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정유시설 피폭에 따른 경제 동향 및 전망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윤수한
  • 2019-09-25
  • 출처 : KOTRA

- 아람코 정유시설 2기 피폭으로 9월 14일 원유 570만 배럴 생산 일시 중단 -

- 9월 말 피해시설 완전 복구 예상되나 복구 지연 시 국제유가 재상승 우려 -




(피폭개요) 예멘반군, 사우디 정유시설 2개 드론 공격 실시

    

  ㅇ 2019년 9월 14일(토) 새벽 4시경 아람코(ARAMCO) 소유 아브카이크(Abqaiq)와 쿠라이스(Khurais) 지역 정유시설 드론 공격   

    - 아브카이크는 아람코 본사(Dhahran) 서남쪽 60km에 위치한 세계 최대 석유 탈황·정제 시설이며, 가와르 유전 생산원유 물류 기점

      * 아브카이크(Abqaiq): 사우디 동부 담맘 인근, 예멘국경 890km

      * 가와르 유전(Ghawar Field): 아람코(ARAMCO) 운영, 580만 배럴/일 생산

    - 쿠라이스 유전, 사우디 5대 유전 중 3위로 120만 배럴/일 생산

 

  ◦ 예멘 후티반군, 공식 성명 통해 드론 공격 실시 발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을 공격 배후로 지목


  ㅇ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 정유시설 피폭 관련 피해상황 발표(9월 14일)

    - 이번 공격은 최근 예멘반군이 시행한 국경지역 오일 탱커, 공항, 격납고 테러의 연장선상이라고 언급

    - 사우디 경제뿐 아니라 국제 원유시장 및 세계경제 위협이라고 강조


(생산동향) 원유 570만 배럴, 천연가스 70만 배럴 생산 일시 중단(9월 14일)

 

   ◦ (원유)  570만 배럴은 아람코 총 일산량의 50%, 세계 일산량의 5% 수준

     - 원유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됐으나 공급 손실은 비축유(Emergency Stockpiles)에 의해 보충 중

 

   ◦ (천연가스) 2bcf(십억 입방피트) 수반가스 생산이 중단된 바, 70만 배럴 액상천연가스(NGL) 생산 일시 중단


(국제유가) 수급불안에 따른 단기 급등 후 안정세 회복 중

 

  ◦ 서부텍사스유(WTI), 피폭 이후 14.7% 증가한 62.9달러 기록(9월 16일)

     - 200812월 이후 11년 만에 퍼센트 기준 하루 최대폭 상승

     - 국제원유 수급 불안 요인으로 장중 20%까지 폭등

 

   ◦ 브렌트유, 두바이유 또한 피폭 영향으로 대폭 증가

     - (브렌트유) 14.6% 오른 69.02달러 마감했으며, 장중 한때 20% 상승해 1990년 걸프전 이후 일일 최대폭 증가 기록

     - (두바이유) 전일대비 7.74% 상승한 63.12달러로 마감

 

   ◦ 압둘아지즈(Abdulaziz) 에너지부 장관, 피해복구 현황, 원유수출 계획 등 기자회견 발표 후 국제유가 안정세(9월 17일)

     - 손상된 생산시설 50% 이상 복구 완료 및 비축유 사용으로 국제석유시장 공급 차질 예방

     - 서부 텍사스유 5.6%, 브렌트유 6.5% 하락으로 진정세(9월 17일)


서부텍사스유(WTI) 유가 동향

자료: Bloomberg, KOTRA 리야드 무역관 가공


□ 현지 정세


  ㅇ (경제) 아람코 기업 공개(IPO) 지연, 프로젝트 추진 애로 우려

    - 아람코 상장가치 평가액 감소, 역내 충돌 심화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 신뢰 저하 등으로 아람코 기업공개 지연 가능성 대두

    - 사우디 정부, 아람코 기업 공개 일정대로 내년 상반기 추진 발표

    - 테러 리스크 증가로 사우디-예멘 국경지역  프로젝트 수행 애로 전망


  ㅇ (미국) 미국의 이란 배후지목으로 사우디-이란 긴장 고조(9월 14일)

