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0 아세안 경제전망, 위기를 기회로!
  • 경제·무역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이정현
  • 2019-12-23
  • 출처 : KOTRA

- 세계 경제 소폭 회복하며 2020년 2.5% 성장 전망 –

- 무역분쟁으로 인한 공급망 변화로 아태지역 신흥시장 성장 유망 -

 

 

 

EIU 전문가가 전하는 2020 경제 전망

 

영국 Economist 산하 경제조사기관인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아시아 애널리스트가 2019년 11월 15일 KOTRA 싱가포르 무역관에서 ‘2020 세계 경제 정치 전망 전함.

 

  ㅇ 세계 경제, 2020년 2.5% 성장 전망

    - 증가하는 무역보호주의와 관세로 인해 2019년 세계 경제가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미중 무역분쟁의 2020년 내 협상 타결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며, 기술 분쟁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는 반면 신흥 시장(emerging markets) 국가 대부분의 성장으로 인해 2020년 세계 경제가 소폭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함.  

 

2020 세계 경제 전망

자료: The EIU,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outlook, October 2019

 

  ㅇ 주요국 경제 전망

    - (APAC의 New tigers) 향후 5년간 아시아태평양 경제가 급속한 도시화와 높은 예치율 및 투자율로 인해 연간 4.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이에 신흥 강자로 떠오르는 국가는 인도와 베트남,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임.

    - (남아시아) 내수 시장의 확대가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꼽히는 반면 중산층의 성장속도에 따라 저성장할 것으로 보임.

    - (중국) 과잉 부채, 인구노령화, 미국과의 무역긴장이 경제 성장 걸림돌

    - 중국의 해외직접투자(ODI) 상대국 중 단 15%만이 일대일로(BRI) 연선 국가들인 반면 그 외 60%의 해외직접투자가 아세안 국가임.그중 대부분이 싱가포르로 유치됨에 따라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실현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대부분의 연선 국가들이 인프라 구축을 위해 더 많은 투자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외채와 무역적자, 지정학적 문제들을 겪고 있음.

    - (홍콩) 사회 불안으로 인한 경제 침체로 기업들의 해외 이전 가능성이 있으나 홍콩이 가지고 있는 중국 및 세계시장과의 연결성은 대체 불가능할 것으로 보임.

    - (인도) 새 정부의 인프라 구축 목표와 함께 향후 5년간 최소 6%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신흥시장 중 가장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0 아시아 경제 위험요소

자료: The EIU,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outlook, October 2019

 

  ㅇ 세계무역분쟁, 아시아에게 장기적 이득 

    - EIU에 따르면 무역분쟁으로 인해 수출이 증가한 국가는 인도,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임. 향후 5년 동안 무역 전쟁이 지속된다면 나머지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임.

    -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전자제품, 방글라데시의 의류업, 태국의 자동차산업이 무역분쟁으로 인한 수혜를 받아 경제 성장에 일조할 전망

 

□ 2020 싱가포르 경제 현황 및 전망

 

  ㅇ 2019년 싱가포르 경제성장률 0.5~1% 전망

    - 글로벌 성장 약세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의 2019년 3/4분기 제조업이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보임. 이는 전자제품 분야가 부진한 가운데 바이오메디컬 제조 클러스터와 운송 엔지니어링 클러스터(항공우주 부문)의 성장에 기인함.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는 올해 남은 분기 동안 제조업과 도매업 등 무역 관련 서비스업이 약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함. 그러나 건설, 정보통신, 금융 및 보험, 교육, 보건 및 사회 서비스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ㅇ 2020년 싱가포르 경제성장률 0.5~2.5% 전망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가 2019년 11월 21일 2020년 싱가포르 경제성장률을 당초 전망치인 0~1%에서 상향 조정함.

