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성장경영마케팅] 캐나다, 풍력산업 공급체인 공략해볼만
  • 경제·무역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6-24
  • 출처 : KOTRA

 

캐나다, 풍력산업 공급체인을 통해 본 한국기업이 취해야 할 자세

- 한국중소기업,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이나 공동 JV 통한 캐나다 진출 유망 -

- 발전기, 타워, 단조품 수출 혹은 현지생산시설 건립 유망 -

     

     

     

□ 캐나다 상업용 풍력단지 주요 사항

     

 ○ 2010년 현재 일반적인 캐나다 상업용 풍력단지는 소규모에서 200㎿까지 다양

  - 대부분 풍력단지는 해안이(Off-shore) 아닌 육지(On-shore)에 위치

  - 풍력터빈 사이즈는 1.5~3.0㎿가 주를 이룸.

     

 ○ 캐나다에서 대형 풍력단지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은 발전용량 ㎿ 당 220만~280만 달러로 추산

  - 전체 비용 중 풍력터빈에만 70~75% 소요

  - 엔지니어링, 사이트 서비스, 시공 등이 나머지 부분 차지

     

 ○ 터빈 블레이드, 터빈 파워, 기어박스, 상하 (Pitch) 좌우 (Yaw) 컨트롤 시스템 등 4개 주요 풍력 터빈 컴포넌트가 전체 풍력 터빈 가격의 70% 차지

  - 풍력터빈 설치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음.

   ‧ Rated Power

   ‧ 발전기술 종류

   ‧ 발전 단지 전력량

   ‧ 필요한 터빈 갯수

   ‧ 발전단지 위치

   ‧ 터빈 생산 시설과의 접근성

   ‧ 노동 비용

   ‧ 토양조건

  - 상업용 풍력단지에 사용되는 터빈은 100m 크기의 초대형 터빈으로, 총 8000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뤄짐.

  - 사이즈에 따른 운송문제로 터빈은 부분 조립된 상태로 목적지에 도착해 최종 조립단계를 거치게 됨.

  - 최종 조립되는 주요 부분품 및 섹션은 터빈 Foundation, 타워 섹션, Nacelle 어셈블리, Rotor Hub 어셈블리, 커버, 블레이드, 파워 컨버터 &트랜스포머 등이 있음.

  - 이 중 가장 복잡한 부분은 Nacelle 어셈블리로써, 해당하는 주요 기계 ‧ 전자 컴포넌트에는 Nacelle 프레임, 좌우 (Yaw) Drives, 상하 (Pitch) 컨트롤 메커니즘, Rotor Shaft &Drive Train, Power Generator, 기어박스, Braking Systems, Oil Circulation, 냉각시스템, 절연 처리 장비 등을 꼽을 수 있음.

     

□ 캐나다 공급체인 기회 확대  

     

 ○ 2015년 캐나다 풍력 에너지 산업 규모는 최소 2010년 수준 4배인 1만2000 ㎿까지 확대 전망

  - 온타리오 주의 북미 최대의 파격적인 FIT 인센티브 (13.5 케나다센트/kwh)를 비롯하여 각 주정부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확대를 위해 발전단지 및 생산시설에 대한 융자확대 및 보조금 지급 등의 노력을 행하는 추세

  - 미국 풍력시장의 경우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30% 성장률 기록

  - 캐나다 풍력에너지 산업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010년 5월 5일 KOTRA 토론토 KBC에서 글로벌윈도우에 게재한 '[녹색산업기술] 캐나다, 풍력에너지산업 현황' 글 참조 바람.

     

 ○ 캐나다 공급체인, 북미 풍력시장 확대로 인한 기회선점 노력

  - 급속도로 확장되는 북미 풍력시장 선점을 위해 세계적인 풍력 터빈 OEM 업체들은 훌륭하고 경험 많은 북미 지역 사업 파트너 및 공급업체 찾기에 열을 올림.

  - 미국 내 풍력터빈 부품의 50%가 북미 외 지역에서 공급이 이뤄지며, 캐나다 내 풍력터빈 부품의 경우 북미 외 해외지역 공급 수치는 더욱 높은 것으로 밝혀짐.

