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가공무역 금지 추가조치, 홍콩기업의 반응과 영향
  • 통상·규제
  • 홍콩
  • 홍콩무역관 박해열
  • 2007-02-28
  • 출처 : KOTRA

가공무역 금지 추가조치, 홍콩기업의 반응과 영향

 

보고일자 : 2007.2.28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 홍콩의 전반적인 영향

 

 Ο “11․1” 가공무역 금지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국가는 홍콩으로 약 3만 6000개 정도의 홍콩 기업이 영향권에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통계에 따르면 광동성 지역에는 9000여개의 가공무역 관련 기업이 존재하는데 이 중 70% 이상이 홍콩과 마카오 자본으로 건설된 기업으로 이들이 “11․1” 조치의 피해 기업이 될 것임.

 

 Ο 홍콩의 항생은행 관계자는 “11․1” 조치로 중국에서 가공무역을 추진하고 있는 상당수의 홍콩기업에 세금 부담을 가중시켜 경영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Ο 홍콩 상공회는 2007년 초부터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대처 방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홍콩, 마카오 내 중국 정치인들은 광동성 정치 협상 회의에 참석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Ο 궁극적으로 “11․1” 조치로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협정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던 홍콩과 중국 간 무역교류에 제동이 걸리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음.

 

 

□ 홍콩 기업의 영향 및 반응

 

 Ο 중국에서 가공무역을 추진하고 있는 홍콩 기업 또는 홍콩 자본의 기업은 대략 만 개로 추정하며 이번 조치로 이들은 공장 가동 중지, 폐업 등의 심각한 조치를 고려하고 있음.

 

 Ο 특히 4000여개의 홍콩 內料가공 기업이 진출해 있는 둥관 지역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 회사들은 평균 500여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어, 약 50만 명의 실업 발생을 우려하고 있음. 또한 이들에게 부과될 추가 세금은 1600억 위엔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음.

 

 Ο 또한 홍콩 가공무역 기업으로부터 생산된 제품을 운반 보관하는 홍콩 물류회사들에도 큰 타격이 예상됨. 광동성과 홍콩의 수출입무역액이 2006년 1126억 달러에 달하며 전년보다 25% 성장한 규모를 보면 홍콩 물류회사들도 긴장하지 않을 수 없음.

 

 Ο 대부분의 홍콩의 기업들은 점차 줄어드는 세제 혜택과 늘어나는 금지 조치에 높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조치에 강력하게 반발하기 보다는 광동성과의 연계를 통한 대책 마련을 모색하고 있음.

 

 

□ 홍콩 정부의 반응

 

 Ο CEPA 협정으로 점차 허물어져 가고 있던 中港간의 무역장벽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무역량이 “11․1” 조치로 위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홍콩은 중국정부에 정부차원의 조치를 요청하고 있음.

 

 Ο “11․1” 조치 발표 이후 홍콩 정부는 홍콩 내 중국전인대 대표, 전국정협위원, 전국정협상무위원 등을 동원 그간 홍콩이 중국 경제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 특혜를 고려할 것을 강력히 요청함.

 

 Ο 홍콩의 대표적인 친중파 정당인 民建聯도 이번 조치에 당내의 전국인민대표와 전국정협위원을 앞세워 홍콩 기업에 1년 유예 기간을 줄 것으로 요청함.

 

 Ο 홍콩 상공회는 △ 경영방식의 전환(三者기업 또는 獨資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절차가 필요) △ 계약 완성(계약을 맺고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있는 기업들에는 시간이 필요) △ 상업적 배려(고객과 원료 공급지의 변경, 생산 공정의 조정을 위해서는 시간과 자금이 필요) 등을 주장하며 광동성 정부와 협상 중에 있음. 또한 업데이팅되는 사항에 대한 정보 전달을 위해 지속적인 세미나 개최를 계획하고 있음.

 

 Ο 홍콩의 가장 큰 영향권에 있는 광동성 정부도 홍콩 기업을 지지하고 있음. 광동성 부성장 탕빙추엔은 주강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홍콩 기업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홍콩 기업이 향유하던 특혜를 점진적으로 축소할 것을 주장함.

 

 

□ 홍콩 기업의 대처 방안

 

 Ο 2007년 1월 26일 개최된 ‘중국내륙가공무역정책 연구 토론회’에서 대부분의 홍콩 기업은 중국의 점진적인 외자 기업 특혜 축소 정책의 궁극적인 대책으로 ‘기업 구조의 변화, 즉 獨資기업 및 三者기업으로의 전환’을 내 놓았음. ‘獨資기업 및 三者기업’으로 전환은 회사등록비용, 기계 설비 비용 등 각종 비용의 증가가 확연하지만, 중국 정부의 각종 세제 개혁 정책과 특혜 축소 정책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당한 세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

 

 Ο 홍콩 기업은 “兩頭在外(홍콩에서 회사를 운영하고,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다시 홍콩으로 수출하는 형태)”의 경영 방식을 변경코자 함. 즉 ‘중국에서 모든 비즈니스를 관여하고, 제품을 생산해, 중국 내륙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변경코자 함. 무늬만 홍콩 기업이지 결국 중국 기업으로 변경해 중국 내수의 비중을 높여갈 계획임.

 

 Ο 또한 홍콩 기업들은 마지노선으로 타지역 혹은 타국으로 공장 이전을 검토하고 있음. 환경 규제나 법률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같은 국가로 공장 이전을 고려하고 있음. 이에 광동성 정부는 경영 코스트가 적게 드는 광동성 북쪽으로 이전을 권유하고 있음. 하지만 타국으로의 공장 이전도 이전 비용과 자국과 같은 중국이 갖는 이점과 비교해서 매력적이지만은 않은 실정임.

 

 Ο 홍콩의 한 회계사는 “11․1” 조치로 홍콩기업의 "독자기업 및 三者 기업"으로 전환이 가속화될 거라 전망되나 독자기업 및 제3자 기업으로의 전환 시 각종 세제, 노무 관계 등 복잡한 절차들이 많이 산재해 있음을 우려함.

 

 

자료원 : 홍콩 언론 종합, 홍콩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가공무역 금지 추가조치, 홍콩기업의 반응과 영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