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9 상반기 중국 경제 현황 점검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9-09-05
  • 출처 : KOTRA

상반기 GDP 6.3%, 중국 정부 지속적으로 온중구진() 목표 -

-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 대외 수출입 감소 -





자료: 신랑전란(新浪专栏)


□ GDP


  ㅇ 2019 상반기 중국 GDP 성장률 6.3% 기록

    - 2019년 중국 실질 GDP는 1분기 21조3,432억 위안, 2분기 23조7,500억 위안을 기록하며, 2019년 상반기 총누적 GDP는 45조933억 위안을 기록함.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수치임.

    - 중국 GDP 성장률은 최근 5년간 6%대에 머물며, 2014년 시진핑 정부가 신창타이(新常态)를 제시한 이래로 중고속 성장을 이어가는 한편, 경제 성장률은 매년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중국 정부는 2019 경제 성장률 목표 구간을 6.0~6.5% 설정하며, 온중구진 (, 안정 성장) 상태를 이어갈 것을 목표로 .

    - 2019년 6월 IMF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2019년 6.2%, 2020년 6.0%로 예측함. 지난 4월 2019년 6.2%, 2020년 6.3%로 전망한 것에 비해 소폭 하향됐는데, 이는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중국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임.

 

중국 GDP 현황 및 성장 추세

연도

2019년 2분기

2019년 1분기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국내총생산(명목GDP)

(억 위안)

237,500.3

213,432.8

900,309.5

820,754.3

740,060.8

685,992.9

GDP성장률(%)

6.3

6.6

6.8

6.7

6.9

자료: 국가통계국(统计)

 

 

중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단위: %)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ㅇ 산업별 GDP 증가율

    - 2019년 상반기 산업별 GDP 증가액은 1산업 23,207 위안(+3.0%), 2산업 179,984 위안(+5.8%), 3산업 247,743 위안(+7.0%)으로 3차산업이 그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여줌.

    - 2019년 상반기 산업별 증가액이 총 GDP 증가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는 1차산업이 5.1%, 2차산업이 39.9%, 3차산업이 54.9%로 나타났음. 중국에서 근 5년간 3차산업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영국, 미국 등 3차산업 비중이 70%가 넘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임.

 

중국 산업별 GDP 증가율(%)


중국 산업별 GDP 증가액 차지 비율(2019.6.)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 무역

 

  ㅇ 중국 대외 무역 추이 

    - 2019 1~6 중국 교역액은 21,612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0% 하락함. 수출은 11712 달러(+0.1%), 수입은 9,900 달러(-4.3%) 무역수지는 1,812 달러의 흑자를 기록함.

    -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의류, 방직물, 무선 전화기, 전기제품, 농산물 , 주요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원유, 농산물, 집적 회로, 첨단기술제품 등임.

  

중국 수출입 총괄

(단위: 억 달러, %)

연도

2019.6

2018

2017

2016

2015

2014

수출

11,712(0.1)

24,874(9.9)

22,635(7.9)

20,974(-7.7)

21,486(-1.8)

23,427(6.1)

수입

9,900(-4.3)

21,356(15.8)

18,410(15.9)

15,875(-0.0)

15,883(-13.2)

19,603(0.4)

수출입총액

21,612(-2.0)

46,230(12.6)

41,045(11.4)

36,849(-6.8)

37,369(-7.0)

43,303(3.4)

무역수지

1,812

3,518

4,225

5,100

5,603

3,824

자료: 중국해관총서 

 

  ㅇ 중국의 무역 주요국별 수출입 비교

    - 2019년 1~6 기준, 수출 상위 5개국(지역) 미국, 홍콩, 일본, 한국, 베트남, 수입 상위 5개국(지역) 한국, 일본, 대만, 미국, 호주 순임. 총 교역액 상위 5개국(지역)은 미국, 일본, 한국, 홍콩, 대만 순임.

    중국의 대외 수출 중 이번 상반기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중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감했다는 점임. 미국 수출의 점유율은 2018년 19.2%에서 2019년 상반기 17.0%로 감소하며 2.2%의 하락을 보여줌.

    - 상반기 중국의 수출 비중이 가장 큰 미국과 홍콩의 비중이 감소한 것과 상반되게 대베트남 수출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함.

