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폴리에틸렌 시장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18-07-07
  • 출처 : KOTRA

- 러시아 내 자체 공급 부족으로 수입 지속 전망 -

- 러시아 직접 수출 이외에 현지 생산 가능성도 검토 필요 -




□  상품명 및 HS코드


  ㅇ 상품명: 에틸렌중합체(폴리에틸렌)

   HS Code: 3901


폴리에틸렌 종류별 HS Code 구분

HS Code

상품명

390110

폴리에틸렌 (비중 0.94 미만)

390120

폴리에틸렌 (비중 0.94 이상)

390190

기타 에틸렌 중합체

자료원: www.tks.ru


□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폴리에틸렌은 러시아 플라스틱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많으며 최근에는 포장 산업을 원동력으로 성장하고 있음. 

    - 2016년까지 압출 코팅 부문(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 코팅)의 꾸준한 수요가 있었으나 현재 파이프 부문 수요는 축소되고 있음.


 폴리에틸렌 유형별 주요 사용 분야

유형

포장 부문

건설 부문

전기 공학 및 케이블 산업

기계 산업

소비재 및 기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

식품, 기술, 농산물필름, 가방, 라미네이션

파이프라인 단열

단열, 외장 케이블

-

컨테이너, 장난감,

의료용 및 기타 성형 제품

고밀도
폴리에틸렌 (HD)

식품, 향수 및 화장품, 자동차 및 가정용 세제, 연료 탱크 및 배럴용 용기, 각종 포장 필름, 봉투

파이프 및

파이프라인 일부

-

엔지니어링 부품

포장지, 컨테이너, 병 등 윤곽 성형 제품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

포장용 다층 스트레치 필름 (고온 비식품 포장 포함), 의료용 포장

-

-

-

소비재 캐스팅, 로터리 몰딩

초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자량 100만
이상) (UHMW)

-

-

-

조선(패널, 케이블, 클래딩조선소), 기계장치부품

군용 제품(헬멧, 고글, 각종 보호장비), 스포츠 용품(펜싱복, 등산장비), 호보대 , 부식성 액체용 용기.

자료원: https://article.unipack.ru/69211


™  ㅇ™ 러시아 시장에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에 대한 수요가 가장 크며 소비구조의 반 이상을 차지함.

    - 시장의 3분의 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나머지는 선형 폴리에틸렌(LET)이 10%를 차지함.


™  ㅇ™ 지난 10년간 러시아 폴리에틸렌 생산량은 70% 이상 증가했으며 생산력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 결과로 러시아 내 생산량이 60만 톤 이상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생산제품의 종류도 확대함.

    - 2017년 기준 러시아 내 폴리에틸렌 생산량은 168만 톤, 소비량은 189만 톤을 기록해 수요에 비해 생산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러시아 폴리에틸렌 시장동향

(2016~2017년 기준)

(단위: 천 달러, %) 

지표

2016

2017

생산량

1,942

1,680

소비량

2,190

1,890

수출량

307

-

수입량

555

604

소비 대비 수입비율

25

32

생산 대비 수출비율

16

n/a

자료원: http://plastichelper.ru/news


  ㅇ™ 폴리에틸렌 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석유 및 원자재 가격이 하락으나 러시아 루블 가치절하로 인해 2014~2016년 러시아 중합체 가격은 세계 추세와는 대조적으로 상승했음.

    - 2016년부터 제품에 따라 가격 상승률이 8~11%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017년 초 우즈베키스탄 공급업체의 등장으로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함.


러시아 폴리에틸렌 연평균 가격변화율

(단위: %)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변화율

-6

16.7

27.5

9.9

-10.7

자료원: http://plastichelper.ru/news


수입동향


™  ™ 2017년 기준 러시아 폴리리에틸렌 수입 규모는 약 9억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8% 증가함.

    - 2016~2017년 수입량의 급증은 수입 대체 정책의 효과가 아닌 러시아 루블 가치절하로 인한 수입품 가격상승에 따른 수입품 소비의 감소라 볼 수 있음. 

™  ™2017년 기준 독일이 1위 수입국이지만 2~3위 국가와의 수입비중 격차는 매우 근소함.

    - 그 중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2016년 1월에 개설된 우즈베키스탄-한국 화학산업 단지 “Uz-Kor Gas Chemical”에서의 생산이 본격화되며 수출도 증가한 것으로 예상됨.


