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출을 줄이자! 일본 여성기업가의 新 경영전략 소개
- 일본 교토에 있는 화제의 스테이크덮밥 전문점 ‘햐쿠쇼쿠야(佰食屋)’. 현재 세간의 주목을 받는 이 음식점의 경영자, 나카무라 씨가 찾아낸 사업전략의 힌트는 ‘매상을 줄이자’에 있었다. 이 역발상이 완성시킨 그녀의 획기적인 사업 모델을 통해 일본 외식업계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는지 소개한다.
- 일본
- 도쿄무역관
- 2019-10-22
- 추천 : 4
-
- 제조업으로 활로 찾는 극동러시아
- 극동러시아 개발의 핵심은 제조업 육성이다. 제조업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를 통해 극동의 인구를 증대하는 것이 목표다. 러시아 정부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외국 기업과 모스크바 등에 소재한 자국 기업을 유치하고 있다. 극동개발이 본격화되고 5년여가 흘렀다. 최근 제조업 진출 사례가 나오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9-10-21
-
- 말레이시아 해외취업 동향
- 말레이시아의 한국인 해외취업 동향과 유망 분야, 취업사례, 자주 묻는 질문 등을 살펴본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19-10-17
-
- 대방글라데시 개발협력 현황 및 관계
- 방글라데시는 베트남에 이은 전세계 2위 EDCF 수원국가로 우리나라 정부의 개발협력에 중요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개발협력 현황 및 관계를 통해 방글라데시 진출방안으로 활용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19-10-16
-
- 헝가리 제 2의 도시, 데브레첸(Debrecen)
- 헝가리 제 2의 도시, 데브레첸(Debrecen)에 대해 알아보자 한다. BMW 프로젝트 유치 지역으로 최근 헝가리 내에서 매력적인 투자 지역으로 선정되었으며, 유럽 내 작은 도시 중 가장 우수한 FDI 유치 전략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 2019-10-16
-
- 중국, 시셴신구(西咸新区)창업 시범기지를 주목하라
- 시셴신구는 중국의 일곱 번째 국가급 신구로 우월한 지리적 위치를 갖고있으며,중앙 및 지방정부의 창업시범기지로 지정돼 다양한 육성정책을 추진 중이다. 시셴신구 창업시범기지 지원정책과 유망업종을 살펴보고 협력교류 시 중점지원 대산 분야를 위주로 진출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 중국
- 시안무역관
- 2019-10-15
-
- 에티오피아 투자 흥행의 열쇠는?
- 에티오피아는 만성적인 외화 부족으로 인하여 강력한 외환 규제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수입 규제로 이어지고 있다. 한 때 각광받던 가발 공장이 공장을 돌리는 데 필요한 원부자재의 수입에 외화가 배정되지 않게 되면서 공장 문을 닫을 수 밖에 없게 되었던 사례에서 알 수 있다시피 외환 정책은 현지투자진출기업의 운영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투자검토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 2019-10-10
- 추천 : 2
-
- 비자법 변경 및 부족직업군을 통해 알아보는 영국 구직 트렌드
- 지난 2012년 4월 이후 폐지됐던 ‘Post-study Work Permit’이 재개돼 내년(2020/21 기준)부터 졸업 후 취업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로써 2020년부터 영국에서 고등교육(대학 학위 이상)에 해당하는 학업을 시작하는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비자(2년)를 지원할 수 있게 되므로, 이 기간을 활용해 영국 취업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영국
- 런던무역관
- 2019-10-02
-
- 루마니아 노동법(2)-고용형태 및 고용이슈
- 루마니아내 근로자 계약시 고용목적 및 근로자 신분에 따른 계약 형태 숙지 필요 현지 주요 고용 이슈 사전 정보 취득을 통해 노무리스크 예방 필요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무역관
- 2019-09-27
-
- ‘투자없인 쿼터 없다’ 새롭게 열리는 러시아 수산&조선 시장
- 러시아는 2017년 투자쿼터제도를 도입하고, 올해에는 어선의 현지화 조건을 변경하는 등으로 국내 중소형 어선 건조 산업과 수산가공 산업을 동시에 일으키려 하고 있다. 10월에는 향후 15년 동안 크랩 쿼터의 50%를 경매로 배분할 계획인데, 여기에도 어선 건조를 살펴볼 예정이다. 한마디로 쿼터를 받고 싶으면 투자를 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 어선 건조 등에 새로운 투자 기회가 생기고 있다. 우리 기업들이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9-09-26
- 추천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