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탄자니아, 阿 투자유망지역으로 부상
  • 투자진출
  • 탄자니아
  • 다레살람무역관 전우형
  • 2017-07-27
  • 출처 : KOTRA

- 인프라 투자, 경제 다양성 면에서 좋은 평가 -

- 정부정책의 불확실성, 높은 세금 및 규제 등은 장애요인 -


 


□ 아프리카, 빠르게 성장하는 투자지역

 

  ㅇ 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 2016년 아프리카 FDI 프로젝트 숫자는 전년 대비 12.3%, 일자리는 전년 대비 13.1% 각각 감소

    - 그러나 투자액은 2016년 총 941억 달러를 달성하면서 전년 대비 31.9%가 상승함.

    - 이는 프로젝트당 투자액이 2015년 9250만 달러에서 2016년 1억3900만 달러로 상승함을 의미

    - 전 세계 FDI 중 아프리카 지역 투자유치 비중은 2015년 9.4%에서 2016년 11.4%로, 동남아에 이어 2번째로 빠르게 성장함.


최근 5개년 아프리카지역 FDI 유치현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FDI 프로젝트 ()

826

882

722

771

676

FDI 투자액(십억 달러)

47.2

66.3

88.5

71.3

94.1

FDI 프로젝트 창출 일자리 수(십만 )

121.4

130.6

160.5

148.7

129.2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ㅇ 아프리카 지역 유치국가별 FDI 프로젝트 순위(건수 기준)

    - 외국인투자가의 관심은 경제규모가 크고 다양성을 보유한 국가들에 몰리고 있음.

    - 남부는 남아공, 북부는 모로코와 이집트, 서부는 나이지리아, 동부는 케냐를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가 유치되고 있음. 이들 국가별 프로젝트를 합산한 수치는 전체 아프리카 FDI 프로젝트 중 약 58%를 점유함.

    - 그 중 동부의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 에티오피아는 모두 빠른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특히 탄자니아와 우간다는 최근 천연가스와 석유 발견으로 유망한 투자지역으로 꼽힘.


아프리카 FDI 프로젝트 순위(프로젝트 건수기준)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ㅇ 아프리카 지역 투자국 순위(프로젝트 건수 기준)

    - 전통적인 투자국이었던 영국과 미국은 각각 브렉시트와 트럼프 대통령에 의한 정책 변화로 아프리카 투자가 주춤해질 전망

    - 전년 대비 2016년 프로젝트 수 증가율을 가장 높게 기록한 일본(125%)과 중국(106.3%)이 주요 투자국으로 성장

    - 아프리카 역내 투자는 남아공이 2016년 29개로 가장 많은 FDI 프로젝트 창출


아프리카 지역 FDI 투자국 순위(프로젝트 건수기준)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ㅇ 산업별 FDI 투자 순위 (프로젝트 건수 기준)

    - 아프리카 대륙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기술ž미디어ž통신(TMT) 분야에서 강세를 보임.

    - ①부동산·ž서비스·ž건설(RHC), 운송·ž물류 석탄ž·석유·ž가스분야가 전체 투자액의 67.3%이나, 프로젝트 건수로는 18.6%를 차지

    - 이는 산업속성상 해당 분야에서 진행되는 각 프로젝트에 대규모 자본투자가 수반되고 있음을 의미

    - 빠른 도시화, 인프라 구축, 도로 연결망 확충, 우호적인 정부정책으로 자동차 관련 FDI도 꾸준히 성장 중


아프리카 지역 FDI 산업별 투자현황(프로젝트 기준)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 아프리카 지역 국가별 투자인센티브 제공 현황 


국가

세금

인센티브

보조금

사전승인

요건

경제특구 및

수출자유구역

법인세(%)

법인세

감면

고용창출

요건

교육훈련

인센티브

알제리

O

X

O

O

23

01)

O

X

에티오피아

O

X

O

O

30

세금면제

기간적용

X

X

가나

O

X

O

O

25

0

X

X

케냐

O

X

O

O

30

0

X

O

모리셔스

O

X

X

O

15

-

X

X

모로코

O

O2)

O

O

30

10

X

O

나이지리아

O

O

O

O

30

0

O

O

르완다

O

X

O

O

30

0

O

X

세네갈

O

X

O

X

30

153)

