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경영마케팅] 美, 주력 수출품목의 그린화전략은 이렇게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황선창
  • 2009-08-21
  • 출처 : KOTRA

 

美, 주력 수출품목의 그린화전략은 이렇게

- 그린 트렌드 적극 활용해 그린시장 선점 –

 

 

 

□ 불경기에도 지속되는 그린 트렌드

 

 ○ 불경기에도 그린 트렌드 지속 확대

  - 미국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기업들의 그린트렌드 활용을 통한 사업기회 확대로 인해 불경기에도 그린 트렌드는 지속 확대됨.

 

 ○ 소비자들의 그린 제품에 대한 구매도 불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그린 트렌드는 미국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됨.

 

 ○ 미국 소비자의 34%는 경기침체에도 지속적으로 그린관련 제품 구매를 할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미국 기업의 47%가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그린관련 제품 개발과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조사됐음.

 

 ○ 산업 또는 적용 분야별 그린화 추진 정도 상이

  - 가장 활발하게 그린화가 추진되고 있는 분야는 친환경 녹색 기술 관련 투자 및 친환경 에너지 관련 특허가 크게 증가함.

  -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전구 및 가전제품 등과 제품 제품들의 개발 판매가 크게 활성화돼 있음.

  - 반면, 아직도 전자 폐기물 회수나 에너지 효율성 개선 그리고 기업의 탄소배출관련분야는 그린화 정도는 다소 더딘 편임.

 

□ 그린트렌드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점차적으로 전 산업으로 확대

 

 ○ 미국의 그린 트렌드는 단순한 사무실 전구를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전구로 교환하는 것에서부터 유기농 식품 구매 등 아주 폭넓게 활용됨.

 

 ○ 또한 유통산업에서부터 활발히 진행된 그린 트렌드 활용은 전자 전기 산업에 이르기까지 전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고 탄소배출에서부터 물 관리까지 영역에 한계가 없음.

 

□ 대미 주력 수출품목의 그린화 전략

 

 ○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목 그린화 추진 거세

  -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 휴대폰, 전자제품, 그리고 섬유류 관련 산업들의 그린화 추진이 활발함.

  - 자동차의 경우 연비가 높은 자동차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연비 향상과 이산화탄소 배출 제한 등과 같은 규제가 강화됨.

  - IT 관련 산업은 에너지 절감형 제품 출시가 급격히 증가하며 출장을 줄이기 위해 화상 관련 시스템을 이용이 크게 증가했음.

  - 그리고 미국은 전력망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향후 미국 전력 및 가전제품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됨.

 

□ 산업별 그린화 정도에 따라 차별적 접근 필요

 

 ○ 핸드폰과 같은 제품은 기술개발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어 그린 마케팅 전략이 최근 들어서야 비로소 탄력을 받고 있음. 반면에 섬유분야의 경우 미국 글로벌 기업 주도로 친환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등 산업별로 그린화 정도가 다름.

  - 핸드폰과 같은 일부 주요 품목의 경우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으로 친환경 요소만으로 교체수요가 발생하지는 않고, 터치폰 등 새로운 기능과 친환경적인 특징을 모두 갖춘 신제품이 각광받을 것임.

  - 섬유산업의 경우 미국기업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 중국이나 동남아제품에 비해 제품 차별화를 적극 모색해야 함.

 

 ○ 자동차 산업의 경우 연비 개선 및 대체에너지 차량 개발 등에 중점을 두어 그린화를 추진해야 하며,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전력 시장의 경우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의 우수한 기술이 틈새 시장에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이처럼 주요 대미 수출산업별로 그린화의 정도 및 방향이 다르므로 철저히 구분해 접근해야 함.

 

□ 시사점

 

 ○ 대미 수출품목, ‘그린 샌드위치’도 경계해야

  - 친환경제품 경쟁이 본격화될 경우 일부 제품군에서는 제품의 그린화분야에서도 ‘샌드위치’ 효과가 나타날 전망

  - 가령 본격적인 친환경제품의 경쟁이 달궈지면서 또다시 한국산 섬유제품이 샌드위치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있음.

  - 먼저 개발에 나선 일본 도레이와 데이진 등에 비해 지명도가 떨어지고 중국 섬유업체들의 추격이 가속화되기 때문임. 기술력 제고와 마케팅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임.

 

 ○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미국 그린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여 적극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함. 향후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그린정책 그리고 경기부양책 일환의 그린산업 지원확대정책으로 시장활성화에 기폭제가 됨.

 

 

자료원 : GreenBiz Intelligence, 2009년 Con Consumer Environmental, 시카고KBC 종합 및 의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경영마케팅] 美, 주력 수출품목의 그린화전략은 이렇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