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美, 2008년 이후 무역적자 최대폭 증가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배성봉
  • 2020-09-16
  • 출처 : KOTRA

- 美, 7월 무역적자 18.9% 상승 12년 만에 최대폭 -

- 수출 증가했지만 수입이 이를 크게 상회 -




9월 3일(현지 시간) 미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는 7월 무역수지 적자가 636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6월 무역수지 적자인 535억 달러에서 18.9%가 증가한 것이다. 수출은 1681억 달러로 전월대비 8.1% 증가했으며, 수입은 2317억 달러로 전월대비 10.9% 증가했다. 수출입 모두 증가세를 보였지만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앞서며 무역적자 폭을 키웠다.


미 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은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2.9%라고 발표했다. 이는 1943년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1분기 -5%와 비교해도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코로나19 확산 영향이 2분기 미국 경제지표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무역적자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시기도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3월부터이다.


2020년 월별 미국 수출입 통계

(단위: US$ 백만) 

무역수지

수출

수입

합계

상품

서비스

합계

상품

서비스

합계

상품

서비스

1

-43,364

-66,127

22,763

209,270

137,227

72,043

252,634

203,354

49,280

2

-37,008

-59,760

22,752

209,652

138,457

71,194

246,660

198,217

48,443

3

-46,104

-65,861

19,757

186,630

127,848

58,782

232,734

193,709

39,025

4

-53,582

-71,664

18,082

147,371

95,687

51,684

200,953

167,351

33,602

5

-57,855

-76,024

18,169

141,804

90,014

51,790

199,659

166,038

33,621

6

-53,461

-71,650

18,188

155,478

103,184

52,294

208,939

174,834

34,105

7

-63,556

-80,910

17,354

168,109

115,461

52,648

231,665

196,370

35,294

자료: US Census Trade Statistics,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상품 수출입 동향


미국 주요 상품 수출은 전월대비 11.9% 증가했다. 소비재와 자동차 수출이 전월대비 각각 21.1%, 46.3% 증가하며 수출 증가의 주된 요인이 됐다. 주요 상품 수입은 전월대비 12.3% 증가했고 자동차 수입이 전월대비 41.4% 증가하며, 수입 증가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주요 상품 수출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6

2020 7

전월대비 증감액

전월대비 증감률

식품

9,954

10,185

231

2.3

산업용품

32,805

35,317

2,512

7.6

자본재(자동차 제외)

35,246

37,719

2,473

7.0

자동차(자동차부품, 엔진 등)

8,312

12,161

3,849

46.3

소비재

12,297

14,889

2,602

21.1

기타 상품

4,253

4,894

641

15.0

103,184

115,461

12,277

11.9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미국 주요상품 수입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6

2020 7

전월대비 증감액

전월대비 증감률

식품

12,403

12,798

395

3.1

산업용품

35,405

39,758

4,353

12.2

자본재(자동차제외)

53,845

53,845

4,069

8.1

자동차(자동차부품, 엔진등)

26,357

26,357

7,729

41.4

소비재

54,004

54,004

3,550

7.0

기타 상품

8,528

8,528

1,373

19.1

총계

174,834

196,370

21,536

12.3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출입 동향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외국인 방문이 2012년 8월 이후 최저수준으로 감소하며 서비스 수출업체가 신규 외국고객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지만 7월 주요 서비스 무역수지는 여전히 흑자를 기록했다. 미국은 통상적으로 상품 무역수지에서는 적자를 기록하지만 서비스 부문에서는 꾸준히 흑자를 유지해왔다. 7월 서비스 무역수지도 흑자를 기록했지만 전월대비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2020년 미국 서비스 수출입 현황

(단위: US$ 백만)

          월

수입

수출

1

49,280

72,043

2

48,443

71,194

3

39,025

58,782

4

33,602

51,684

5

33,621

51,790

6

34,105

52,294

7

35,294

52,648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출은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145억 달러), 금융 서비스(100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86억 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정비 및 수리 서비스, 여행 서비스, 금융 서비스, 개인, 문화 서비스는 전월 대비 감소했다.