  - 이러한 높은 해외 의존도는 캐나다 장비 벤더들에 환율 변동으로 인한 비용 및 리스크 확대

  - 운반비용, 리드타임, 관세, 세금절감효과와 함께 미국과 캐나다 정부‧업계의 북미 내 공급체인 선호는 OEM 업체들의 북미지역 공급체인 확대의 주 원인

  - 아직까지 북미 풍력 산업은 상업용 풍력 발전이 활발한 서유럽에 비하면 뒤처졌으며, 캐나다 시장은 미국에 비해 작은 규모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내 빠른 풍력시장 성장 속도와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지닌 미국 시장으로의 접근 용이성으로 인해 캐나다 내 공급체인 확대되는 추세

  - 캐나다 풍력산업 전문가들은 캐나다 공급체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미국 공급체인으로써, 캐나다 공급체인은 더욱 큰 규모와 경험을 보유한 미국공급체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디지인과 생산‧기술 이노베이션에 몰두해야 한다고 밝힘.    

     

 ○ 캐나다 공급체인, 북미를 넘어 세계시장으로 진출도 목표

  - 전문가들은 북미 시장에서 성공하는 캐나다 공급업체는 제품 ‧ 서비스 수출, 기술이전, 라이센싱 계약 등을 통해 향후 북미 풍력시장보다 높은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아시아와 같은 해외로의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

 

 ○ 캐나다 내 대형 컴포넌트 제작 및 공급 유망

  - 전문가들은 캐나다 내 풍력 제품 생산시장에서 풍력 터빈용 대형 컴포넌트 제작 및 공급 가장 유망할 것으로 전망

  - 타워 섹션, Rotor Blade, Nacelle 어셈블리 &커버, 주조, 단조품 등이 이에 해당

  - 해외에서 제작할 경우 거대한 사이즈와 불균형적인 모양으로 인해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교통조건이 까다롭지 않으면서 복수의 풍력발전단지가 개발되는 지역 인근이 대형 컴포넌트 제작 및 공급 시설 건설에 적합

  - Tier 1 공급업체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서브 컴포넌트와 서브 어셈블리 공급 업체들의 기회도 확대되는 추세

  - 특히 Nacelle 어셈블리 부분의 경우, 다양하고 많은 양의 서브 컴포넌트를 필요로 하므로 하위 Tier 레벨 공급체인에게 많은 기회 제공할 것으로 전망

     

 ○ 풍력발전용 기어와 Generator 제작 및 공급도 캐나다 제조업체에 유망

  - 기어와 Generator의 기술 및 제조 기준은 다른 산업 부분에서 풍력터빈산업으로의 이동이 쉬움.

  - 기어와 Generator 부분에 종사하는 캐나다 업체가 다수 존재하므로, 이 부문 경쟁은 비교적 치열할 것으로 전망

 

 ○ 풍력 터빈 조립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중 기어박스, Rotor Hub와 메인 프레임 용 주조품, 메인 샤프트 용 단조품, 대형 베어링은 한정된 글로벌공급 용량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가장 긴 리드타임 보유

  - 기어박스의 긴 리드타임은 대형 베어링 공급부족에서 비롯함.

  - 기어박스와 베어링은 풍력터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품질기준이 매우 까다로우며, 일반적으로 터빈 OEM들은 대체 업체를 선정하기보다는 원래 지정된 일부 업체들로부터만 부품을 공급받으려는 보수적 공급방식 채택

  - 그러므로 기어박스와 베어링 부분에서는 일부 특정 생산업체만 기회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캐나다 제조업 협회에 따르면, 2025년까지 앞으로 건설될 풍력단지 유지관리 보수에만 총 30억 캐나다달러가 소모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사업기회 유망

  - 그외 풍력단지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공서비스, 물류, 크레인, 지질공학 및 지존작업(Site Preparation) 서비스 업체에도 많은 기회 창출 전망

 

□ 캐나다 공급체인 공략위해 한국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대규모 직접투자 진출

  - 캐나다 현지에 아무런 실적이 없는 한국업체들은 캐나다 발주처 또는 개발업자들이 쉽게 받아주지 않는 것이 현실

  - 전문가들은 캐나다 풍력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직접투자를 통한 캐나다 현지 생산시설 건립을 꼽음.

