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의류-패션업계 내수시장 불황 속 한국기업의 진출방향
  • 트렌드
  • 중국
  • 청두무역관
  • 2018-10-15
  • 출처 : KOTRA

- GDP 성장률 둔화, 원가 상승으로 의류업계 순이익률 하락세 -

중소기업은 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 및 편집숍 입점 고려해볼만 -




중국 의류업계 현황


  ㅇ GDP 성장률 둔화 등 국가 경제 요인으로 의류업계를 비롯 식품, 생활용품 등 소매업 전반의 매출이 줄고 있는 상황임.


중국 실질 GDP 성장률


자료원: 중국산업망(中国产业网)


의류업계 판매 평균 순이익률  

 

자료원: 중국산업망(中国产业网)


  ㅇ 중국 의류산업 원가 상승으로 순이익률 하락
    -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7년 일정 규모 이상의 중국 의류 제조업체는 총 1만5,825곳임. 그 중 1,786개 기업이 적자를 냈고, 적자 평균은 약 297만8,700위안이었음.
    - 전통 판매방식의 쇠퇴 및 온라인 판매망의 빠른 발달, 인건비, 원단비, 설비 비용, 임대료 등의 원가 상승으로 전통 의류업계는 벌써부터 '극소 이윤시대(微利时代)'에 접어들었다고 전함. 특히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통계에 따르면, 2016년도에 이미 중국의 매월 인당 인건비는 400달러를 돌파하여 베트남의 2배, 방글라데시의 4배 수준에 달했으며, 매년 10% 이상의 증가율을 유지하며 상승할 것으로 예측됨.


최근 의류업계 원가 상승 현황

 

자료원 :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 2017년 중국 의류업계 연매출은 2조1,90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1% 감소하였고, 연간 총이윤은 1,26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0% 감소하였음.


2011~2017년 중국 의류 제조업 현황

자료원: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ㅇ 중국 내 현지 및 해외 브랜드 매출 부진

    - 일본의 의류 및 생활용품 소매업체 무인양품(無印良品, MUJI)이 최근 발표한 회계연도 2019년 2분기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무인양품 중국시장 판매 실적은 중국 진출 이래 처음으로 하락하였고, 매출 부진으로 인해 중국 시장 수익이 0.2% 감소하였음. 8월 말 중국 내 무인양품 지점수는 235개로, 상반기 동안 8곳이 새로 오픈하였으나, 2곳이 문을 닫아 총 6개 점포 증가에 그쳤음. 중국 시장 진출 초기에 못 미치는 소비자 반응을 끌어올리기 위해 여러 차례 가격 인하를 실시했으나, 지점수가 200개를 돌파한 후로는 가격 인하 전략으로도 무인양품의 난항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8월, 호주 의류 브랜드 Jeanswest의 홍콩 모회사 글로리어스 선 역시 매년 적자로 돌아선 중국 의류 사업을 8억 홍콩 달러에 매각하고, 홍콩, 마카오, 동남아 시장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음. 글로리어스 선은 온라인 판매 사이트 재정비 및 확장, 공급망 효율성 제고, 마케팅 투자 확대 등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치열한 시장 경쟁,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확대로 인해 고객들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보임.

    - 외국 브랜드 뿐 아니라 현지 유명 브랜드 Yishion(以), Metersbonwe(美特斯邦威),  Deerway(德尔惠)등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임.


주요 한국 의류(패션)기업 중국 진출 현황

 

  ㅇ 2017년 티몰에서 발표한 티몰 내 여성복, 남성복 매출 순위 상위 20개 브랜드 중 우리나라 패션 브랜드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티니위니는 중국 기업에 매각). 다만, 한국 스타일(韩版) 의류를 판매하는 중국 온라인 쇼핑몰 한두이서(韩都衣舍)가 상위권에 올라있는 것을 볼 수 있음.


2017년 티몰 여성복(좌), 남성복(우) 브랜드 매출 순위


자료원: 티몰(天猫)


  ㅇ 중국 내 오프라인 매장 운영 현황


브랜드명

현황

더 베이직하우스


- 2004년 중국에 진출했던 더 베이직하우스는 중고가 여성복 이미지를 지키며 꾸준히 매출 성장을 지속해왔음. 올해는 중국에 180개의 신규 매장을 추가로 출점할 예정임. 2017년 중국 내 매장수가 1,768개였고, 더베이직하우스의 계획대로 신규 출점할 경우 중국 내 매장 수는 1900개를 웃돌게 됨. 2004년 진출 이후 순탄하게 중국 사업을 이어가고 있었으나 2014년부터 대륙 사업 이익률이 점차 하락하며 수익성이 악화되었음. 

