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시장, 현지 생산 공급 증대 필요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5-03-05
  • 출처 : KOTRA

 

러시아 시장, 현지 생산 공급 증대 필요

- 서방의 대(對)러시아 경제제재로 러시아 정부 현지 생산 확대 유도 –

- 경쟁국 기업들도 현지 생산 확대 -

- 현지 생산이 수입 대비 가격 경쟁력 높아 한국 기업도 적극 대응 권장 -

 

 

 

□ 러시아 시장 내 시장 쟁탈전 격화

 

 ○ 서방의 대(對)러시아 경제 제재로 러시아 시장의 불안 요소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경쟁 기업들 간의 시장 쟁탈전이 격화되고 있음.

  - 루블화 가치 급락으로 인해 러시아 시장에서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지만 러시아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유지를 위해 기업들은 모든 노력을 기울이면서 현지의 일부 기업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경쟁기업을 러시아 시장에서 밀어내려고 하고 있음.

 

 ○ 고군분투 중인 타이어 업계 및 건설 중장비 업계vs 공격적인 자동차 업계

  - 최근 한국 기업 중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업계는 타이어 업계와 건설 중장비 업계임.

  - 양 업계 모두 가장 치열한 경쟁 상대인 일본 기업이 2014년 연말 급격한 환율하락에도 러시아내 판매가격을 과거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최소한의 상승만으로 버티고 있어 어려운 상황에 처하고 있음.

  - 반면 현대·기아 자동차는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도 2015년 1월 20일 모스크바 최고 중심지에 모터 스튜디오를 여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음.

  - 2014년 러시아 내 신차 판매량에서도 기아와 현대가 각각 2위와 4위에 위치해 있으며, 더욱 인상적인 것은 루블화 가치하락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던 12월에 기아는 26%, 현대는 8%의 판매량 증가를 보였다는 점임.

 

2014년 상위 10개 브랜드 별 신차 판매량·시장점유율

                                                                                                                        (단위: 천 대, %)

브랜드

판매량

시장점유율

Lada

387

16.2

KIA

196

8.4

Renault

195

8.1

Hyundai

180

7.7

Toyota

162

6.9

Nissan

162

6.8

VW

128

5.5

Chevorlet

123

5.3

Skoda

84

3.6

Mitsubishi

80

3.4

전체

2,340

100

자료원: PricewaterhouseCoopers

 

2014년 12월 자동차 판매대수

                                                                                                (단위: 대, %)

브랜드

2014

2013

증감률

Lada

35,515

38,948

-9

KIA

20,200

16,024

26

Nissan

20,131

17,540

15

Renault

19,263

18,884

2

Toyota

17,536

14,742

19

Hyundai

15,235

14,171

8

VW

13,871

13,548

2

Chevorlet

13,488

18,755

-28

Mitsubishi

12,702

8,429

51

Ford

9,159

12,376

-26

전체

270,653

264,307

2.4

자료원: 유럽기업인협회(AEB)

 

□ 경쟁력 강화의 핵심코드는 현지생산

 

 ○ 경제 혼란 상황 속에 대응력 강화를 위해서는 러시아 현지 생산이 필요

 

  - 루블화 가치 하락에 따른 직수입 제품의 수익 악화를 현지생산품 판매 확대로 흡수 가능

  - 일본의 타이어, 건설중장비 업계와 같이 경쟁기업 시장의 쟁취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 가능

 

  - 한국의 타이어 업계 및 건설중장비 업계와 자동차 업계의 반응과 대응 방법이 이처럼 다른 이유는 러시아 내 현지 생산 가능성의 유무임.

  - 현대 자동차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생산공장을 가지고 솔라리스(한국명 액센트) 등 중소형 승용차를 생산하고 있으나 타이어업계와 건설중장비 업계 중 러시아에 생산공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없음.

  - 반면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일본 타이어 기업 및 건설 중장비 기업은 모두 러시아에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음.

 

일본의 주요 타이어 기업 및 건설중장비 기업의 러시아 현지생산

기업명

공장위치

생산규모

시기

요코하마 고무

리페츠크 SEZ

140만톤/연

2008년 건립

히타치 건설중장비

트베리

굴삭기 2000대/연

2014년 1월 가동

코마츠

야로슬라블

굴삭기 3000대/연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 현재 일본의 타이어 기업은 손해를 감수하는 낮은 가격 책정으로 경쟁 기업의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데 이는 현지생산을 통하여 가변비용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구사할 수 있기 때문임.

  - 반면, 한국 기업은 관세 부담까지 있어 루블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추세에서 가격경쟁력을 유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

  - 경기 악화 속에서도 한국 자동차가 러시아 수입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것 또한 직수입 자동차의 수익성 악화를 현지생산 자동차들이 만회하여 주기 때문임.

 

 ○ 러시아 정부, 수입대체 산업 및 현지 제조업 육성 정책으로 현지 생산이 필수이거나 유리하다고 발표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불거진 서방과의 관계악화 및 쌍방 경제제재를 국내 제조업 및 수입대체산업 육성의 기회로 활용하려 하고 있음.

  - 이에 따라 현지 생산이 의무화되는 분야가 생겨나고 현지생산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법안 등이 만들어 지고 있음.

 

2014년 하반기 러시아 정부의 수입대체정책

 - 2014년 7월: 총리령을 통해 공공조달 특수차량은 국산차량으로 제한

 - 2014년 8월: 외국산 경공업 제품의 연방정부조달 입찰 참여 제한 연방 규정 수용

 - 2014년 9월: 공작기계, 전자제품 등을 주요 수입대체산업으로 육성한다고 발표

 

 

□ 경제제재 이후 한국의 대(對)러시아 수출 큰 폭 감소

 

 ○ 2014년 한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9.1% 감소한 101억 달러에 그쳤음.

