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
  • 투자진출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윤구
  • 2013-06-25
  • 출처 : KOTRA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

- 케냐, 남아공, 한국 등 신흥시장 국가, 아프리카 투자 선도 -

- 자원개발 투자 위주에서 제조 및 서비스업 투자로 전환 -

 

     

2013-06-25

나이로비 무역관

윤구(yoonkoo@kotra.or.kr)

     

 

 

□ 2012년 대 아프리카 외국인직접투자(FDI) 5.5% 증가

     

 ○ 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UNCTAD)의 2012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세계 해외직접투자 (FDI)가 전년대비 거의 모든 세계 경제권이 –18.3%로 감소하였으나,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5.5%가 증가하였음. 또한 대 아프리카에 대한 FDI가 2000년 대비 2012년에 거의 4배 정도 증가하였음.

     

해외직접투자 추이 (2010~12)

            (단위 : 10억 달러, %)

경제권

2010

2011

2012*

성장률 (‘11-’12)

세 계

1,381

1,604

1,310

-18.3

선진국

674

807

548

-32.1

유럽연합

358

440

287

-34.8

미국

197

226

146

-35.3

개발도상국

630

702

680

-3.2

아프리카

43

43

46

5.5

중국

114

124

119

-3.4

인도

24

31

27

-13.5

 자료원 : UNCTAD (*2012년은 예상치)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투자에 관심 증가세

  - Ernst & Young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2007년 이후 북아프리카보다는 (정치-사회적 불안) 사하라이남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음.

  - 2013년까지 외국인이 투자한 프로젝트 수가 22% 성장하였으며, 주로 10개국에 집중되었는데 가나 (50.8%), 콩고 (47.6%), 케냐 (43.1%), 코트디브와(43.1%), 탄자니아 (38.9%) 등으로 케냐를 포함한 동아프리카 프로젝트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FDI프로젝트 투자 상위 10개국 (2007-2012)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주: 성장율은 평균치

 

□ 달라진 대 아프리카 FDI 패턴

     

 ○ 대 아프리카 투자, 신흥국이 선진국 압도

  - 2007년 이전까지 아프리카 내 그린필드투자 (Green Field Investment, 투자대상국의 토지를 직접 매입하여 공장 또는 지사등을 운영하는 방식)는 선진국이 활발한 편이었음. 하지만, 2007-2012년 사이에 영국 (평균 25.1% 증가)을 제외한 대부분의 선진국의 아프리카 FDI가 20% 미만으로 감소함. 반면에 케냐, 남아공, 한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나이지리아 등이 연평균 20% 이상으로 대 아프리카 FDI를 늘려온 것으로 파악됨.

     

대 아프리카 신규 프로젝트 투자 주요 20개국 (2007-2012)

순위    

국가별

신규투자 프로젝트 수

연간 평균성장율

1

케냐

113

60.0%

2

남아공

235

56.5%

3

한국

57

51.6%

4

사우디아라비아

56

45.4%

5

영국

456

25.1%

6

인도

237

24.0%

7

나이지리아

78

20.1%

8

일본

105

16.3%

9

중국

152

15.5%

10

독일

173

14.9%

11

UAE

210

13.3%

12

캐나다

86

13.2%

13

미국

516

11.2%

14

네덜란드

58

7.4%

15

스위스

105

3.7%

16

이탈리아

94

3.4%

17

호주

69

-4.9%

18

프랑스

398

-6.3%

19

스페인

194

-15.2%

20

포르투갈

137

-26.8%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 종전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이 대 아프리카 투자를 주도해왔으나 2007~2012년 간 FDI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상기 선진국은 8.4%, 신흥국으로 분류되는 중국, 인도 및 아프리카 내의 국가들은 20.7%로 이들의 아프리카 투자가 선진국을 압도하고 있음.

  - 2011-2012년간 대 아프리카 신규 프로젝트 투자국들의 경우도 영국, 미국, 남아공, 아랍연합, 인도, 프랑스, 중국, 독일, 케냐, 핀란드 등 주요 10개국 중 케냐, 남아공 등 아프리카 국가가 포함된 점이 주목됨.

     

선진국과 신흥시장의 아프리카 신규 프로젝트 투자 비교

    

     

주요 10개국의 아프리카 신규 프로젝트 투자현황 (2011-12년)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 대 아프리카 FDI 분야 다양화

  - 아프리카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분야도 다양화되고 있음. 종전의 대 아프리카 투자는 지하자원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이제는 자본집약적인 분야를 피하고 제조업과 금융업, 비즈니스 서비스, 호텔 및 관광 등과 같은 서비스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예를 들어 2007년 석유-가스 및 자하자원 개발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가 총 투자 건수의 8.1%, 총 투자 자본의 26.1%였으나, 2012년에는 총 투자건수의 1.8%, 총 투자자본의 12%로 감소하였음.

  - 금융업과 비즈니스 서비스와 관련 된 분야는 건수 45.2%에서 52.1%로, 금액수 3.9%에서 13.4%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금융업과 비즈니스 서비스와 관련된 분야는 건수 45.2%에서 52.1%로, 금액수 3.9%에서 13.4%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반면 Ernst & Young의 분석에 따르면, 2003년 기준으로는 석유-가스 및 자하자원 개발은 총 투자건수의 28.5%, 총 투자금액의 77%였음.

     

주요 분야별 대 아프리카 FDI투자 추이 (2007-2012)

     

신규프로젝트 투자건수별

 

    

 

프로젝트 투자 금액별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시사점

     

 ○ 2007년 이후 5년간 대 아프리카 투자가 4배 이상 증가를 보이는 이유에 대하여 Ernst & Young은 아프리카 내 투자환경 개선을 최우선 이유로 들고 있음.

  - Ernst & Young이 추진한 아프리카 사업환경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응답자 503명 중 아프리카의 환경이 과거에 비해 개선되었다는 견해가 56%, 변화가 없다는 견해가 25%, 더 나빠졌다는 견해가 14%로 아프리카 사업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함.

     

아프리카 사업환경 평가 (2012이전)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 향후 3년간 아프리카의 사업 환경 변화에 대한 전망을 문의한 결과 응답자 503명 중 개선될 것이라는 반응이 72%,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반응이 16%, 더 나빠질 것이라는 반응이 7%로 아프리카의 사업 환경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

     

아프리카 사업환경 평가 (2012년 이후)

    
 자료원 : Ernst &Young‘s Attractiveness Survey 2013

     

 ○ 케냐 현지 투자가들은 아프리카의 투자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직접 현지에 투자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볼 때 전기료가 높고 공급이 불안한 점, 투자 보장에 대한 정부차원의 보호가 약한 점 등 아프리카가 투자 유망지가 되기에는 개선해야 할 요소들이 많이 잠재하고 있다고 평가함.

     

 

자료원 : Ernst & Young 조사보고서 2013, UNCTAD FDI 통계자료,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체 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