    - 싱가포르 총선이 2021년 4월 내로 실시돼야 함에 따라 이번 총선이 2020년 예산안 발표 시기인 2월 이후 실시될 것으로 전망됨. 더불어 자국민 민심 확보를 위해 유아 교육비 지원, 헬스케어 부문 노인복지 확대 및 인프라 개발 등 내부 안전망 강화를 위한 지출 증가가 예상됨.

 

싱가포르 경제 전망

 구분

2018

2019F

2020F

2021F

Growth, yoy%, ave

3.6

0.6

1.4

1.8

Inflation, yoy%, ave

0.4

0.6

1.1

1.5

Core inflation, yoy%, ave

1.7

1.1

1.2

1.4

Currency, vs USD, eop

1.36

1.38

1.37

1.35

10-year yield, %, eop

2.04

1.70

2.00

2.25

자료: DBS Focus, Singapore outlook 2020: Getting out of the woods(2019년 11월 18일)

 

  ㅇ 산업별 성장 전망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의 L씨는 ‘정보통신, 금융, 보험 분야가 기업의 IT와 디지털 솔루션, 결제서비스 수요에 힘입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 (제조업 개선 여지) 전자제품의 선적량이 두 자릿수 하락세를 지속한 반면 9월 24.8%에서 10월 16.4%로 6개월 만에 가장 작은 감소폭을 보이며 제조업의 회복 기미를 나타냄. 2019년 말 제조 분야의 안정화와 함께 전자제품과 도매무역업의 성장 또한 촉진될 전망
    -
비전자제품 선적량의 감소는 제약, 석유화학, 화학제품 분야의 불안에 기인함.

 

  ㅇ 홍콩 시위, 기회인가 위기인가

    -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무역침체에 이어 홍콩의 정치혼란과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등이 금융 시장의 변동성으로 이어지며 싱가포르에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

    - 반면 몇몇 전문가들은 홍콩의 시위 장기화가 싱가포르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함. 싱가포르의 호텔 객실점유율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럭셔리 주택 판매와 금 보유량 및 외환예금이 증가함. 이는 경기침체의 위협을 겪고 있는 싱가포르에게 큰 기회임.

    - Maybank 싱가포르의 한 경제전문가는 ‘올해 4월에서 8월까지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40억 미국 달러가 유입된 것으로 예상됨. 이는 홍콩의 총 예금액인 1조7000억 미국 달러에 비해 매우 미미한 수준이지만 홍콩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이러한 자본이동의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함.

    - 이에 정치경제적 안정성을 갖춘 싱가포르가 자본, 투자, 인적자원의 이동으로 이득을 얻을 것으로 전망함.

 

시사점

 

  ㅇ 세계 무역 전망

    - 지속되는 무역분쟁이 기술, 투자, 금융 및 보안 분야까지 확대될 전망으로 앞으로의 영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 (RCEP 타결) 싱가포르를 포함한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로 이뤄진 총 15개국이 2019년 11월 4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정문을 타결했으며, 2020년 서명할 예정임. 인도가 추가 협상을 요구하며, 이번 협정에 동참하지 않아 향후 인도의 참가 여부에 따라 다자간 무역체제의 지각변동이 예상됨.

 

  ㅇ 한-싱가포르 교류 확대 전망 

    - 한·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항공자유화로 인해 11월 26일부터 한국과 싱가포르의 항공편 횟수 제한이 폐지됨. 이에 양국 간 기존 노선운항의 증가 및 신규 공항의 노선 개설이 유망함.

    - 한국 중소기업벤처부가 싱가포르 기업청(ESG)의 지원으로 최초의 동남아-한국 스타트업 센터를 싱가포르에 2020년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혀 양국의 경제협력과 우호관계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됨.

    - 싱가포르 리셴룽 총리가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위해 한·싱가포르 FTA를 업데이트하는 중이라고 밝힘.

    - 이에 싱가포르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은 양국 관계 전망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자료: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 DBS Focus, The Straits Times, The Business Times, Channel News Asia,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0 아세안 경제전망, 위기를 기회로!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