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국의 디지털 기술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18-07-09
  • 출처 : KOTRA

- 방대한 인구와 자본을 바탕으로 중국 경제의 산업 효율성 제고시켜 - 

- 농업, 공업의 디지털화는 성장가능성 높아 중국 기업과의 협력 모색 필요 -

 


 

□ 중국의 디지털 경제

 

  중국의 디지털 경제발전 구조 및 규모   

    - 중국디지털경제발전백서(2017)에 따르면 중국의 디지털 경제발전은 디지털 기술, 인터넷 등을 기반으로 경제체제, 정부의 관리 감독, 법률적 보장 아래 각 산업의 디지털화를 추진해 디지털 경제발전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함.

 


중국의 디지털 경제발전 구조

   

자료원: 중국디지털경제발전백서(2017) 및 KOTRA 샤먼 무역관 재정리


    - 2016년 중국 디지털경제 총량은 22조6000억 위안으로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3%, GDP 기여도는 69.9%로 디지털 경제는 중국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임.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

(단위: 억 위안, %)

  

자료원: 중국디지털경제발전백서(2017) 

 

□ 산업별 디지털 현황

  ㅇ 서비스업의 경우 공유경제, 전자상거래 성장이 두드러짐.

    - 2017년 중국의 공유경제시장 규모는 4만920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7.2% 증가함. 특히 비금융분야 공유경제 시장교역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42.6%에 달함.

 

2017년 중국 공유경제 전년 대비 증가율

(단위: %)

 

자료원: 중국공유경제발전연도보고(2018), 중국국가정보센터(家信息中心) 

 

    - 전자상거래시장 규모 역시 빠른 증가를 보임. iResearch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규모는 20조2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6% 증가함. 그 중 B2B(Business to Business) 전자상거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온라인 구매, 오프라인 여행, O2O(Online to Offline) 생활서비스 순으로 나타남.

  ㅇ 공업 분야 디지털화는 아직 시작 단계

    - 2016년 공업 분야 디지털 경제 점유율 1위는 문화, 사무용 기기가 차지했으며 이어서 계측기, 기타 전기기기 및 기자재 순이었음.

    - 공업 분야 디지털 경제 규모 증가율은 평균 17%이며 전체 업종의 평균인 23%보다 낮음. 이는 공업의 디지털화 수준이 전반적인 국민경제 수준보다 낮음을 의미.

    - 문화사무용 기계설비 등 자본밀집형 업종이 방직, 가죽, 털, 양털 모직 방직염 등 노동집약형 업종보다 디지털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스마트 생산, 맞춤형 제작, 네트워크 협력, 서비스 확장 등의 융합발전 모델이 중국 공업 현장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음. 주장시(九江市) 석유화학공업 공장에는 2만 개의 실시간 데이터 수집소를 마련해 데이터 수집률을 95%까지 끌어올렸음. 이 같은 빅데이터를 기초로 석유의 분별 증류 장치의 안전분석과 스마트 예측 경고를 통해 생산 안전을 확보하고 있음. 

 

  ㅇ 농업의 디지털화 잠재력은 여전히 큼

    - 중국의 농업생산 디지털화 수준은 여전히 낮으며 농업의 디지털화는 평균 6.2%에 불과

 

2016년 중국 농업 분야별 디지털화 비율

(단위: %)

순위 

산업분야

디지털화 비율

1

임산품

10.6

2

수산품

8.2

3

농산품

6.4

4

축산품

3.9

자료원: 중국디지털경제발전백서(2017) 

  

    - 농업생산기술 설비 투입 부족으로 농업생산의 디지털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컴퓨터기술, 마이크로전자기술, 통신기술, 광전기술, 원격탐지기술 등 다양한 정보기술의 농업생산설비 원가가 비싸 중국은 소규모 농가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방식은 정보기술의 농업생산 활용을 제약하고 있음.

 

  ㅇ 공공서비스 디지털화 빠르게 발전 중

    - 인터넷 기업, 수도· 전기세 관련 기업, 은행, 전신운영상 등이 잇달아 정부와 협력을 맺음. 정부의 데이터 자원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공공서비스 플랫폼 도입은 기업들의 고객 확보를 더욱 확고히하는 한편 공공서비스 이용방법을 다원화하고 있음.

    - 한 예로 현재 즈푸바오(支付宝)의 도시 서비스 플랫폼 업무는 전국 347개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이용자 규모는 1억 명에 달함. 사회보험, 교통, 치안 등의 업무량 기여도는 80%에 달함.

 

  ㅇ 중국 샤먼시(厦门市) 스마트 대중교통 관련 기업담당자 인터뷰 

 

  Q1. 현재 스마트 대중교통 사업현황은?