    - 한편 중국의 대외 수입 측면에서도 미국 점유 비중이 급감한 것이 두드러짐. 2017 8.4%였던 수입 점유율이 무역전쟁이 본격화된 2018 7.3%로 감소하고, 2019년 상반기에는 6%까지 감소함.

    - 중국의 수입 시장 점유율은 독일이 2018년까지 약 5%를 유지하며 점유율 5위를 유지했으나, 2019년 상반기 호주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5.7%까지 증가하며 독일을 넘어선 5위 자리를 차지함.

 

중국 5대 수출국의 중국 수출 점유비중 변동 현황(2019.6.)

자료: 중국해관총서

 

중국 5대 수입국의 중국 수입 점유비중 변동 현황(2019.6)

자료: 중국해관총서

 

2019년 1~6월 중국 주요 국가(지역)별 교역액

순위

국가

(지역)

달러 기준 교역액 (억 달러)

위안화 기준 교역액 (억 위안)

총액

수출

수입

수지

총액

수출

수입

수지

총액

21,612

11,712

9,900

1,812

146,675

79,520

67,155

12,365

1

미국

2,583

1,994

589

1,405

17,536

13,542

3,994

9,548

2

일본

1,511

695

816

-121

10,252

4,720

5,532

-812

3

한국

1,396

551

845

-294

9,470

3,737

5,733

-1,996

4

홍콩

1,338

1,292

46

1,246

9,075

8,763

312

8,451

5

대만

1,045

254

791

-537

7,088

1,725

5,363

-3,638

6

독일

906

388

518

-130

6,156

2,636

3,520

-884

7

호주

787

221

566

-345

5,345

1,501

3,844

-2,343

8

베트남

699

446

253

193

4,742

3,023

1,719

1,304

9

말레이시아

573

243

330

-87

3,892

1,653

2,239

-586

10

브라질

521

156

365

-209

3,537

1,062

2,475

-1,413

자료: 중국해관총서 

 

□ 한-중 무역 및 투자 동향

 

  ㅇ 한국의 대중국 수출입

    - 20191~6월 대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7.0% 하락한 656억 달러, 수입은 4.3% 증가한 541억 달러를 기록하며, 115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달성함. 수출입 총액은 2018년 상반기 1,310억 달러에서 약 8.6% 하락한 1,197억 달러를 기록함.

    - 이번 상반기 중국의 최대 수입국인 한국이 중국의 대외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8 9.7%에서 2019 상반기 8.6% 1.1%p 감소함.

    - 이번 상반기 대중 수출 감소에 있어서 한국의 전체 대중 수출액의 24%를 차지하는 전자집적회로(반도체)의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8%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됨. 대중 반도체 수출의 급감은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인한 반도체 가격의 하락이 주 원인임. 또한, 미중분쟁으로 인한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감소 역시 한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감소의 부수적인 원인임.

    - 또한 상반기 대중국 수출입액 감소의 대내적 요인으로는 중국 내 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자급률 제고, 산업구조조정 등 성장전략 전환, 중국의 제조기술 지속 향상 등이 있음.


한국 대중국 교역실적

(단위: 억 달러, %)

구분

2019.1~6.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수출 (증감률)

656(-17.0)

1,621(14.1)

1,421(14.2)

1,244(-9.3)

1,371(-5.6)

수입 (증감률)

541(4.3)

1,064(8.8)

978(12.5)

869(-3.6)

902(0.2)

무역수지

115

556

442

374

468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주요 품목별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단위: US$ 백만, %)

순번

구분

품목 코드

(HSK)

2018년

2019년 1~6월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162,125

14.1

65,684

-17.0

1

전자집적회로

8542

46,319

31.6

15,874

-30.8

2

환식탄화수소

2902

8,387

2.2

3,577

-4.7

3

석유제품

2710

7,909

50.1

2,948

-27.0

4

반도체 제조장비

8486

5,764

85.0

2,445

-5.1

5

LCD

9013

8,436

-13.5

2,379

-41.3

6

전기전자기기 부품

8473

3,837

88.3

2,325

61.8

7

핸드폰부품

8517

2,148

-4.2

1,879

96.8

8

방송통신기기 부분품

8529

3,273

-13.0

1,612

13.7

9

기계류

8479

2,566

29.3

1,192

-12.6

10

화장품

3304

2,014

37.4

1,102

8.5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ㅇ 한국의 대중국 투자

    - 기획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한국의 대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4.9% 증가한 141억1000만 달러로 2년 이래 최고의 증가폭을 보임. 특히 대중국 투자는 2019년 1분기 16억92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6.1%의 증가를 보임.