 

 ○ 2014년 7월부터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임. 루블화 환율이 급격한 변화를 보였던 10월 이후부터는 매월 감소폭이 더욱 증가했음.

 

 ○ 한국의 10대 대(對)러시아 수출품 중 전자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서 수출량이 크게 감소했음.

  - 주요 수출품의 급감에도 전체 수출 감소폭이 적은 것은 한국 기업이 러시아 야말 프로젝트(Yamal LNG Project) 수주에 성공하면서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임.

 

대(對)러시아10대 수출품 수출동향

                                                                                                             (단위: 1000달러, %)

순번

HS Code

품목명

2013년

2014년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1

8703

승용차

3,317,155

6.4

2,405,442

-27.5

 

2

8708

자동차 부품

1,548,220

-1.2

1,337,539

-13.6

 

3

8905

특수선박

0

0.0

853,872

0.0

 

4

8529

전자부품

303,098

4.1

332,101

9.6

 

5

8429

건설중장비

365,378

-5.8

193,227

-47.1

 

6

7210

평판압연제품

213,249

11.3

188,931

-11.4

 

7

4011

타이어

206,770

12.9

174,213

-15.7

 

8

8704

화물자동차

283,838

-23.7

166,540

-41.3

 

9

3901

에틸렌

173,254

-12.7

160,346

-7.5

 

10

8517

전화기

154,728

-31.5

126,558

-18.2

 

 

 

총계

11,147,103

0.5

10,129,249

-9.1

 

자료원: KITA

 

□ 러시아 수입시장 점유율 및 경쟁국가 간 희비 교차

 

 ○ 2014년 하반기 들어 루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러시아 수입시장의 경쟁구조에도 변화가 감지됨.

  - 한국의 주요 대(對)러시아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러시아 수입시장의 경쟁구조를 살펴보면, 중국이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음.

  - 한국의 경우 승용차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주력 수출품에서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지만 일본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크게 변화가 없음.

 

 ○ 자동차 부품 수입시장

  - 시장점유율 1, 2, 3위를 차지하던 독일, 일본, 한국의 점유율은 떨어진 반면, 중국의 점유율은 증가했음.

  - 2014년 이후 월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한국의 수출액은 매월 감소하는 반면, 중국은 적지만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1월 수출액 규모에서 한국, 일본, 독일, 중국 순이었던 것이 10월에는 중국, 일본, 독일, 한국 순으로 역전

 

 ○ 건설중장비 수입시장

 

2013년 러시아 건설중장비 수입시장 점유율

2014년 10월 러시아 건설중장비 수입시장 점유율

자료원: Trade map

  - 중국은 2013년과 비교해 크게 시장 점유율이 늘어난 반면, 영국과 한국은 시장 점유율이 떨어졌음. 일본의 점유율이 높아진 것이 인상적임.

 

 ○ 평판압연강판 수입 시장

 

2013년 러시아 평판압연강판 수입시장 점유율

2014년 10월 러시아 평판압연강판 수입시장 점유율

 

 

 

자료원: Trade map

  - 중국의 러시아 평판압연강판 수입시장 점유율이 크게 증가한 반면 한국과 벨기에의 점유율은 다소 감소했음. 중국의 시장 점유율이 관세동맹국인 카자흐스탄보다도 월등하다는 것이 인상적임.

  - 2014년 러시아의 월별 평판압연강판 수입액을 나라별로 살펴보면 루블화 가치가 하락하기 시작한 하반기부터 중국에서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음.

 

 ○ 타이어 수입시장

 

2013년 러시아 타이어 수입시장 점유율

2014년 10월 러시아 타이어 수입시장 점유율

자료원: Trade map

  - 중국의 시장점유율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가운데 한국, 독일의 시장점유율이 감소했음. 일본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임.

  - 2014년 하반기 들어 한국의 월별 수출액은 눈에 띄게 감소함. 그러나 중국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 겨울용 타이어 수입이 시작되는 여름의 수출액이 크게 증가한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도 있으나 일본은 10월 감소세가 줄어들고 있는 반면 한국의 수출액 감소세는 심화되고 있음.

 

 ○ 자동차 수입시장

  - 2014년 10월 러시아 자동차 수입시장을 살펴보면 2013년에 비해 일본, 영국, 미국, 한국의 수입 시장 점유율이 늘어났음.

  - 여타 주요 수출품과는 달리 루블화 가치하락에도 한국의 시장점유율이 늘어난 것이 인상적임.

 

2013년 러시아 자동차 수입시장 점유율

2014년 10월 러시아 자동차 수입시장 점유율

자료원: Trade map

 

□ 시사점

 

 ○ 신중한 검토를 통한 현지생산 투자 필요

  - 최근 러시아의 경제와 정책 등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현지생산이 가능한 공장을 설립하는 것이 필요

  - 그러나 서방과의 갈등, 우크라이나 사태, 루블화 환율 등 불안 요소가 많아 투자 시기 등의 결정에 있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

 

 ○ 대(對)러시아의 단기 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법 강구 필요

  - 최근 한국의 주요 러시아 진출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경쟁국, 특히 일본에게 러시아 시장을 뺏기는 상황임.

  - 공장 건설 및 가동까지는 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러시아 시장을 수성할 수 있는 단기 대응 방안이 필요

 

 

자료원: KITA, Trade map, 러시아 진출 한국 기업 인터뷰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시장, 현지 생산 공급 증대 필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