 대러시아 폴리에틸렌 수입 통계 (HS Code 3901)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7년 기준)

2015

2016

2017

2017

전 세계

927.1

829.2

952.1

100

14.8

1

독일

110.5

97.5

108.9

11.4

11.7

2

우즈베키스탄

26.3

45.1

107.7

11.3

139.2

3

벨라루스

103.1

113.5

107.5

11.3

-5.2

4

한국

94.1

81.7

94.1

9.9

15.1

5

핀란드

80.8

55.1

79.6

8.4

44.7

6

사우디아라비아

117.1

100.8

71.7

7.5

-28.9

7

프랑스

50.2

37.2

40.7

4.3

9.3

8

네덜란드

52.6

38.8

36.5

3.8

-6

9

태국

42.1

29.9

32.6

3.4

8.7

10

우크라이나

5.5

10.2

30.9

3.3

204.6

주: 순위는 2017년도 기준

자료원: www.gtis.com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 한국은 러시아 수입 시장에서 4위를 차지하며 전체 대러시아 수입 비중의 약 10%인 9400만 달러 규모를 유지하고 있음. 

    - 2017년에는 폴리에틸렌 종류 중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copolymers with vinyl acetate) 품목이 35%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수입도 전년 대비 약 15% 증가했음. 


 HS Code별 대러시아 한국제품 수입동향

순위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7년 기준)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HS Code: 390110, 폴리에틸렌 (비중 0.94 미만)

5

22.1

20.4

24.2

6.35

6.13

7.67

18.69

HS Code: 390120, 폴리에틸렌 (비중 0.94 이상)

4

39.9

27.2

24.5

13.1

12.1

7.72

-9.99

HS Code: 390190, 기타 에틸린 중합체 

2

24.7

25.6

24.3

10.5

11.78

14.84

-4.97

주: 순위는 2017년도 기준

자료원: www.gtis.com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 러시아 폴리에틸렌 시장의 주요 공급업자는 러시아 생산업체, 해외 생산업체(제조공급업체), 러시아 수입업체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 러시아 주요 국내 생산업체

    - 폴리에틸렌 시장의 주요 국내생산업자는 7개 석유화학기업들임. Kazanorgsintez사는 국내 총 생산량의 대략 50%를 차지하며 선두에 있음. Kazanorgsintez사는 저밀도, 고밀도 폴리에틸렌뿐만 아니라 에틸렌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매년 1만 톤씩 생산함.

    -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Kazanorgsintezdhk(48%), Tomskneftekhim(30%)을 비롯해 5개 공장에서 생산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Kazanorgsintez(49%), Nizhnekamskneftekhim(13%) 등 4개 공장에서 생산함.

    - 생산량은 Kazanorgsintez사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나 Nizhnekamskneftekhim(NKNKh)사가 훨씬 다양한 제품을 취급함.

    - 선형 폴리에틸렌은 NKNKh사가 유일한 생산업체이며 NKNKh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을 줄이고 선형 폴리에틸렌 생산을 늘리고 있음.


™  ™ 해외 생산업체

    - 러시아 국내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선형 폴리에틸렌의 70%는 여전히 수입품임. 반면 저밀도(14%), 고밀도(30%) 폴리에틸렌은 수입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음.

    - 주요 업체로는 Sabic(사우디아라비아), Borealis(오스트리아·핀란드), Polymir(벨라루스)가 있음.

    - Sabic사는 다량의 선형 폴리에틸렌 필름을 러시아에 수출(2015년 Sabic사 수출량의 80% 차지)하고 있으며 파이프 또는 포장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한 제공.   

    - Borealis사의 수출량 반 이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차지하며 철 파이프 방식 코팅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 Borealis사의 공급량은 대략 13%가 케이블 단열용 PVD이며 나머지는 전부 선형 폴리에틸렌임.

    - Polymir사는 압출필름 생산에 쓰이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제공.

    - 이외에도 ExxonMobil Chemical (벨기에), Dow(미국), Shurtan MCC(우즈베키스탄), 대림코퍼레이션(한국) 등의 기업이 러시아에 폴리에틸렌을 수출하고 있음.


™  ™ 러시아 내 폴리에틸렌 주요 수입 판매업체는 포장업체 Lava와 Tetra Pak사임.

    - 그 뒤를 Chelyabinsk Tube Rolling Plant OJSC, Polyplastic Group 등의 파이프 생산업체가 따름. 수입업자 중 일부는 유통업자이며 나머지는 자체 제품생산을 목적으로 수입함.


