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상권별 특성에 맞게 시장 공략해야
  • 통상·규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10-05-23
  • 출처 : KOTRA

 

사우디, 상권별 특성에 맞게 시장 공략해야

- 중부시장, 동부시장, 서남부시장 등 크게 3개 상권이 형성-

- 신성장분야, 중소형 플랜트 및 기자재 등 유망분야에 집중해야 -

 

 

 

□ 사우디아라비아 수입 및 소비시장 특성

 

  지나친 석유 의존적산업 및 시장 구조

  - 석유산업 비중('08) : GDP의 50%, 수출산업의 79%, 정부 수입의 73% 차지

  - 국제유가 변동이 사우디아라비아 GDP 증감 및 수입액의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호 간 상관계수가 1에 가까움.

  - 프로젝트분야 정부지출이 일반 상품 및 소비시장에도 시장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정부 지출이 정부 프로젝트 시장이 소비시장도 주도함.

 

최근 국제유가, 석유수입 및 GDP 추이

    

2006

2007

2008

2009

2010

 평균 유가(달러/b)

- 증감률(%)

  60.5

 (21.2)

   68.1

 (12.6)

  93.4

 (37.2)

  60.5

 (-35.2)

  71.3

 (17.9)

석유 수입(십억 달러)

 188.9

  205.5

  281.0

 148.1

 177.5

 명목 GDP(십억 달러)

- 증감률(%)

 356.6

 (13.6)

  384.1

  (7.7)

  468.8

 (22.1)

 369.2

(-21.2)

 416.5

 (12.8)

자료 : SAMA 및 EIU

 

  다층적 소비시장 구조, 젊은 시장

  - 중산층 이상 사우디아라비아인 : 고급·고가제품 선호(200년대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자체 경제규모가 커지고 ‘90년대 이후 줄곧 추진해 온 Saudization 정책(자국민 고용우대 정책)이 가속화되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인들의 중산층으로 편입이 증가, 중산층이 두터워지는 양상

 

  Merilynch사(Global Wealth Management, 2009)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내 100만 달러 이상 투자능력을 가진 초고소득층은 약 9만 명으로 추정

   - 빈곤계층 및 제 3국인 : 중저가품을 선호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자체 자국민과 제3국인 노무자 수는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인구의 1/3 수준으로 추정

  - 연령적으로는 청소년층이 다수(30대 이하가 전체 인구의 70% 이상 차지)를 차지, 이들 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 필요

 

자료 :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및 기획부

 

 ㅇ 지리적·문화적으로 특성화 된 상권 형성

  - 사우디아라비아는 리야드 중심 중부권(종합품목), 제다 중심 남서부권(소비재 등 경공업제품), 담맘 중심 동부권(오일·가스 플랜트 및 기자재) 등 3개의 상권시장으로 대분됨.

  - 특히 제다 중심 서남부권은 직물 및 가전제품 등 주소비재시장이라 할 수 있는데, 제다지역 자체 시장 수요 외에도 아프리카 등지로의 중계무역이나 우무라 및 하지 등 성지 순례객 대상 특수도 가지는 종합적인 기능의 소비재 시장이라 할 수 있음.

 

 ㅇ 수입 의존적 시장 구조

  -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전히 로컬 제조산업이 취약, 대부분의 제품이 수입으로 충당됨.

  - 이로 이해 관세장벽이 낮아 전 세계 제품이 경쟁하는 완전 경쟁체제의 수입시장 구조를 가짐.

 

□ 우리 상품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현황

 

  최근 수출 총괄

  - 2005년 최초 20억 달러를 넘어선 이후 2006년 이후 수출이 본격화돼 2008년에는 무려 52억 달러 선까지 올라갔으나 2009년에는 세계경기 침체 여파로 인해 전년대비 27%가 감소하며 다시 39억 달러 선으로 수출금액이 하락함.

  - 올해에는 다행스럽게도 사우디아라비아 경기의 회복과 민간소비 증가때문에 올해 들어 수출 감소세 대폭 둔화되다 결국 4월 들어서는 4월 말 현재 증가세로 반전됨.

 

對사우디아라비아 수출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1~4

수출액

2,978

4,026

5,253

3,857

1,240

증감률

42.3

35.2

30.5

-26.6

3,.1

자료 : 관세청

 

 ㅇ사우디아라비아 내 우리의 위치

  - 가용한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 ‘08년 수입통계 기준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대사우디아라비아 5대 수출국이며, 시장점유율은 4.5% 차지

 

                                                                                           (단위 : 백만 달러, %)

   

2007년

2008년

P.E직물(134)

기타섬유제품(117)

변압기(210)

기타섬유제품(98)

PE직물(112)

타이어(141)

화물자동차(63)

공조기(86)

공조기(107)

에어컨(56)

타이어(81)

화물자동차(107)

컬러 TV(47)

선박(65)

P.E직물(99)

타이어(46)

화물자동차(63)

철강 및 비합금형강(99)

기타직물(31)

건설중장비(57)

무선전화기(89)

냉장고(30)

합성수지(49)

기타섬유제품(82)

금(27)

철강 및 비합금형강(43)

화학기계(75)