X

X

남아공

O

O

O

O

28

15

O

O

탄자니아

O

X

O

O

30

세금면제

기간적용

X

X

튀니지

O

O

O

X

25

-

X

O

잠비아

O

X

O

O

35

15

X

X

주: 1) 1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 시 5년 동안, 2) 1억 모로코 디르함(약 1000만 달러) 초과 대형프로젝트의 경우

정부 보조금 20% 지원, 3) 허가된 수출회사에만 혜택 적용, 4) 자료원: Africa Incentive Survey 2016

 

 ※ 용어설명
  - 사전승인 요건(Pre-approval requirements): 인센티브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관련기관에 미리 승인을 받아야 함
  - 경제특구ž수출자유구역(Special Economic Zone, Export Free Zone): 해외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지정해 놓은 구역
  - 법인세 감면(Reduced CIT Rate): 경제특구ž수출자유구역 투자 시에 해당
  - 고용창출 요건(Job creation requirement): 인센티브 혜택을 받기 위해서 정해진 숫자의 현지 인력을 고용해야 함
  - 교육훈련 인센티브(Training incentive): 고용인원을 훈련시키는 회사에 추가적인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

 

□ 탄자니아, 투자평가국가 중 상위권 차지


  ㅇ AAI (Africa Attractiveness Index) 기준, 2017년도 5위

    - AAI는 세계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인 Ernst & Young에서 아프리카 46개국을 조사해 발표하는 투자평가 지표

    - 단기 및 장기적 관점에서 본 6가지 기준으로 평가


관점

기준

내용

가중치(%)

단기적

관점

거시경제 회복력(Macroeconomic resilience)

거시경제 환경의 안정성 평가

20

시장 사이즈(Market size)

국내 시장의 크기와 매력 측정

20

장기적

관점

사업 용이성(Business enablement)

해당 국가에서의 사업이 용이한지 평가

15

인프라 투자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and logistics)

인프라 효율성이 경제를 효과적으로 견인하고 있는지 평가

15

경제 다양성(Economic diversification)

국가 경제 의존도가 자원 외에도 제조, 서비스 분야에 분담돼 있는지 측정

15

거버넌스와 인력개발

(Governance and human development)

거버넌스와 사회발전정도 측정

15

 

2017 AAI 평가 순위(1~5위)

순위

국가

거시경제

회복력

시장 사이즈

사업 용이성

인프라 투자

경제 다양성

거버넌스와

인력개발

1

모로코

18

9

3

4

5

8

2

케냐

2

8

10

16

10

16

2

남아공

33

5

6

1

2

6

4

가나

17

11

8

7

14

7

5

탄자니아

1

4

18

18

23

16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 탄자니아는 1~4위 국가들에 비해 현재 경쟁력은 떨어지나, 장기적 관점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해 아프리카 내 투자하기 좋은 국가들 중 하나로 선정

    - 특히 경제 다양성 기준에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현 JPM대통령의 산업진흥정책이 평가에 반영됐을 것으로 판단

 

  ㅇ AII (Africa Investment Index) 기준, 2017년도 8위 포진

    - 'Quantum Global' 투자회사에서 아프리카 54개국을 조사해 발표하는 투자평가 지표

    - 크게 6가지 분야 안에 13개의 항목을 평가

 

기준

내용

성장요인

 실질 GDP, 국내투자, 경제성장

유동성요인

 실효금리, 통화비축량

위험요인

 환율위험, 신용등급, 수입 커버율, 대외채무, 경상수지

사업환경

 사업용이성

인구요인

 인구

사회적 자본 요인

 페이스북 보급률


    - 13개 항목은 1~54위로 각각 순위가 매겨지고 이를 합해 평균을 낸 것이 종합 순위

    - 모든 항목들은 같은 비중으로 계산


2017 AII 평가 순위

국가

성장요인

유동성요인

위험요인

사업

환경

인구

요인

사회적

자본요인

실질GDP

국내투자

경제성장

실효

금리

통화

비축량

환율

위험

신용

등급

수입

커버율

대외

채무

경상

수지

사업

용이성

인구

페이스북

보급율

보츠와나

21

9

50

8

6

22

1

2

5

2

4

42

9

1

모로코

6

10

20

27

27

18

11

4

30

3

3

11

7

2

이집트

3

36

28

3

12

48

9

19

4

10

16

3

8

3

남아공

2

25

40

7

7

31

11

7

33

7

5

5

12

4

잠비아

18

1

24

5

5

45

11

14

31

5

8

22

27

5

탄자니아

13

13

3

31

31

38

11

15

26

12

22

6

33

8

자료원: Quantum Global, Africa Investment Index 2017


    - 탄자니아는 경제성장률이 높고 인구가 많아 상위권에 오른 것으로 판단

    - 그러나 유동성 분야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상기 지표는 각 항목에 가중치를 두지 않고 단순히 순위를 나열, 평균을 낸 점에서 한계점 노출