  A1. 현재 전국 200여 개 도시에서 스마트 대중교통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진출해 현재 아프리카, 남미에서 스마트 대중교통 사업을 펼치고 있다. 주로 해외에서 스마트 교통관련 집적회로(IC)를 수입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스마트 교통 분야 종합 솔루션을 국내외에 제공하고 있다.


  Q2. 중국의 스마트 대중 교통 시장 전망은 어떠한가?

  A2. 대중교통의 발달은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대중교통이 발달할수록 도로를 차지하는 인원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교통혼잡도 해소되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또한 중국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도시의 교통체증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교통정책은 대중교통시범도시 지정 등 대중교통을 핵심으로 도시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정부정책지원 아래 중국의 스마트 교통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본다.

 

□ 중국 디지털산업 성장의 동력

 

  ㅇ 중국의 방대한 시장 규모와 젊은 인터넷 세대들

    - 2016년 중국 인터넷 이용자 수는 7억3100만 명으로 유럽과 미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를 넘어섬. 이동인터넷 이용자 수는 6억9500만 명으로 미국의 이동인터넷 이용자 수(2억6200만 명) 보다 약 2.7배 가량 높음. 인터넷 이용자 대비 이동인터넷 이용자 비율은 95%으로 인도(86%), EU(79%), 미국(91%)보다 높음.

 

중국의 이동인터넷 이용자 규모

(단위: 백만 명, %)

 

자료원: 麦肯锡全球研究院

 

    -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이라 불리는 1980년대 이후 젊은 세대들의 인터넷 이용 인구는 2억8000명 이상으로 미국의 전체 인터넷 이용자 수와 맞먹으며 이들로 인해 디지털기술들이 각광을 받고 있음.

    - 거대 규모의 온라인 구매자 수로 인한 폭발적 수요 대응 능력은 중국만의 강점으로 자리잡음. 중국과 미국의 전자상거래 교역액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성수기 때 중국의 전자상거래 교역액은 평상시보다 약 11배 차이 난 반면 미국은 3배 차이에 불과

    - 2016년 광군제(光棍)*기간 알리바바(Alibaba)의 결제 플랫폼은 매초 12만 개 거래량을 기록. 이는 미국의 주요 결제 플랫폼 거래량보다 약 3배 많은 수치
    * 광군제(光棍): 매년 11월 11일에 열리는 중국 인터넷 쇼핑몰 할인행사의 날.

 

결제솔루션 처리 능력

(단위: 천 건/초)

 

자료원: 麦肯锡全球研究院

 

 

  ㅇ BAT*의 막대한 자본투자를 통한 풍부한 디지털 생태환경 조성 및 확장

    - 중국의 노동생산성은 OECD 국가 평균수준의 15~30%에 불과해 많은 산업들이 저효율성, 산업의 과도한 분산, 서비스 수준 저하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기업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 확인

    - 금융업계의 경우 이전에 예금주들은 금리 조정 시 낮은 이율 혹은 마이너스 금리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음. 반면 알리바바(Alibaba)의 금리지급 수익상품인 위어바오(余额宝)는 수익률이 은행이자율보다 약 0.02~0.04%가 높은 장점이 있어 소비자들의 많은 인기를 얻게 됐고 전세계 화폐시장에서 주요 기금으로 자리잡음.

 

  ㅇ BAT의 중국 디지털산업 발전 기여도는 매우 큼.

    - 2013년 BAT의 벤처캐피털 시장점유율은 10%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는 42%를 웃돌고 있음. 반면 미국의 IT선도기업들인 FANG*의 투자 비율은 2013년, 2016년 각각 4%, 5%으로 현저히 낮음.

    - FANG의 미국 벤처캐피털 시장 투자 규모가 전체에서 5% 밖에 안되는 비율과 비교하면 BAT의 디지털산업 발전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음.

    - 중국 스타트업의 5분의 1이 BAT나 FANG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이 회사를 설립한 경우가 많음. 나머지 약 30%의 기업들은 BAT의 투자를 받은 적이 있음.

 

*BAT: 중국의 3대 IT업체로 떠오른 바이두(Baidu),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를 지칭하는 용어

*FANG: 미국의 IT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ix), 구글(Google) 등 4개 기업 지칭하는 용어

 

중국과 미국의 벤처 캐피털 투자 비율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麦肯锡全球研究院

 

중국 창업회사 상위 50개 기업

(단위: %)

 자료원: 麦肯锡全球研究院

 

  ㅇ 정부정책의 유연성

    - 중국정부는 디지털 기술에 대해 도입 초기에는 충분히 발전하도록 돕고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규제를 하는 방식임.

