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프랑스 자동차기업, 이란시장 선점 위해 현지 생산기지 구축
  • 트렌드
  • 프랑스
  • 파리무역관 김영호
  • 2016-10-19
  • 출처 : KOTRA

- 프랑스 르노 및 푸조, 이란시장 선점 위해 현지 합작투자 생산기지 구축 -

- 중동시장 공략 위한 교두보 마련이 최종 목적 -

- 국내 기업들, 대이란 진출 노력 필요 -

 

 


□ 배경


  ㅇ 지난 7월, 비엔나 핵협상 타결 이후 프랑스는 에너지, 농식품, 호텔, 항공기 및 자동차 등 시장 잠재력이 큰 이란 시장 진출을 위해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 현지 주요 기업들과 파트너 또는 공동 자회사 설립 등을 논의한 바 있음.

 

  ㅇ 핵협상 과정에서 이란 정부에 대해 가장 강경한 태도를 보였던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도 지난해 여름 양국 간의 외교 정상화를 위해 이란을 방문했음.


  ㅇ 그리고 최근 미국 정부는 자국 및 EU 항공기 업체에 대이란 항공기 수출을 허가했음.

 

  ㅇ 대이란 기업 진출에 필요한 자금조달을 해줘야 할 프랑스 은행들은, 대이란 임바고 규정을 위반한 BNP 파리바 프랑스 은행이 미국 정부로부터 엄청난 벌금을 받은 바 있어 독일 및 스페인 은행들과 달리 미국의 보복이 무서워 대이란 진출을 주저하고 있음.

 

  ㅇ 최근 프랑스는 EU중앙은행의 힘을 빌어 대이란 진출에 필요한 자금조달 방법을 마련했음.

 

  ㅇ 이에 프랑스 자동차 기업 빅2(르노 및 푸조)는 이란 내 현지 합작회사 및 조립공장 설립을 통한 이란 자동차 시장 선점 및 중동-아프리카 시장 진출 교두보 구축 계획을 발표했음.

 

□ 프랑스 빅2가 이란의 자동차 시장 진출을 서두르는 이유

 

  ㅇ 이란의 자동차 시장은 4년 전까지만 해도 연 200만 대의 대규모 시장이었으며, 1978년 현지에 진출했던 프랑스 푸조가 현지 파트너회사(IKCO:Iran Khodro)와의 제휴를 통해 35%를 차지했던 시장이었음.

    - 임바고 당시 GM과 제휴관계에 있었던 푸조는 미국 정부의 임바고 대상으로 지정돼 일방적으로 이란 시장을 떠야 했음.

 

  ㅇ 그 이후 지금까지 IKCO는 독자적으로 푸조차의 부품을 구매해 자동차를 생산, 판매해오고 있음.

    - 푸조 차는 임바고 이후에도 이란의 자동차 총 보유량의 25%(400만 대)를 차지할 정도로 이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였음.

 

  ㅇ 이란 정부는 2025년까지 연 300만 대 생산 및 100만 대 수출강국을 만들 계획임.

    - 인구 8000만의 이란은 5년 후 200만 대의 신차 시장으로 급부상할 전망

 

  ㅇ 이란은 인건비(시간당 4유로)가 모로코보다 더 저렴하며, 이미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들이 있어 노동력을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강점이 있음.

 

  ㅇ 2015년 기준, 120만 대의 이란 차 시장을 석권(각각 49% 및 33% 차지)하고 있는 이란의 빅2 자동차 기업들(Khodro 및 Saipa)은 현지 100% 생산 정책을 추진하려는 이란 정부가 지분을 가진 공기업들이어서, 이들과의 산업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임.

 

  ㅇ 프랑스 빅2 자동차 기업들은 독일, 중국, 일본 및 한국 등 주요 경쟁국 자동차 기업들도 이란 자동차 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최선책이라 판단함.

 

□ 프랑스 빅2의 최근 이란 자동차 시장 진출 동향

 

  ㅇ 지난 10월 4일부터 3일간 이란을 방문했던 타바레스(Tavares) 푸조 사장은 과거 이란의 파트너사 ‘IKCO’와 공동투자(50 대 50)한 합작회사(IKAP) 설립 계약을 체결함. 이란의 2대 제조업체 ‘Saipa’와는 시트로엥차를 생산,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음.