  - 실제로 2010년 삼성물산 & 한국전력 컨소시엄과 대우조선해양은 각각 온타리오 주와 노바스코샤 주 정부와 협력해 대규모 풍력 생산시설 건립 발표

 

2010년 한국 대기업의 캐나다 풍력공급체인 투자 현황

지역

회사명

투자금액

(달러)

사업 내용

온타리오

삼성물산 & 한국전력

컨소시엄

66억700만

2016년까지 초대형 태양력‧풍력 발전단지와 생산시설 (풍력타워, 풍력블레이드, 태양광 모듈 조립, 태양광 인터터) 건립

노바스코

대우조선해양

2040만

풍력터빈 타워와 Blade 생산시설 투자. 지분 51% 확보

                             자료원 : KOTRA 토론토 보유자료 종합

     

 ○ 중소기업, 파트너쉽 제휴나 JV 설립 통한 현지 시장 진출

  - 북미에서 가장 활발하게 풍력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정부는 FIT Local Contents 규정(자세한 사항은 KOTRA 토론토 KBC가 2009년 10월 10일 글로벌윈도우에 게재한 '[정책] 캐나다 온타리오주, 그린에너지 법령 개정' 글 참조)을 통해 FIT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온타리오 산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법률을 제정하는 등 캐나다 정부의 자국 풍력 제조산업 확대 노력 이루어 지는 추세

  - 대기업은 직접투자를 통해 이러한 규정충족이 가능하지만, 중소기업은 현실적으로 대규모 직접투자에 의한 캐나다 현지 생산시설 건립은 어려움.

  - 에너지산업 컨설팅사인 Hatch사의 Mergen Reddy 이사는 한국과 같은 외국의 중소업체가 상기와 같은 보호규정을 충족하면서 캐나다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현지 사정에 정통하며 이미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현지 유망기술 보유 파트너와의 전략적 기술 제휴나 공동 중소 JV 설립이라고 전함.

  - 캐나다 업체들도 한국 업체들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중장기적 관계구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한국 기업들은 현재 벤처/R &D 단계의 캐나다 기술보유업체들의 상용화 추이를 예의주시하여, 단순 파트너십 단계에서 점차 기술제휴 정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해야 함.

  - 현지 자동차나 산업용품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 파트너의 기존 생산시설을 활용한 서브 컴포넌트 생산 추진도 유망할 것임. 대우조선해양의 경우도 기존 철도차량공장 시설을 인수해 풍력발전 시설 생산 공장으로 리모델링 할 계획임.

     

 ○ 발전기, 타워, 단조품 수출 혹은 현지 생산시설 건립 유망

  - 풍력발전시설 관련 핵심부품 중 한국이 경쟁력을 지니는 제품은 발전기와 타워, 그리고 자동차와 조선업을 바탕으로 성장한 단조제품을 꼽을 수 있음.

  - 메인베어링, 블레이드, 증속기 등은 대부분 해외 기업에 의존하므로 한국 기업경쟁력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이에 따라, 경쟁력 있는 발전기, 타워, 그리고 단조제품의 캐나다 시장 수출 혹은 현지 생산시설 건립 유망할 것으로 판단

  - 단조품의 경우 대표적인 중소기업형 제품으로써 풍력발전기에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형 자유단조 제품 (일정한 틀에 제약을 받지 않아 대형화에 적합) 유망

  - 한국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풍력관련 단조제품인 Main Shaft와 Tower Flange를 비롯해 Yaw Bearing, Lock Plate, Gear Rim의 캐나다 수출 확대 및 캐나다 현지생산 건립 적합할 것임.

  - 특히 Main Shaft는 한국기업의 우수한 경쟁력 뿐만 아니라 캐나다 시장에서의 긴 리드타임으로 인해 캐나다 현지 생산시설 건립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전망

  - 북미 주요 터빈 업체와 컴포넌트 공급업체의 경쟁관계는 '북미 공급 경쟁관계' 첨부파일 참조 바람.

 

 

자료원 : Canadian Wind Energy Association, Canadian Manufacturers & Exporters, Rechargenews, 한국 에너지 자원기술 기획평가원, 삼성 SERI 연구소, 한국 중소기업청, HATCH Consulting, 기타 KOTRA 토론토 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경영마케팅] 캐나다, 풍력산업 공급체인 공략해볼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