- 온라인 부문에서는 현재 티몰에 입점해 있음.

이랜드 그룹


- 이랜드 그룹은 1994년 중국에 진출하여 2011년 중국 내 매출은 1조 원을 돌파하였음. 2016년 기준 중국 내에 7,7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음. 그러나 중국 사업 부진으로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2013년 부채비율이 400%까지 높아지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017년 1월 패션 브랜드 ‘티니위니’를 중국 기업에 매각하였음. 현재 중국 사업 회복을 위해 베이징, 상하이 등 1선 도시에 집중했던 백화점 사업을 칭다오, 항저우, 난징 등 2,3선 지역으로 확장하고 온라인 쇼핑몰 채널을 강화하고 있음.

- 온라인 부문에서는 현재 티몰에 입점해 있음.

에잇세컨즈


- 2016년 9월 30일 중국 상하이에 에잇세컨즈 플래그십스토어를 오픈하였으나 영업 실적이 저조하여 결국 2018년 5월 14일부터 상하이 매장 철수를 시작하였음. 그 이외에 추가 출점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온라인 부문에서는 현재 티몰에 입점해 있음.


□ 중국 온라인 의류 시장 지속적 확대 추세


  ㅇ 2016년 중국 온라인 의류 소매시장 규모는 9,340억 위안으로 집계되었으며, 최근 5년 복합 성장률은 약 36%를 유지해왔음.


온라인 의류 시장 거래 규모

자료원: China’s E-commerce Research Center


  ㅇ 구매 경로를 보면, 중국 성인 소비층의 36%가 온라인에서 옷을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그 중 티몰과 타오바오를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음.

 

중국 성인 소비자 의류 구매 경로(2017)

자료원: ProsperChina, Quarterly Consumer Surveys


  ㅇ 중국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의류 구매 시 가장 중시하는 것은 브랜드인 것으로 나타났음(51.5%). 그 뒤는 품질, 가격, 종류, 서비스 순이었음.


중국 이커머스 소비자 의류 구매 시 고려 요소(2017)


자료원: China’s E-Commerce Research Center

 

  ㅇ 괄목할만한 것은 저소득층의 온라인 소비 증대임. 조사에 따르면, 연소득 5만 위안 이하인 소비자 중 40%가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소득이 높을수록 온라인 쇼핑 비율은 낮아지는 양상을 보임.


연소득 구간별 온라인 쇼핑 비율(2017)

자료원: China’s E-Commerce Research Center


중국 의류시장 유통망

 

  ㅇ 오프라인 방면으로는 최적의 유동인구를 보유한 쇼핑센터 및 백화점 등은 입점에 필요한 초기 비용이 크고, 매출 성장률이 매년 둔화되는 양상을 보임. 그러나 유통 효과가 있는 대형 브랜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로 더 좋은 위치에 있는 매장을 선점해 매출을 올릴 수 있기도 함. 백화점별 입점관리부서(招商部)와의 교류를 통해 좋은 위치에 입점 기회를 얻거나 현지 유력 대리상을 소개받을 수도 있음. 또한, 현재 상하이를 중심으로 편집숍이 증가하는 추세임.  

 

  ㅇ 온라인 방면으로는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온라인 쇼핑몰 비율이 갈수록 상승하는 가운데 유수 브랜드는 대형 온라인 플랫폼에서 더 많은 소비자 확보 및 다양한 혜택 수혜가 가능함.

 

  ㅇ 2011~2016년 업계 조정단계에서 선두기업은 장벽을 구축하기 시작했음. 진입 장벽이 낮은 의류 산업 자체의 특성상, 선점 우위 효과가 중요해 기업들은 공급망을 확대하여 시장 선점에 주력하였음.

 

중국 의류시장 성장 가능성 보유 

 

  ㅇ 현재 선진 시장에 비해 의류 소비가 매우 적으나 소득 및 소비 수준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시장 발전 가능성이 큼. 2016~2021년 중국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스포츠 의류는 각각 2%, 1.5%, 3.9%, 7.6%의 연평균 복합성장률을 낼 것이라 예측됨.  

    - 특히 스포츠 의류의 경우 현재 지속적 성장세에 있으며, 미래 성장 예측치 역시 큰 것으로 집계됨.