    - 푸조는 IKAP 공장건설에 4억 유로를 투자해 2017년부터 소형 모델 3종을 생산할 계획이며, 2020년 생산 목표를 20만 대로 책정함.

    - 또한, Saipa 공장에 3억 유로를 투자해 2020년까지 15만 대 생산할 것을 목표로 세웠음(생산 모델은 미공개).

    - 타바레스 푸조 사장은 2021년 對중동-아프리카 판매 목표(100만 대) 달성을 위해 이란 생산기지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어서 생산규모는 더 증가할 것임.

    - 이와는 별도로, 이란 정부의 승인을 받아 프리미엄 브랜드(DS)의 5개 차종을 이란에 판매할 계획임. 현지 유통그룹인 Arian은 2018년까지 매장을 3개 신설해, 2020년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의 10~15%를 차지할(현재의 10배) 계획임.

     ·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수출할 2개의 모델은 중국에서 생산한 DS6와 DS5LS인데, 수입 관세율이 차 가격의 50%로 높으나 프리미엄 모델이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함.

 

  ㅇ 한편, 가를로스 곤(Carlos Gosn) 르노 회장은 이보다 며칠 전 파리 모터쇼에서 모하메드 레자 네마차데(Mohammad Reza Nematzadeh) 이란 산업장관과 함께 이란에 새로운 자동차 생산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발표함.

    - 이 회사 설립을 위해 르노는 60%를, 나머지는 현지 공공투자기금은 ‘Idro’가 출자할 계획임.

     · 이란 정부는 임바고 중에도 이란 땅을 떠나지 않은 르노가 60% 지분을 차지하도록 대우를 해준 것. 르노는 이 신설 공장을 통해 연 15만 대를 생산할 계획임.

    - 이와는 별도로, 르노는 푸조가 선택한 현지 빅2 자동차 생산업체들과 공동회사를 설립했음.   

     · 각각 연산 10만 대의 생산규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남.

    - 르노는 3개 공장을 통해 올해 10만 대 판매에 이어, 2020년 40만 대(이란 차 시장의 20%)를 판매할 계획

     · 르노는 이란에서 인기리에 판매 중인 로우코스트 브랜드(Dacia)의 2개 모델(Logan 및 Sandero)과 함께 현재 인도에서 생산 중인 로우코스트 소형 모델(Kwid)도 판매할 계획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프랑스의 빅2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인구 8000만 명 및 자동차 총 보유량 2000만 대의 이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현지 빅2 자동차기업들과 합작회사를 설립해 100% 현지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작업을 종료함. 이로써 다른 경쟁국들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함.

    - 한 가지 유의할 점은 경쟁관계에 있는 르노와 푸조가 이란의 빅2 자동차기업들과 일을 하기로 했다는 것인데,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프랑스 빅2의 설명대로 양사가 타깃으로 삼은 시장이 상·중·하로 구별돼 상호보완적이었기 때문으로 나타남.


  ㅇ 중동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시장으로 떠오른 이란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란 정부가 요구하는 생산의 현지화 전략이 필수적이어서, 단순한 수출 전략만으로는 한계가 많을 것으로 판단됨.

    프랑스 자동차 분야 빅2가 현지 빅2와 합작투자해 생산기지를 구축한 만큼, 국내 기업들은 현지 생산업체와의 협력 가능성이 줄어들어 생산기지 구축 비용을 독자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불리한 상황임.


  ㅇ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력 및 인건비 등의 제반 조건이 양호한 이란 진출을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함.

 

  ㅇ 이를 위해서는 국내 금융업체들의 적극적인 이란 현지 진출 노력이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 차원의 산업 협력 강화 노력이 요구됨.

 

 

자료원: 프랑스 일간 경제지 레제코(Les Echos), 르피가로(Le Figaro), 르몽드(Le Monde) 및 KOTRA 파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프랑스 자동차기업, 이란시장 선점 위해 현지 생산기지 구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