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한-GCC 수출입동향 분석 및 시사점
2006년 한-GCC 수출입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수출 25%증가, 78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 -
- 대 사우디, 카타르, 쿠웨이트수출이 크게 증가 -
- 고유가에 따라 수입도 30%증가한 541억 달러, 463억 달러 적자기록 -
보고일자 : 2007.2.28.
권용석 리야드무역관
□ 2006년 수출입 총괄
○ 2006년 한국의 對GCC(걸프협력회의) 수출은 77.7억 달러(24.8%증가), 수입은 540.7억 달러(29.6%증가)로 무역수지는 463억 달러 적자 기록
- 수출은 고유가 및 원화강세 등 불리한 대외 무역환경에도 불구, 한국의 전체수출증가율(14.4%)에 비해 10%p이상 높은 신장세를 기록
- 수입은 고유가에 따른 원유수입액의 증가로 전년대비 29.6%증가
- 수출의 대폭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유수입액의 증가에 따라 무역수지적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463억 달러)
한-GCC 년도별 교역현황
(단위 : US$ 100만,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금액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세계총계 | 253,845 | 284,419 | 12.0 | 325,465 | 14.4 | |
GCC소계 | 5,179 | 6,227 | 20.2 | 7,774 | 24.8 | |
GCC비중 | 2.04 | 2.19 |
| 2.39 |
|
자료원 : KITA 한국무역통계
- 경기활성화 및 할부금융제도의 활성화 등으로 외국인 및 중산층 이하에서의 중소형 자동차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중소형차 위주인 한국산 자동차 수출이 크게 증가
- 각종 건설 프로젝트, 석유화학 플랜트 및 신도시 개발 등 메가 프로젝트 등 각종 프로젝트 발주가 크게 증가하면서 철강제품, 산업기계, 비철금속 등의 수출이 크게 호조
- 다만, 전통적인 수출주력 품목이었던 섬유류는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 밀리면서 시장수요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부진하였고, 휴대폰은 Nokia의 GCC시장 점유현상 심화에 따라 고전
○ GCC내 사우디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면서 직수출 비중이 증가
- 사우디 등 최종 소비국의 바이어들이 UAE 등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입하는 패턴으로 전환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경기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사우디의 역할이 크게 증대
- 중계지역을 통한 우회수출이 부진하여 UAE(6.0%), 바레인(5.8%)으로의 수출증가율은 5%˜6% 정도로 둔화
○ 2006년 수입은 유가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원유수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對GCC 전체 수입이 크게 증가
○ 對GCC 교역구조상의 특징
- GCC와의 교역에서 우리나라는 2005년도에 355억 달러 적자, 2006년 463억 달러 적자로 적자 규모가 수출액 대비 6배의 극심한 무역역조 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나,
- 적자의 원인이 고유가에 따른 원유수입(원자재)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수출은 자동차, 철강 등 주력상품으로 구성돼 있어 교역 구조적 측면에서는 건전한 구조라 할 수 있음.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해외시장뉴스 기사는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나 표 자료 등 공사가 직접 작성하지 않고 별도 출처가 명기된 외부 자료의 사용에 대해서는 해당 출처의 담당자와 별도 협의한 이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말련, 미국과의 FTA 협상 현황 | 말레이시아 | 2007-02-28 |
2 | 루마니아정부, 투자법 개정 추진 | 2007-01-30 | |
3 | Tanger, Expo 2012 유치활동 본격 추진 | 모로코 | 2007-01-29 |
4 | 리비아 2005년 무역흑자 전년보다 84% 증가 | 2007-01-31 | |
5 | 도미니카(공) 세관, 수입상품 무작위 심사 강화 | 도미니카공화국 | 2007-02-2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