 10대 품목 소계(비중)

726(57.5)

1,220(58.3)

2,082(54.0)

자료 : 관세청

 

  - 2000년부터 5년 단위로 해 최근 ‘09년까지의 대 사우디아라비아 수출 10대 품목 구조추이를 살펴 본 결과, 2000년도에는 상위 10대 수출품목으로 버젓이 자리매김을 하던 직물이나 섬유제품, 에어컨, TV,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 등의 생활용품 등은 2005년부터는 뒷전으로 물러나고 대신 공조기, 변압기, 건설중장비, 화학기계, 철강 및 비합금형강 등 설비류 및 건설자재 등이 주류 품목으로 등장

  - 이는 가전제품 등의 경우 제3국 생산이 늘면서 직수출이 줄어든 데다 2005년 부터 현지 플랜트 프로젝트 증가로 우리 업체들의 수주실적이 증가하면서 관련 기자재 공급도 덩달아 늘어난 데 기인한 것으로  평가됨

  - 승용차, 타이어, 화물자동차 등의 자동차 관련 제품도 크게 두각을 보임. 특히 승용차의 경우 ‘09년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미국산과 일본산의 상대적 부진에 따른 반대 급부적인 요인 때문에 승용차가 단일품목으로 최초로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실적 10억 달러를 상회하는 쾌거를 이룩함.

 

  우리 수출의 특징 및 문제점

  - 자동차 및 일부 산업기계에 지나친 의존 현상을 보임. 특히 타이어, 승용차 및 화물자동차 이들 3개 자동차 관련제품은 우리 전체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의 34%, 상위 10대 수출품목의 63%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함.

  -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내 대규모 시장 규모를 자랑하는 소비재 분야에 대한 진출이 크게 미흡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서 탈 석유화학정책의 일환으로 강조하는 의료, 교육, IT 등 사우디아라비아 신성장분야에 대한 진출도 극히 부진

 

  한국산 제품에 대한 전반적 현지 평가

  - 전반적 중·고가품 이상 품질로 평가하는 등 대체로 높게 평가가 됨.

  - 특히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 품질이 크게 뒤지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은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함. 그러나 문제는 우리 제품의 가격이 이들 선진국 업체에 비해 지금보다는 저렴해야 한다고 보는 바이어들이 이외로 많아 가끔 형상에 걸림돌이 됨.

  - 또한, 최종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에 대한 구매욕이 많은 편이나 일반적으로 바이어들이 주로 중국산 중·저가품을 대량으로 수입 유통업자에게 일괄 판매처리를 하는 경향이 많아 최종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국산을 구매하려고 해도 선택의 여지가 없어지는 품목들이 더욱 많은 실정임.

 

□ 주요 진출유의사항 및 진출 전략

 

  사우디아라비아 상권에 맞는 시장 진출 전략 세워야

  - 서두에 상기 한 바 대로 사우디아라비아는 크게 동부, 서남부, 중부 등 3개 상권으로 대분되고 시장 특성 또한 명확하게 차이가 나는 시장이기 때문에 현지 수출을 위한 마케팅이던 아니면 투자진출이던 정확히 시장 여건에 맞는 진출 전략이 모색이 돼야 할 것임.

 

  신성장분야에 대한 진출 공략 강화

  - 사우디아라비아는 최대 정책과제는 소위 Post oil 시대를 대비한 산업다변화 정책으로, 이중 교육, IT, 의료,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 신성장분야는 정부에서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는 중요 분야임.

  - 특히 이 분야에 우리 업체들의 진출이 아직은 부진한 만큼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필요한 분야임.

 

  플랜트 기자재에 대한 진출 요망

  - 플랜트 기자재는 연간 70억 달러를 상회하는 국내업체들의 최고의 플랜트 수주실적 거양과 함께 관련 국산 기자재의 동반진출 효과가 상당히 기대가 되는 분야라 할 수 있음.

  - 특히 전체 플랜트 금액에 60%가 기자재가 차지(보일러, 시스템에어컨, 냉각기 등의 공조기, 열교환기, vessel 등의 화학기계, 기타 발전·담수, 화공분야 기자재 등이 유망)하는 여건임을 감안하면 우리 업체들의 수주실적이 돋보이는 발전, 담수, 정유, 화공 분야 쪽의 기자재가 유망하다 할 수 있음.

 

  유망 중소형 플랜트 분야도 유망

  - 5대 핵심 클러스타 분야 : 자동차 및 부품 생산플랜트 및 수리 장비, 금속가공설비, 건자재 생산 플랜트, 플라스틱 제품 생산 플랜트 및 포장기기, 전기.전자제품 생산 플랜트

  - 환경 관련 플랜트 : Garbage Recycling Plant, 집진설비 및 필터생산플랜트, 폐수 및 하수 처리 기자재 등, 쓰레기 및 의료용 폐기물, 산업용 폐기물 소각장치 등

  - 건설 분야 관련 플랜트 :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콘크리트 블록 및 벽돌생산플랜트, 콘크리트 배칭 플랜트, 건설중장비 등

 

 

자료 : 현지 진출 국내업체, 현지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리야드KBC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상권별 특성에 맞게 시장 공략해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