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몽골 수입통계로 보는 주요 수입품목은?
  • 경제·무역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19-12-24
  • 출처 : KOTRA




몽골 수입은 2016년부터 연속 증가세


  ㅇ 몽골은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한국 등 국가와 긴밀한 무역 관계 유지

    - 몽골은 2019년 11월 기준 세계 151개국에서 총 55억 달러의 물품을 수입했으며, 그중 상위 10개국으로부터의 수입비중이 87%에 달함. 특히 상위 5개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한국 등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액은 몽골 전체 수입의 80%를 차지하고 있음.

    - 몽골 상위 10개국 수입통계를 살펴보면 2019년 수입액은 전년대비 4.3% 증가했으며, 대미국 수입액이 전년대비 급증(38.3%)한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침.


최근 3년간 몽골의 상위 10개 수입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7년

2018년

2019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중국

1,261.0

30.4

1,822.9

44.6

1,872.0

2.7

2

러시아

1,111.9

44.8

1,536.3

38.2

1,528.9

-0.5

3

일본

334.3

7.5

517.1

54.7

560.1

8.3

4

미국

193.4

49.1

193.0

-0.2

266.9

38.3

5

한국

179.9

-2.9

239.7

33.3

247.7

3.3

6

독일

114.2

2.5

156.7

37.2

174.9

11.6

7

호주

32.4

64.8

41.8

28.7

53.7

28.6

8

이탈리아

42.0

44.8

50.8

21.0

53.6

5.4

9

베트남

37.2

0.9

45.0

20.9

52.1

15.7

10

폴란드

44.3

18.3

54.5

23.1

50.7

-6.9

기타

554.1

10.2

713.7

28.8

723.2

1.3

전체 수입액

3,904.7

26.8

5,371.5

37.6

5,583.8

4.0

           주: 상기 통계는 각 연도 11월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ㅇ 생산기반이 미약한 몽골의 수입품은 기계류 화학제품임.

    - 몽골의 주요 수입품을 살펴보면 석유제품·차량·기계·전기 등의 점유율이 높음. 이들 제품을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국가들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 차량 수요 증가에 따른 연료 윤활유 차량 관련 부품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설경기 활성화에 따른 건축자재 중장비 수입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됨.

    - 의약품의 경우 20199월에  “의약품 등록 규정 강화한 것에 영향을 받아 이후 의약품 수입이 전년대비 10.2%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혹한으로 인해 겨울에 공사가 중단되는 몽골 건설시장의 특성을 반영, 건축자재 특히 철강제품 수입이 4분기에는 급감했음. 이는 2019년과 2020 초반에 완공돼야 하는 건설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철강제품이 2018년 이미 수입, 비축돼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됨. 이에 따라 2018년에는 철강제품 건축자재 수입이 전년대비 급증한 반면에 2019년에는 감소한 것으로 파악됨.


최근 3년간 몽골의 상위10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석유제품

2710

722.2

1,006.2

1,049.3

4.3

2

승용차

8703

243.3

369.9

400.3

8.2

3

화물차

8704

172.3

270.5

369.2

36.5

4

중장비

8429

80.4

127.1

183.5

44.4

5

전기

2716

122.9

130.3

131.3

0.8

6

전화기

8517

79.5

97.7

88.5

-9.4

7

중장비 부품

8431

40.6

61.8

80.6

30.4

8

의약품

3004

69.4

86.1

77.3

-10.2

9

신타이어

4011

47.4

58.5

74.6

27.5

10

철강제품

7308

40.8

108.8

62.4

-42.6

 

기타

2,285.9

3,054.6

3,066.5

0.4

 

전체

3,904.7

5,371.5

5,583.8

3.9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 몽골의 150개 수입대상국 중 상위 5개국 수입 점유율이 지속 확대중


  ㅇ 몽골의 수입 상위 5개국 중 한국·중국·일본 수입은 3년 연속 증가세

    - 중국은 몽골의 최대 수출국이자 수입국이며, 2019년 11월 기준 몽골의 대중국 수출액은 63억35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의 89.8%, 수입액은 18억72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33.5%를 차지함.

