan International Holding B.V 지분을 Alliance Rostec Auto B.V.로 통해 흡수하면서, AutoVaz사 지분 64.3% 차지하게 됨.

       → 2018-2019: AvtoVAZ의 지분 83.5% 흡수(2018년 5월) 후, Alliance Rostec Auto B.V. 는 2019년 1월부터 AvtoVAZ의 100% 지분을 소유하게 됨.

        - (Rosneft사의 독일 기업 인수) BP와 합작해 2016년 독일 베를린에 Rosneft Deutschland GmbH를 설립하고 독일 정유사들의 지분 참여 시작함. 결과적으로 Rosneft사는 독일에서 Top 3 정유사로 부상(연 정유생산능력 1250만 톤, 독일 전체 정유생산의 12% 차지)


       → Raffinerie GmbH(Schwedt, Brandenburg 소재) 지분 참여: 연간 정유 생산능력은 1160만 톤. Rosneft사 지분은 54.17%, Shell은 37.5%, Eni는 8.33%임.

       → MiRO GmbH & Co. KG(Karlsruhe, Baden-Wurttemberg 소재); 연간 정유생산능력은 1490만 톤. Rosneft 지분은 24%, Shell은 32.25%, ExxonMobil은 25%, Phillips은 18.75%임.

       → BAYERNOIL Raffineriegesellschaft mbH(Neustadt 소재); 연간 정유생산능력은 1030만 톤. Rosneft 지분은 25%, Varo Energy는 45%, Eni는 20%, BP는 10% 임.

        - (Gazpromneft사의 세르비아, 이라크 기업 지분 참여) Gazpromneft PJSC는 Gazprom사가 지분 95.68%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석유가스개발, 정유, 석유화학제품 등에 관여하고 있음. 


로고

사이트

https://www.gazprom-neft.ru/

       → Serbian Oil Industry company: Gazpromneft가 외국계 기업으로는 최대 지분을 참여한 기업(56.15%). 세르비아, 앙골라, 보스니아, 헤르제고비나, 헝가리, 루마니아 등에서 석유개발과 정유 생산에 관여하고 있고 2017년 기준 연 139만 톤의 석유를 생산

       → Badra 유전(이라크): Gazpromneft의 중동 석유가스 개발사업의 전략적 개발지로 원유 확인매장량은 2127만 톤임. 2010년 이라크 정부와 동 유전 개발 협약을 체결했고 개발권 30% 지분을 인수(한국가스공사 지분 22.5%, 말레이시아 Petronas 15%, 터키 TPAO 7.5%)


    □ 소부장 산업 관련 협력 가능한 러시아 기업



      ㅇ Gazprom: 석유가스 개발 장비 및 부품, 석유화학제품


로고

사이트

https://www.gazprom.ru/

 

    - 정부 지분이 50.23%인 러시아 국영기업으로 러시아 대표적인 석유가스 개발, 유통저장, 석유화학제품 생산, 전력 연료 공급사임.

    - 가스프롬사는 세계 16% 가스 매장량과 러시아의 71% 가스 매장량 보유

    - 가스 연료 생산성은 러시아 전체 생산량의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생산량의 12% 차지

    - 현재 대표적인 가스유전 개발 프로젝트는 야말 및 북해연안(Shelf)임.

    - 가스 파이프라인 보유 총 길이는 172,600km로 해당 파이프라인을 통한 가스의 50%이상이 30개 국가로 수출

    - LNG 수출로는 러시아 최대 기업이며 사할린Ⅱ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LNG 수출기업이 될 전망

 

  ㅇ Rosneft: 석유·화학제품, 석유화학단지 개발

 

로고

사이트

  


 https://www.rosneft.ru/

 

    - 국영기업 Rosneftgaz사의 지분이 50% 이상(50.00000001%)으로 실질적인 국영기업

      · 공공기관으로는 세계 최대 석유가스 개발회사

    - 석유제품으로서는 러시아 생산의 41% 차지하고 있고 세계 생산의 6% 차지

    - 러시아 78개 주와 해외 25개 국가에 운영 사무소 진출

      · (러시아 주요 진출 지역) 서동부 시베리아, 볼가 및 우랄 지역, 극동, 티나-페초라, 크라스노다르, 북해 연안/(해외) 중남미, 동남아시아

      · 13개 석유화학단지 보유

    - 2025년까지 현재 사용 중인 수입부품의 70%까지 현지화 계획

 

  ㅇ Rosatom: 원자력 등 전력발전 장비

 

로고

사이트

 


https://www.rosatom.ru/

 

    - 2018년 기준 Rosatom사 원자로의 해외 주문 규모는 1332억 달러 정도

    - Rosatom사 원자로의 해외 주문 건은 2018년부터 10년 이내 납품 계획이며, 해당 해외 주문에 따른 Rosatom사의 해외 수익은 65억 달러에 이름.

    - 2018년 동안 Rosatom사의 해외 프로젝트 참여 건은 총 33건으로 주요 진출 국가(지역)는 터키, 중국, 벨라루스, 중동, 중남미 등임.

