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질주하는 슬로바키아 경제
  • 경제·무역
  • 슬로바키아
  • 프라하무역관 이규남
  • 2007-03-06
  • 출처 : KOTRA

질주하는 슬로바키아 경제

- 2006년 실질 경제성장률 8.3% 기록 -

- 외국인 직접투자 및 수출이 경제성장 견인 –

- 우리나라, 8위의 수입대상국으로 급부상 -

 

보고일자 : 2007.3.6

이규남 프라하무역관

knlee@kotra.cz

 

 

□ 2006년 사상 최대 경제성장률 기록

 

 ㅇ 2004년 EU 가입 이후 고공성장을 계속하고 있는 슬로바키아 경제가 2006년에 사상최대인 8.3%의 실질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고공 성장을 지속

  - 지난 해 3분기에 분기 성장률로 중동부유럽 국가 역사상 최고인 9.8% 성장을 기록한 데 이어, 4분기에도 경제 전문기관들의 예상 평균치인 8.1%를 크게 넘어선 9.6%를 기록하는 등 슬로바키아 경제가 고공행진을 계속

  - 특히 2005년 3분기에 6.3%의 실질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분기별 성장률이 6% 이상을 지속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호조를 보이고 있어 슬로바키아의 경제가 아시아 신흥공업국들과 같은 고도성장기에 접어들었음을 반영

 

슬로바키아의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 추이(%)

2005년

2006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4.9

5.4

6.3

7.5

6.0

6.7

6.7

9.8

9.6

8.3

           자료원 : 슬로바키아 통계청

 

 ㅇ 이러한 경제호조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증가와 이에 따른 수출호조에 힘입고 있어 경기호황에도 불구하고 경기과열 모습은 보이지 않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안정세를 유지하는 등 경제가 건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세계적인 고유가와 공공요금 및 소비세 인상 등에도 불구하고 2006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5%에서 안정

  - 수출은 승용차 수출이 11월까지 53.7% 증가하는 호조를 보인 데 힘입어 3분기에는 27.6%의 증가를 기록하는 등 2006년에 24.2% 성장

  - 산업생산도 2006년에 9.9% 성장을 보이는 등 경기호조에 힘입어 실업률도 2005년 16.2%에서 2006년 3분기에는 12.8%로 크게 하락

 

 

□ 향후 수년간 경제성장 가속화 전망

 

 ㅇ 이와 같은 경제성장은 2004년 1월의 조세개혁과 노동법 개정을 통해 EU에서 노동의 유연성이 가장 높은 등 슬로바키아 경제가 구조개혁에 성공한 데 따른 것으로, 외국인투자 증가에 따라 수출이 매년 큰 폭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향후 수년간 경제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 기아자동차가 올해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감에 따라 슬로바키아의 자동차 수출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며 삼성전자가 LCD패널 공장을, 소니가 LCD TV 공장을 건설할 예정으로 있는 등 슬로바키아의 자동차, 전자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의 수출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

 

 ㅇ ING 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당초의 8.0%에서 최근 9.2%로 상향 조정하는 등 대부분의 경제분석기관이 올해 성장률이 2006년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

  - EIU는 2월13일 슬로바키아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의 6.3%에서 크게 상향조정 할 예정이라고 밝힘

  - OECD는 2005년 11월 세계전망에서 슬로바키아의 올해 성장률을 8.0%로 전망

 

슬로바키아의 주요 경제지표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전망

실질경제성장률(%)

5.5

6.0

8.3

9.2

1인당 GDP(US$)

7,630

8,797

10,216

12,945

가계소비증가율(%)

3.5

7.2

6.3

6.0

수출증가율(%,현지화기준)

7.9

13.8

24.2

14.0

수입증가율(%,현지화기준)

8.8

16.6

23.9

11.9

           자료원 : ING Bank

 

 

□ 우리나라, 슬로바키아의 8위 수입대상국으로 부상

 

 ㅇ 경기호조에 따른 수입수요의 증가와 외국인투자기업의 원부자재 수입 증가 영향으로 슬로바키아의 수입은 2000년대 들어 매년 두자릿수의 증가율 기록

  - 2006년에는 수출 호조에 따른 원자재 수입 급증의 영향으로 11월까지 수입이 달러화 기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4%나 급증한 4076만 달러 기록

 

 ㅇ 특히 2002년 삼성전자 진출 이후 기아자동차 등 우리 기업의 진출 급증 영향으로 슬로바키아의 수입대상국 중 우리나라는 2002년 27위에서 2006년에는 8위로 급부상

  - 슬로바키아 수입통계 기준 슬로바키아의 우리나라로부터 수입은 2006년 1~11월 기간 중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8.0%나 급증한 16억 달러로 4년 만에 2002년보다 30배가 증가하면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중국에 이어 2위의 수입대상국으로 자리매김

  -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증가율은 69.0%를 기록한 2005년을 제외하고는 2003년 253% 등 2003년 이후 매년 100% 이상의 증가율 기록하는 등 슬로바키아의 수입대상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 우리나라 통계 기준 2006년도 대 슬로바키아 수출규모는 12억 6706만 달러로 슬로바키아가 헝가리를 제치고 폴란드에 이어 중동부유럽 내 2대 수출대상국으로 부상

  - 슬로바키아와 우리나라 통계의 차이 발생은 부가세 문제 등으로 EU 내 제3국에서 통관 후 슬로바키아로 수입되는 물량이 많은데 주로 기인

 

슬로바키아의 국별 수입

                                                                                                                 (단위 : US$ 100만, %)

 

2004년

2005년

2006(1~11월)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6,829

20.6

7,222

5.8

8,419

26.8

 

3,938

19.5

4,367

10.9

5,040

26.0

러시아

2,739

13.2

3,699

35.1

4,700

44.6

헝가리

991

27.0

1,245

25.7

1,885

68.7

이탈리아

1,633

17.0

1,643

0.6

1,862

22.9

폴란드

1,167

42.6

1,419

21.6

1,823

40.6

 

800

38.5

1,105

38.2

1,559

61.6

 

533

174.9

900

69.0

1,556

108.0

오스트리아

1,155

26.0

1,312

13.6

1,374

15.1

 

29,215

29.3

34,403

17.8

40,758

31.4

           자료원 : 슬로바키아 통계청

 

 

□ 시사점

 

 ㅇ EU 가입으로 슬로바키아가 EU 내 주요 생산기지로 급부상하면서 슬로바키아 경제가 고성장기에 접어들고 있고 이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일반 소비재 수입시장 규모도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어, 인구 500만 정도로 아직은 시장규모가 적으나 우리 업체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소비용 전자 및 IT 제품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관심이 요망됨.

 

 ㅇ 특히 슬로바키아가 자동차 및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유럽 내 생산기지로 변모해 감에 따라 이들 산업에 필요한 원·부자재 수입이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노력이 필요

 

 

자료원 : 슬로바키아 통계청, ING Bank, EIU, OECD, The Slovak Spectator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질주하는 슬로바키아 경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