    - 미국, 예멘반군은 장거리 정밀타격 드론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공식 언급

    - 현장 조사 및 대응책 마련 위해 폼페이오 국무장관 사우디 급파 및 빈살만 왕세자 면담 실시

    - 또한 이번 공격에 사용된 미사일 회로판 검사 이후 이란 남부 미사일 공격 시작 가능성 제기

    - 에스퍼 미 국방장관, 사우디 및 아랍에미리트(UAE) 미군 증파 발표(9월 20일)


  ㅇ (예멘)  친이란 예멘반군, 사우디에 휴전 제안(9월 20일)

    - 미국의 사우디 증파 선언 이후 예멘 반군 최고정치위원회(SPC)는 사우디에 대한 드론, 미사일 등 모든 종류 공격 중단 선언

    - 2015년 3월 사우디-예멘반군 전쟁 시작 이후 최초의 휴전 제안


  ㅇ (한-사우디) 양국 정상, 피폭 이후 전화통화 실시

    - 한국, 석유시설 피폭 위로 및 복구 지원 의사 표명

    - 테러 재발 방지 위해 사우디 대공방어체제 구축 협력 강화 논의


□ 한국기업 영향


  ㅇ (원유수입) 비축유 사용, 신속한 피해복구로 단기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분석

    - 단기적 공급차질이 우려됐으나 아람코의 충분한 비축유 보유로 단기적으로 원유 수입 큰 영향 없을 것으로 분석

    - 사우디 정부의 신속한 복구로 인해 유가 급등은 없을 것으로 전망

    - 단, 예멘반군의 추가 테러 시행, 복구 지연 등 발생 시 국제유가 재급등 가능성 있음


  ㅇ (수출) 미사일, 탄약, 보안제품 등 방산물자 수출 증가 예상

    - 대공방어용 미사일, 사우디-예멘 국경지역 교전용 탄약 및 수류탄, 드론 전파교란 장치 등 방산물자 수요 증가 예상

    - 한국의 對사우디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제품 등은 이번 사건과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임


2019.1-8월 한국의 對사우디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금액

증감률

수출 총계

2,319

▲11.8

수송기계(74)

900

▲17.4

철강제품(61)

194

4.1

석유화학제품(21)

177

▲12.9

고무제품(32)

146

48.4

산업기계(72)

129

28.1

주: MTI 2단위 기준

자료: KITA


□ 현지 반응


  ㅇ (사우디 에너지 관련 기관 A) 공장시설 피해 복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비축유가 충분하기 때문에 국제석유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 또한 아람코의 기술적 역량 고려 시 9월 말까지 피해 복구가 100% 가능할 것이라고 부언


  ㅇ (사우디기업 B) 피폭 이후 한국-사우디 대공방어체제 구축 협력 강화가 논의된 만큼 국방부 등에서 관련 물품 발주 기대되며, 한국의 드론 방어 기술 기업과 적극 협력 희망


  ㅇ (한국기업 C) 프로젝트 중단, 연기 등의 사태는 발생하지 않고 있으므로 철강, 석유화학 제품 등의 수출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임. 


□ 시사점


  ㅇ 예멘반군의 휴전 제안으로 인해 사우디-예멘 전쟁 소강상태 및 국제유가 안정 가능성 증가

    - 안정적 원유수입, 프로젝트 수행 등으로 우리기업 사우디 진출 리스크 감소


  ㅇ 사우디 비전 2030, 아람코 기업 공개 추진에 따른 프로젝트 발주 가능

    - 정부재정악화 회복세에 따른 석유화학, 발전소,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

    - 네옴(NEOM) 신도시,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관련 진출 검토 가능


  ㅇ 피폭 사건으로 인해 사우디 경제 단기적 영향은 있겠으나, 최저점 대비 유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경제회복 예상

    - 사우디 정부 재정적자 완화로 프로젝트 발주 증가 추세

    - 특히, 사우디 실물경제 회복으로 인해 소비자 구매력 증가 중



자료: 사우디 에너지부 발표 자료, 현지언론(Arab News, Saudi Gazette 등),  Bloomberg, KITA, KOTRA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정유시설 피폭에 따른 경제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