 

  ㅇ 탄자니아 투자인센티브

    - 수출가공지역(Export Processing Zone, EPZ), 경제특구(Special Economic Zone, SEZ)

    - 투자 인센티브: 10년간 법인세, 원천세 면제, 자본재 수입 VAT 면제, 소득·배당금·로열티 등 무조건적 이전 가능

 

  ㅇ 탄자니아 지역무역협정 가입 현황
    - 아프리카 성장기회법(AGOA), 미국 수출상품 무관세

    - EBA(Everything But Arms) 원칙, EU 및 영국 수출상품 무관세

    - EAC(East African Community) 관세동맹으로 케냐 및 우간다 수출상품 무관세

    - SADC(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관세협약. SADC 회원 15국 중 앙골라와 DR콩고, 세이셸을 제외한 12국 간 전체 무역의 85% 수출상품 무관세

 

  ㅇ (참고사항)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주요 국가들의 현황과 미래 전망 비교

    - 국가부채 상승과 경상수지 적자는 사하라 이남 국가들의 공통적인 경제 불안요소

    - 해당 국가들이 미래에는 더 나은 인플레이션 상황, 안정된 환율, 높은 성장률 시현을 기대

    - 장기적 관점으로 봤을 때,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이 3~5% 경제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주: 1) 원 안의 색깔은 현재상황을, 원 밖 칸의 색깔은 미래 전망을 나타냄. 

2) 빨간색은 부정적, 노란색은 보통, 초록색은 긍정적인 상태 표시, 3) 자료원: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 시사점

 

  ㅇ 한국의 대탄자니아 투자는 누계 기준으로 776만 달러에 불과한 실정으로 탄자니아 경제성장 속도 주목 필요

    - 2016년까지 한국수출입은행 신고기준으로 53건, 2777만5000달러, 투자기준 7762달러로 정체

    - 주요 투자분야는 제조업, 건설업, 광업, 도소매업, 사업시설관리업 등


최근 3개년 대탄자니아 투자현황

                                                                                                                                                        (단위: 건, US$ 천, 연간누계)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신고기준

8

896

4

340

2

238

투자기준

1

20

4

133

1

228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ㅇ 탄자니아 투자 장점으로는 안정된 정치구조 및 지정학적 위치가 대표적

    - 안정된 정치구조,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 및 투자보장

    - 인도양에 접해 있어 내륙국(르완다, DR콩고 등)의 상품유통 창구로 활용 가능

    - 경작가능한 농지, 광물, 관광자원 등 미개발된 천연자원이 풍부

 

  ㅇ 탄자니아 투자 단점으로는 아직까지 적은 시장규모, 고급인력 부족 및 정부정책의 불확실성을 꼽을 수 있음.

    - 토지 소유가 불가하고 임대는 최장 99년까지 가능

    - 작은 시장규모, 불안정한 치안, 사회간접자본 취약, 급격한 환율변동 노출

    - 노동자들의 근면, 성실이 부족하고 숙련되지 않아 생산성이 크게 떨어짐.

   - 최근 탄자니아 정부의 금 수출 금지와 같은 갑작스런 정책 변화

   - 정확한 데이터 및 정보 부재

 

  ㅇ UNCTAD(세계투자보고서 2017), 불확실한 정부정책 등이 FDI 장애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의 시장진출 시 이러한 국가 및 정책리스크에 대응 필요

    - 2016년 탄자니아 FDI 유치금액 14억 달러로 전년대비 15% 하락

    - 불확실한 FDI 정부정책, 높은 세금, 과다한 규제를 주요 원인으로 분석

 

 

자료원: Africa Incentive Survey 2016, EY's Attractiveness Program Africa 2017, Quantum Global Africa Investment Index 2017, KOTRA 다레살람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탄자니아, 阿 투자유망지역으로 부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