    - 몽골의 대중국 수출 품목은 광물 생산품(전체의 95%)에 집중돼 있으며 수입 품목은 화물차, 철강 및 건축자재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특기할 만한 것은 건설시장 활성화에 따른 화물차, 건설 및 광산기계, 토목용사용 장비 등 수입이 중국에 집중돼 있다는 것임.

 

몽골의 대중국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화물차

8704

83.7

156.4

250.5

60.2

2

전기에너지

2716

100.4

104.5

106.0

1.4

3

건설광산기계

8429

22.5

50.8

57.0

12.2

4

철강제품

7308

35.6

102.5

56.4

-45.0

5

전화기

8517

51.3

69.1

56.3

-18.5

6

토목공사용 장비

8474

28.6

37.1

44.3

19.4

7

석유제품

2710

14.4

10.9

29.2

167.9

8

신타이어

4011

15.9

23.8

28.1

18.1

9

오토바이

8711

14.7

19.4

18.2

-6.2

10

변환기

8504

6.9

33.2

16.9

-49.1

 

기타

887.0

1,215.2

1,209.1

-0.5

 

전체

1,261.0

1,822.9

1,872.0

2.7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 러시아는 몽골의 4 수출국이고 2 수입국이며, 201911 기준 몽골의 대러시아 수출액은 6100 달러로 전체 수출의 0.9%, 수입은 152890 달러로 27.4% 차지하고 있음.

    - 몽골의 대러시아 교역구조는 만성적 적자구조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석유 에너지에 집중돼 있음. 몽골은 정유시설이 없는 관계로 국내 소비 석유의 93%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음.


몽골의 대러시아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석유제품

2710

674.9

938.1

969.6

3.4

2

질산 비료

3102

25.7

29.9

34.2

14.4

3

전기에너지

2716

22.5

25.7

25.3

-1.5

4

베이커리제품

1905

13.9

15.9

17.4

9.4

5

부탄가스

2711

12.0

19.3

12.3

-36.3

6

화물차

8704

1.6

8.5

11.8

38.8

7

식용유

1512

10.4

11.1

9.9

-10.8

8

건설광산기계

8429

0.3

0.2

9.7

385

9

계란

0407

6.6

8.7

9.6

10.3

10

터빈

8406

0.08

4.1

8.1

97.6

 

기타

349.9

474.8

421.0

-11.3

 

전체

1111.9

1536.3

1528.9

-0.5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 일본은 몽골의 FTA체결국이며, 체결 이후 양국 교역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201911 기준 일본은 몽골의 3 수입국이자 10 수출국이며, 몽골의 대일본 수출은 1482 달러, 수입은 56011만달러로 3위의 교역국임.

    - 주요 수출품목은 편직물 의류와 가축의 내장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중고차, 건설장비 등임.


몽골의 대일본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승용차

8703

213.5

325.1

341.2

4.9

2

건설광산기계

8429

22.7

30.4

48.8

60.5

3

화물차

8704

12.2

32.6

45.1

38.3

4

신타이어

4011

13.5

18.7

27.6

47.6

5

자동차 부품

8708

5.7

7.0

6.4

-8.5

6

중장비 부품

8431

4.4

3.8

5.3

39.5

7

의료기기

9018

1.8

12.1

5.0

-58.7

8

담배

2402

1.9

2.2

4.2

90.9

9

액체펌프

8413

1.5

1.9

2.9

52.6

10

수력엔진

8412

0.1

1.1

2.1

90.9

 

기타

57

82.2

71.5

-13

 

전체

334.3

517.1

560.1

8.3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 미국은 몽골의 8 수출국이자 4 수입국이며, 201911 기준 몽골의 대미국 수출액은 2465만 달러, 수입액은 26694만 달러로 4위의 교역국임.

    - 주요 수출품목은 편직물 의류와 광물 생산품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건설광산기계와 관련 부품 등임.