    - 2017년 5월 Rosatom사는 이집트 카이로 근처에 세워질 Al-Dabaa 원자력 발전소 설립 건으로 이집트 정부와 계약 체결했으며, 향후 60년간 발전소 연료 공급이 주요 계약 사항임.

 

Rosatom사 VVER 원자로의 해외 진출(설치) 현황

자료: The Bellona Foundation

 

    - Rosatom사를 통해 러시아 정부는 원자력 과학기술 연구 분야 해외 협력도 적극 장려하고 있음.

    - Rosatom사는 최근 볼리비아, 벨라루스, 베트남, 잠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가나 등에 원자력 과학 및 기술 센터를 설립하면서 국제적인 KSP 및 기술협력으로 활동영역을 확장 중

      · Rosatom사는 2010년부터 러시아 대사관 내 대표사무소를 설립하기 시작하면서 국제 원자핵 산업 및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 중

 

  ㅇ Rostec: 부품·장비 조립, 첨단 기술 개발

 

로고

사이트

https://rostec.ru/

 

    - 2007년 ‘Russian Technologies’라는 이름으로 세워진 국영 기업으로 민간 및 국방 산업 대상 첨단기술개발과 홍보, 첨단 기술 상품 제조업 육성, 기술 혁신 및 현대화, 국제 산업기술 협력 등이 주요 업무임.

    - 11개 방위 산업 단지를 포함해 70개 법인 및 10개 계열사 보유 중이며, 협력사는 700개사 정도임.

    - 대표적인 산업 군은 상용차 제조(KAMAZ: 러시아 트럭 시장의 52% 비중, AvtoVAZ: 러시아 자동차 및 ICVs 시장의 20% 점유), 광물(VSMPO-AVISMA: 세계 티타늄 시장의 30%, 러시아 시장의 90% 점유), 방위산업(ROSOBORONEXPORT: 민간 보안 제품을 포함한 방위품목 수출입 담당 공사)임.

    - 현재 70개국가로 수출 중이며 협력 가능 분야는 자동차 제조, 항공 부품 엔지니어링, 동력기 제조, 철강, 건설, 광학, 신소재 개발, 의료기기, 의약품, 생물학 기술산업, 무선기기, 통신 기술 및 기기 개발 등임.

 

□ 현지 기업 반응

 

  ㅇ RUSSOFT(러시아 소프트웨어 협회) 협회장에 따르면 현재까지 러시아 소부장 산업의 외국기업과의 협력 또는 러시아 기업의 해외 기업은 자원개발 및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집중해 있었으나 2018년부터 IT 기술 응용 사업 협력이 크게 증가 추세

    -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IT 기술 분야는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 AI 기술, 블록체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등으로 협회장은 강조

 

□ 시사점

 

  ㅇ 한-러시아 소부장 기업 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수입대체산업 및 제조업육성, 지방균형발전 등 경제정책을 숙지하고 현장 사례에 대한 분석이 필요

    - 그동안 러시아 현지 제조업 투자, 기술협력,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수없이 강구했으나 유럽 기업 대비 가시적인 성과가 부족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임.

    - 러시아는 2014년부터 서방경제제재를 겪으면서 민영화, 수입대체산업 및 제조업 육성, 지방균형발전(신동방정책) 등으로 경제적 난황을 타개해가면서 대기업과 국영기업 중심으로 M&A 및 외국기업 합작을 전개해가고 있음.

 

  ㅇ 일본 수출규제를 겪으면서 한국 기업들은 원부자재 대체 공급시장을 러시아 등 제3국으로 점차 전환하려는 움직임도 있음.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공급선 발굴 및 기업 신용도 파악, 안정적 물류망 확보, 사기 및 클레임 해결 등 과제도 많음.

    - 최근 제3국 결제를 요구하면서 석유제품 수출 라이선스 및 물류 선적 미확보 등의 문제로 제품 선적을 지연시키는 건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함. 따라서 계약 체결 전 KOTRA 모스크바 무역관에 VOC를 통해 기업정보를 파악해보는 것이 좋음.

 


자료: 기업 사이트(https://www.gazprom.ru/, https://www.rosneft.ru/, https://rostec.ru/en/about/, https://www.rosatom.ru/, https://viam.ru/, http://bmstu.ru/, https://mipt.ru/, https://www.gazprom-neft.ru/), 관련 언론(https://comnews.ru/content/121792/2019-09-04/rossiya-i-koreya-sozdadut-novyy-tehnologichnyy, https://www.vedomosti.ru/business/articles/2016/12/08/668719-glencore-tsena, https://auto.mail.ru/article/23876-renault_kupila_avtovaz, https://zants.ru/vink/rosneft/rosneft-stala-tretim-po-velichine-neftepererabotchikom-na-nemeckom-rynke/, https://ntinews.ru/news/khronika-rynkov-nti/neuronet/koreyskaya-kompaniya-investirovala, https://comnews.ru/content/121792/2019-09-04/, https://knoema.ru/atlas/ranks), Spark Interfax(기업정보 유료서비스), 러시아 통계청(http://static.government.ru),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의 소부장 기업과 협력은 어떻게 해야할까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