    - 왕이() 신문에 의하면, 2019년 상반기(1~6월)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63% 증가했으며, 주 투자영역은 최첨단기술 산업에 집중돼 있다고 전함. 또한 왕이신문은 한국이 일본과의 반도체 분쟁 이후 새로운 공급원 모색의 일환으로 중국 반도체 부품업체와 적극적으로 투자 및 협력 의향을 보이는 것이라고 분석함.

    - 한국의 대중국 투자 증가요인으로는 미중 분쟁으로 인한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등 친외국자본 정책으로 외자기업 사업환경 개선, 사드이후 냉각됐던 양국관계 회복 등이 있음.

 

 연도별 대중 투자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2015

1,250

541

2,316

1,755

1,936

2016

1,613

675

3,995

2,382

3,299

2017

1,503

535

3,709

2,188

2,968

2018

1,415

491

5,660

2,134

4,766

2019.3.

296

111

1,522

469

1,692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한국 수출입은행 자료는 1분기까지만 제시)

 

  ㅇ 중국의 대한국 투자

    - 산업통상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한국의 총 외국인투자는 전년 대비 신고금액 기준 36% 감소함. 닛케이 아시아 리뷰에 따르면 한국의 경기 침체와 한국의 조세감면정책 중 소득세 법인세 지원 정책이 2018년 종료된 것 등이 전 세계의 대한국 투자 감소의 원인임.

    - 2019년 상반기 중국의 대한국 투자 총 신고금액은 약 3억100만 달러로 2018년 상반기의 22억200만 달러 대비 약 86% 감소함. 이는 2018년 중국의 대한국 FDI가 2017년 대비 238.9% 증가함으로써 발생한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임.

 

중국의 대한국 투자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2015

2016

2017

2018

2019.6

신고건수

신고금액

신고건수

신고금액

신고건수

신고금액

신고건수

신고금액

신고건수

신고금액

685

1,978.3

770

2,049.2

564

809.3

508

2,742.6

271

301.1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 시사점


  ㅇ 중국 경제에 대해서 중국 정부는 자신감을 보이고 있음. 

    - 2019년도 상반기는 무엇보다도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입이 크게 하락함.

    - 하지만, 중국 정부는 언론을 통해 세계 경제의 하방 압력 및 불리한 대외조건에도 불구하고 이번 상반기 6.3%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 냈다며, 중국 경제는 튼튼하고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선전함.

    - KOTRA 상하이무역관이 인터뷰한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연구부 관계자는 “현재 많은 중국 기업은 일정 시간 동안의 ‘조정기’를 거치며 미국의 관세 부과 압력을 발전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로써 미중 무역분쟁이 향후 중국 경제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중국 정부의 각종 경기부양정책이 갈수록 효과를 보며, 중국 경제의 성장 속도는 계속해서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각종 경제지표 역시 더 호전될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밝힘.


  ㅇ 한국에 주는 시사점

    - 한국 대외 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4 정도로 가장 높음. 따라서 한국의 대중 수출 및 중국 경제의 변화는 한국 전체 수출의 변동을 좌지우지할 뿐만 아니라 수출주도형 국가인 한국의 전체 경제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침.

    - 한국 기업은 중국의 경기 하방 압력에 관심을 두고 대비하는 자세를 취해야 함. 전 세계로 무역을 분산화시키며 높은 대중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함.

 

  ㅇ 향후 있을  중국의 대외 경제 개방에 주목

    - 중국은 2018년부터 시행한 상하이 수입박람회(进口博览会)에 시진핑 주석이 참가하며 중국의 대외 개방 및 외자 유치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음. 2019년 들어서는 3월에 <외국인투자법(外商投资方)>을 정식으로 통과시키고, 이후 네거티브 리스트를 축소하는 등 더 적극적인 대외 개방 자세를 보여주고 있음. 이로써 한국의 의료, 서비스업 등 기업의 중국 진출에 있어서 큰 기회가 될 수 있음.

    - 이와 동시에 미중 무역분쟁이 여전히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하에, 한국 기업들은 미중 무역분쟁으로부터 비롯되는 급변하는 대외 정세와 세계 경제 및 무역에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임.  

 

 

자료: 국가통계국(统计),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협회, 중국해관총서,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9 상반기 중국 경제 현황 점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