몽골의 대미국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중장비 부품

8431

8.0

8.2

12.2

48.8

2

건설광산기계

8429

4.0

5.2

10.3

98.1

3

신타이어

4011

6.3

6.0

9.0

50.0

4

승용차

8703

3.5

6.2

8.3

33.9

5

액체펌프

8413

4.6

6.1

7.0

14.7

6

청정기

8421

4.0

5.2

5.5

5.8

7

자동차 부품

8708

4.0

5.8

5.1

-12.0

8

의료기기

9018

1.8

2.6

5.1

96.1

9

밸브

8481

3.2

3.3

4.8

45.4

10

수력엔진

8412

4.5

5.3

3.1

-41.5

 

기타

149.5

139.1

196.5

41.3

 

전체

193.4

193.0

266.9

38.3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 한국은 몽골의 7 수출국이자 5 수입국이며, 201911 기준 대한국 수출액은 2497 달러, 수입액은 24766만 달러로 3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1990 수교 당시 270 달러에 불과했던 교역 규모는 지속 증가해 2012 양국 간 교역액은 487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17 19770만달러까지 감소했음. 2018년에는 대한국 수출액은 2120만 달러로 전년대비 82.5%이며, 수입액은  26236만 달러로 전년대비 32.7% 각각 상승하면서 양국교역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대한국 주요 수출품목은 캐시미어 의류 광물생산품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화물승용차·석유제품·담배·의약품과 의료기기 등임. 최근 3 몽골의 대한국 수입액은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몽골의 대한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HScode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

1

석유제품

2710

15.7

24.5

27.4

11.8

2

화물차

8704

14.9

24.5

23.4

-4.5

3

담배

2402

11.8

11.7

17.4

48.7

4

건설광산기계

8429

16.6

25.2

16.6

-34.1

5

버스

8702

7.5

7.8

7.0

-10.2

6

의약품

3004

3.8

6.0

6.5

8.3

7

승용차

8703

6.7

6.2

4.3

-30.6

8

의료기기

9018

1.9

5.0

4.0

-20

9

부탄가스

2711

2.9

3.0

3.3

10

10

액체펌프

8413

0.8

0.7

3.3

371.4

 

기타

97.2

125.1

134.5

7.5

 

전체

179.8

239.7

247.7

3.3

        : 상기 통계는 연도 11 기준

자료: 몽골 관세청


시사점


  ㅇ 2019년 수입품목은 건설 관련 품목의 수입이 급증

    - 올해 11월까지 수입품목 중 상위 품목을 분석해보면 건설기계, 중장비, 건축자재 등의 수입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이런 현상은 내년 6월 총선, 2021년 대선 등 주요 정치적 일정을 앞두고 건설경기가 활성화되는 추세와 맞물려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ㅇ 몽골은 지나친 광업 의존적 경제구조 탈피를 위해 수입 대체 제조업 육성 등 경제구조 다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자재 및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몽골 정부에서 전략분야로 지정한 산업에서의 소요품목에 대한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제품은 아래와 같음.

    - “몽골 국가개발전략 2030”에서 농업, 섬유, 식품, 건설, 석유화학, 신재생에너지, 관광 분야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했으며 일부 분야의 수입품에 대한 세금 면제 조치도 시행하고 있음.

    - 몽골 국회의 2015 503명령으로 부탄가스 사용 시 필요한 장비기계, 특장차, 관련 부품에 부과되는 관세 부가세를 무기한으로 면제한 상태임. 면제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음. https://www.legalinfo.mn/annex/details/6994?lawid=11532

    - 몽골 국회의 2016년 제198명령으로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필요한 연구 및 생산장비에 부과되는 관세 및 부가세를 무기한으로 면제함. 면제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음. https://www.legalinfo.mn/annex/details/7236?lawid=11839

    - 몽골 국회의 2016 197명령으로 농업관련 일부 기계장비 트랙터에 부과되는 부가세 10% 20201231일까지 면제함. 면제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음. https://www.legalinfo.mn/annex/details/7223?lawid=11830

 

  ㅇ 몽골 국가개발전략에 의거해 제조업 활성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공장설비, 생산기계 수요 증가 예상

    - 몽골 관세청 담당자에 의하면 상기 면세 품목 수입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몽골 국가개발전략 2030”에 따라 향후 제조업 관련 특히 식품 제조관련 생산기계와 포장기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에 따라 식품제조 관련 기계장비 생산하는 한국기업들은 내년에는 예전보다 몽골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자료: 몽골 관세청, 몽골법률 시아트,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몽골 수입통계로 보는 주요 수입품목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