 

2016-2021 중국 패션 업종별 성장률 예측치

자료원: 중국산업망


2017년 패션업계 업종 집중도

자료원: 중국산업망 


□ 중국 청두시 20대 소비자 대상 의류(패션) 선호도 등 설문조사


청두시는 의류 도매시장부터 중고가 쇼핑몰, 명품 거리가 집결되어 있는 중국 서부지역의 쇼핑 메카임. 본 무역관은 중국 젊은 소비층의 한국 의류 인식 및 구매 현황을 통하여 한국 기업의 진출 방향을 모색하고자 청두 지역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음. 결과는 아래와 같음. (복수 응답, n=60)


1. 한국 의류 구입 경로



2. 의류 구매 시 중시 요소



3. 한국 패션 브랜드 접촉 경로



4. 여성 소비자의 경우 영캐주얼, 평상복, 스포츠 의류 순으로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남. 제품 항목별 소비로는 아우터, 치마(스커트, 원피스), 티셔츠, 바지, 셔츠, 기타 순이었음.


5. 남성 소비자의 경우 역시 영캐주얼, 평상복, 스포츠 의류 순으로 많이 소비함. 제품 항목별로는 아우터, 티셔츠와 셔츠, 바지, 기타 순이었음.


6. 한국 브랜드 인식에 대한 질문에 90% 이상이 ‘트렌디함’, ‘디자인이 우수함’이라고 답함.  



시사점

 

  ㅇ 한류 등의 영향으로 기본적으로 한국 의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형성돼 있음. 그러나 한국 패션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비교적 낮은 편으로 현지 대형 의류기업과 합작해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는 것이 시장진출 방안이 될 수 있음.

    - 휠라코리아의 경우 중국의 안타 스포츠와 합작해 중국 법인을 설립하였고, 2018년 1분기 기준 오프라인 매장 1,101곳을 보유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ㅇ 의류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새로운 유통 채널 개발, 새로운 판매방식, 새로운 디자인이 중요 요소로 부상함.

    - 도시화 농촌 진흥에 따라 중저소득층의 소득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3, 4 도시의 발전 가능성이 . 최근 전 세계 대형 의류 기업이 3, 4선 도시들에 눈을 돌려 시장 선점 준비를 하고 있음. 선점우위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3선, 4 도시 진출을 준비해야함.

    - 소비 수준 상승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보온 등이 옷의 기능적 측면보다는 생활 문화 수준, 지위 옷이 나타내는 개별 특성 측면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 이에 따라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 특수 매니아 브랜드 소규모 브랜드는 편집숍 입점 등을 통하여 중국 입지를 굳힐 있는 가능성이 커짐.

    - 이커머스의 활성화로 오프라인 매장 설립 시 단순판매 이외에 소비자가 새롭다고 느낄만한 요소가 필요함. 매장 VM연출 등에서 차별화할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

    -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인공지능기술을 도입하여 화면으로 옷을 입어볼 있는가상 피팅 서비스’등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도 업계 화두로 떠오르고 있음. 

 

  ㅇ 중국 소비자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이 선행돼야 함.

    - 중국은 국토가 넓은만큼 체형도 일률적이지 않음. 특히 여성 소비자의 경우 북부지방은 허리가 길고 팔다리가 체형이 많아 우리나라 사이즈가 작은 경우가 다수 발생함. 또한, 중국 여성 소비자가 선호하는 색감, 프린팅 등은 한국 여성복 브랜드 디자인과 다소 차이가 있음. 지역 소비자에 대한 조사 후에 그에 맞는 제작 판매가 이루어져야 .

 

  ㅇ 중소 자본 의류 기업의 경우 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먼저 입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 중국 젊은 소비층의 경우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비율이 많아지고 있으며, 브랜드를 크게 중시하지 않는 경향을 보임.     

    - 징동닷컴은 최근 서울에 한국 지사를 내고, 징동닷컴 내 한국 제품 판매 규모를 확대할 것임을 밝혔음. 이를 통해 한국 상품 구매 규모가 조만간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ㅇ SNS를 통해 한국 의류 제품을 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SNS, 왕홍(网红) 마케팅 등을 이용해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ㅇ 오프라인 매장 설립을 계획하는 경우 최근 중국 내 증가하는 편집숍 입점이 방안이 될 수 있음. 중국 내 대규모 패션 전시회 출품, 무역박람회 참가 등을 통해 바이어와 직접 접촉해 입점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음.         

 

 

자료원: 중국산업망(中国产业网),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티몰(天猫), China’s E-commerce Research Center, ProsperChina, Quarterly Consumer Surveys, KOTRA 청두 무역관 자체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의류-패션업계 내수시장 불황 속 한국기업의 진출방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