미국 주요 서비스 수출 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6

2020 7

전월대비 증감액

전월대비 증감률

정비 수리 서비스

1,148

1,107

-41

-3.5

수송 운송 서비스

3,572

3,834

262

7.3

여행 서비스

4,184

3,813

-371

-8.8

건설 서비스

171

175

4

2.3

보험 서비스

1,222

1,217

-5

-0.4

금융 서비스

10,947

10,926

-21

-0.1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

8,618

8,754

136

1.5

전기통신, 컴퓨터, 정보 서비스

4,274

4,317

43

1.0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14,518

14,807

289

1.9

개인, 문화 서비스

1,795

1,786

-9

-0.5

정부 상품 서비스

1,844

1,913

69

3.7

총계

52,294

52,648

69

0.6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입은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98억 달러), 수송 및 운송 서비스(50억 달러), 보험 서비스(49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34억 달러) 등으로 집계됐다. 주요 서비스 수입 중 전월대비 감소한 항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주요 서비스 수입 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6

2020 7

전월대비 증감액

전월대비 증감률

정비 수리 서비스

426

461

35

8.2

수송 운송 서비스

4,549

5,021

472

10.3

여행 서비스

816

1,069

253

31.0

건설 서비스

83

87

4

4.2

보험 서비스

4,925

5,036

111

2.5

금융 서비스

3,091

3,160

69

2.3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

3,292

3,404

112

3.0

전기통신, 컴퓨터, 정보 서비스

3,182

3,199

17

0.3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9,720

9,806

86

0.8

개인, 문화 서비스

1,970

1,995

25

1.7

정부 상품 서비스

2,052

2,056

4

0.9

총계

34,105

35,294

1,189

3.9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미국의 주요 상품 교역국은 2020년 1월부터 7월까지의 미 상무부 통계 기준으로 멕시코(290억 달러), 캐나다(288억 달러), 중국(280억 달러), 일본(103억 달러), 독일(95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5개 국가의 교역 비중은 51%로 집계됐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221억 달러), 멕시코(173억 달러), 캐나다(148억 달러), 일본(65억 달러), 독일(63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한 수입은 7위로 42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중 무역수지는 전월대비 약 15억 달러 증가한 28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과의 무역적자를 대폭 낮추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당시 무역수지 적자보다 증가한 액수이다. 7월 멕시코와의 무역수지도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북미 자유무역협정 재협상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멕시코와의 무역수지도 적자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주요 15개 교역국 가운데 상품 수입이 전월대비 증가한 국가는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이탈리아. 일본, 한국, 멕시코, 싱가포르, 대만, 영국으로 나타났다. 전월대비 수출이 증가한 국가는 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홍콩, 인도, 이탈리아, 한국,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대만이다.


2020년 7월 기준 미국 국가별 상품 무역수지 및 증감액

(단위: US$ 백만)

국명

2020 6

20207

전월대비 증감액

브라질

368

808

440

캐나다

-133

-545

-412

중국

-26,748

-28,348

-1,600

프랑스

-1,043

-2,483

-1,440

독일

-3,814

-3,028

786

홍콩

1,036

1,393

357

인도

-1,669

-2,005

-336

이탈리아

-2,076

-1,835

241

일본

-1,778

-3,368

-1,590

대한민국

-1,907

-1,494

413

멕시코

-9,016

-11,523

-2,507

사우디아라비아

-681

304

985

싱가포르

-155

-1,045

-890

대만

-2,407

-2,801

-394

영국

1,253

591

-662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미국은 1975년 이후 한 번도 상품 무역수지 흑자를 내지 못했다. 향후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진정 국면에 들어선다면 무역적자 규모가 개선될 여지가 있으나 지난 7월 무역적자는 미국 2020년 3분기 GDP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연도별 무역수지 추이

(단위: US$ 억)
external_image
 자료: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정리


미국의 국제무역은 국가경제 전체에서 27.5%의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중요하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으로부터 1단계 무역 합의를 받은 바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무역정책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된다. 만약 1차 미-중 무역 합의가 흔들린다면 그간의 성과가 사라지게 돼 3분기까지는 중국에 대한 큰 무역제재가 없을 수 있으나 미국 대선(11월 3일)이 5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무역적자가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확대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지율 확보를 위해 중국에 대한 공격 수위를 다시금 높일 수도 있다. 코로나19가 언제 진정될지 불확실하다는 점도 상황 예측이 어려운 부분이다. 9월 10일 300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협상도 부결되면서 3분기 경기 반등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팬데믹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하게 붕괴된 상황 속에서 미국의 수입과 수출이 모두 반등을 보인 것은 한편으로 좋은 소식이기도 하다. 국가 간 무역에는 환율, 유가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지만 단편적으로 봤을 때 미국의 수입 증가는 국내기업 입장에서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자료: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U.S. Department of Commerce, US Census Trade Statistics,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2008년 이후 무역적자 최대폭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