러시아 폴리에틸렌 주요 수입업체

(2016년 기준)

(단위: 톤, 달러, 개)

수입업체

홈페이지

수입량

수입액

평균가격

공급업체 수

OOO LAVA

www.lava-polimer.ru

13,044

17,475,740

1,339.75

15

AO TETRA PAK

www.tetrapak.com/ru

11,895

20,451 413

1,719.29

15

AO REZINEKS RUS

www.resinex.ru

5,855

9,462,064

1,615.99

37

OOO UK GRUPPA POLIPLASTIK

www.polyplastic.ru

5,755

9,082,762

1,578.21

27

ZAO RETAL

www.retalgroup.com

4,748

6,211,958

1,308.37

20

AO VIKSUNSKIY METALLURGICHESKIY ZAVOD

www.www.omk.ru/vmz

4,614

7,660,863

1,660.41

12

OOO POLIMER

www.euro-polymer.ru

4,545

7,678,236

1,689.56

21

OOO KOMPANIA KOROS

www.koros.biz

3,565

4,640,160

1,301.56

16

OOO ALPLA

www.alpla.com

3,409

5,477,184

1,606.77

15

OOO DESNOGORSKIY POLIMERNIY ZAVOD

www.dppsm.ru

2,997

4,746,030

1,583.65

11

OOO TRANSKHIM

www.transchem.ru

2,962

3,680,565

1,242.77

11

기타

-

105,422

170,420,070

1,616.55

875

자료원: http://www.ved-stat.ru/analiz/237


□  유통 구조


™  ™ ™러시아 폴리에틸렌시장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보유하고 있음.

    - 해외 수입제품의 경우에는 주로 2가지의 유통 채널이 있는데 첫 번째는 러시아 내 폴리에틸렌 생산업체가 직접 수입해서 새로운 포장으로 러시아 내 판매하는 것임.

    - 두 번째는 러시아 생산업체들에 원자재를 수입해서 공급하는 방식임.
 

러시아 폴리에틸렌 유통 구조 


자료원: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  관세율 및 인증제도


™  ™ 폴리에틸렌 수입관세 기본세율은 6.5%이며 면세는 러시아 자체 제품임. 수요 충족이 안 되는 에멀젼 PVC, 대 직경 파이프 3겹 코팅을 위한 폴리에틸렌 등 특수 품목만 해당됨.


폴리에틸렌 세부품목별 수입관세율

HS 코드

품명

수입관세

부가가치세

3901 10 1000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0%

18%

3901 20 9001

기타 폴리에틸렌 (지정함유율 이하의 알루미늄, 크롬, 철, 니켈, 티탄, 황 함유)

3901 40 0000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비중 0.94 미만)

3901 90 8000

기타 에틸렌 중합체

3901 10 9000

폴리에틸렌 (비중 0.94 미만)

6.50%

3901 20 1000

펄프

3901 20 9009

대 직경 파이프 코팅 목적 폴리에틸렌

3901 30 0000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3901 90 3000

이오노머 중합체

자료원: 러시아 연방 관세청


™  ™  폴리에틸렌 수입 시 적합성 인증서를 필요로 함.

    - 적합성 인증은 러시아 기술 규제 및 계량 연맹(Federal Agency for Technical Regulation and Metrology)의 인증서를 보유한 인증 전문기관에서만 발급할 수 있음.

    -™ 인증서 보유자와 제조사는 다를 수 있으며 해외 수입품의 경우 인증서 보유자는 러시아 수입회사, 제조사는 해외 업체가 될 수 있음. 


□ 시사점


™™  ™ 러시아 폴리에틸렌시장은 러시아의 수입 대체정책 성공으로 국내 생산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해외 제품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향후 장기간 대규모 투자없이는 러시아 생산제품으로 국내수요 충당이 어렵기 때문에 러시아 폴리에틸렌 수입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여전히 불안정한 환율변동에 따른 가격경쟁 심화는 한국 중소기업 제품 수출에 불안요소가 되고 있음.

    - OOO Polimer사 Mr.Igor Vladimirovichi에 의하면 “수년간 한국업체와 협력을 했으나 현재는 모스크바 수입업체를 통해 주문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양측 최소주문수량에 대한 견해차이로 직수입이 어려워지면서 한국제품 공급이 감소하자 값싼 중국제품 수입량을 확대했다”고 밝힘.


™™  ™ 현재는 한국제품의 수입 규모가 유지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러시아로의 직접 수출은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현지 생산업체와의 합작을 통한 러시아 국내생산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산업 전문 언론사 UNIPACK.RU, TKS.RU, GTIS, 러시아 연방 관세청, 통계위원회 및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폴리에틸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