    - 2005년 즈푸바오(支付宝, Alipay)의 온라인 계좌이체 서비스 출범 후 11년 뒤인 2016년에 정부는 계좌이체 거래상한액을 발표했으며 QR 코드 스캔을 통한 결제서비스 또한 도입 5년 후에야 정식 관리표준체계를 발표함.

 

□ 중국 디지털산업의 문제점

  산업간 조화로운 발전 필요

    - 3차 산업의 디지털 경제발전 수준은 월등한 반면 1,2차 산업의 디지털 경제 수준은 상대적으로 침체됨.

    - 중국정보통신연구원 추산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3차 산업 ICT 중간투입 비율은 전체 산업 중간투입 비율 중 10.08% 차지. 반면 2차 산업, 1차 산업의 중간투입 비율은 각각 5.56%, 0.44%에 불과해 산업간 디지털 경제발전 불균형 문제가 분명히 드러남.

 

  비즈니스 모델 전환 발전의 위험성

    - 최근 중국의 디지털산업은 생활서비스 방면에서 발전 과열 현상으로 많은 문제를 유발함.

    - 오락, 가사 관리, 세탁, 음식 배달, 네일아트 등 저숙련 기술 사용 업종의 가치가 과도히 높아짐. 2016년 요식업 관련 O2O(Online to Offline) 기업 융자 규모는 30억 달러를 초과했으며 거액을 들인 수천 개 O2O(Online to Offline) 기업들은 자본 동결 후 자금줄이 끊겨 파산했음.

    - 이전에는 가격, 질량 등을 중시했다면 이제는 유통 채널, 방식, 수단 등도 중시해야므로 전통기업의 비즈니스모델 전환은 부담이 큼.

 

  ㅇ 정부의 관리 능력 개선 시급

    - 정부 각 부문의 수직적, 수평적 분할관리체계는 디지털 경제체제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들을 관리하기 어려움. 특히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는 플랫폼 관련 책임과 권한에 대한 규정이 불분명함.

    - P2P 대출, 가상화폐 등 인터넷 관련 신산업 분야는 시장진입 문턱이 높아 해당 분야 진출 기업들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 또한 공유차량 서비스는 기존의 택시업계가 갖춰야 할 자질, 조건뿐만 아니라 온라인 예약, 공유차량 관리 등 요구 조건이 까다로워 이로 인한 법률 규정과의 충돌이 빈번히 일어남.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의 플랫폼 경제를 잘 활용해 한국의 서비스산업 경쟁력 키워야

    - 중국은 플랫폼 기반 정보소비대국으로 플랫폼 경제가 발달해 있음.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서비스 무역은 여행, 운송에 치중해 있으며 지식재산서비스 비중은 낮음. 중국의 디지털화 추세에 따라 의료서비스 등 수출경쟁력 있는 분야를 중점으로 중국의 플랫폼을 활용해 산업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이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모바일 결제와 모바일 유통 분야는 중국의 비즈니스 모델을 배워 국내 시장이나 제3국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이 유리할 것으로 보임.

 

  ㅇ 중국 농업 분야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국내 기업과의 협업 필요

    - 중국은 농업생산설비 원가 문제로 농업의 디지털화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 농업 분야 지분 참여 방식에 의한 협업 모색 필요

    - 한국이 우위에 있는 IOT 센서 제어 및 모니터링을 활용한 스마트 농기계, 자재는 중국으로 수출하는 한편 중국이 우위에 있는 식물 보호 농업용 드론은 한국으로 수입하는 등 한중간 무역창출 기회도 노려볼 수 있음.

    - 중국은 한국처럼 아직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 분야 발전 속도가 더디지만 최근 농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장려하고 있음.

    - 최근 중국화공그룹(中化工集公司, CHEMCHINA) 산하의 농업기업 신젠타(先正, Syngenta)는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인 중국의 DJI(大疆)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농업 분야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할 전망임. 이에 따른 중국의 행보에 한국 기업은 중국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의 첨단 제조산업 굴기, 창업 장려에 따른 투자기회 노려볼 필요

    - 리진빈(李斌) 안후이성 서기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안후이성(安徽省)은 제조산업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최근 양자컴퓨터 연구 클러스터 단지 조성 등 첨단기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하기도 함. 공업 디지털화 혁신을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노력에 한국 기업의 참여 기회도 늘어날 것임.

    - 중국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스타트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임. 쓰촨성청두시(四川省成都市) 한중 창업단지’ 조성 사례처럼 한중간의 창업 교류 확대 및 스타트업 발굴 확대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어 보임.


 

자료원: 全球究院, iResearch, 중국디지털경제발전백서(20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국가정보센터(信息中心), 중국공유경제발전연도보고(2018) 및 KOTRA 샤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국의 디지털 기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