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및 2019년 경제전망
  • 경제·무역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박성우
  • 2019-02-21
  • 출처 : KOTRA

- 2019년 유가회복과New Kuwait 2035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3.5%의 경제 성장률 달성 예상

- 프로젝트 및 소비재 부문 국내기업 진출 기상도 ‘맑음’




□ 쿠웨이트 개요


자료원 : MAPS


  ○ 지리

    - 쿠웨이트는 아라비아 반도(Arabian Peninsula)의 북동쪽 구석, 아라비안 걸프 (Arabian Gulf)의 머리에 위치

    - 북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으로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접경하고 있으며, 아라비아 걸프만을 동쪽으로 끼고 있어 전통적으로 중동의 중요한 요충지


  ○ 인구

    - 총 인구는 450만 명 수준이며, 약 3분의 1은 쿠웨이트인, 나머지 3분의 2는 80개국 이상에서 온 외국인 거주자들로 구성


  ○ 경제

    - 국가 경제를 석유 관련 산업이 주도하며, 총 석유 매장규모는 약 1015억 배럴로 추정, 전세계 매장량의 약 7%를 차지

    - 석유 산업이 GDP의 절반 이상, 정부 수입의 94.4%를 차지.

    - 석유 정유 및 석유 화학 공정이 지배적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 석유 관련 제조 및 농업 분야는 매우 제한적


□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 2018년 쿠웨이트 경제 성장률 2.3% 달성

    - 2018년 쿠웨이트의 GDP 성장률은 석유 생산량 증가 및 유가회복에 힘 입어 가속화

    - 글로벌 신용도 성장과 유가회복으로 인하여 민간투자 역시 활성화 추세- 비 석유 부문 제조, 운송 및 건설 등 일부 산업은 위축, 둔화

    - 2018년 물가상승률은 0.8%로 다년간 최저치로 하락하였으며,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0.6%로 하락하여 안정적인 경제상황과 소비심리 회복을 반영
    - 쿠웨이트 정부는 부가가치세 도입을 2021년까지 유예


쿠웨이트의 주요 경제지표

주요 지표

2017

2018

2019 (예상)

GDP (10억 달러)

120.68

144.54

152.37

GDP 성장률 (%)

-3.3

2.3

4.1

1인당 GDP (US$)

27,394

31,916

32,737

일반 정부 총 부채 (GDP의 %)

20.6

18.8

25.4

물가 상승률 (%)

1.5

0.8

3

실업률 (%)

1.1

1.1

1.1

자료원 : IMF


  ○ 2018년 한국-쿠웨이트 수출입 결산

    - 한국은 쿠웨이트의 수입국 중 8위(4.7%), 수출국 중 1위(18%)에 해당

    -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주요 수출품은 전력용 기기, 철강판, 자동차, 주요 수입품은 원유, 석유제품, LPG

    - 수출: 상위 10위 수출품 중 자동차를 제외한 9개 품목이 모두 프로젝트 관련 기자재

    - 수입: 원유 수입은 전년 대비 증가, 석유제품, LPG등은 감소


한국의 쿠웨이트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17년

2018년

수출금액(비중)

수출금액(비중)

1

전력용기기

43,015 (37.2)

27,705 (25.6)

2

철강판

824 (0.7)

11,601 (10.7)

3

자동차

14,297 (12.4)

11,321 (10.5)

4

철강관 및 철강선

2,763 (2.4)

8,341 (7.7)

5

기타 산업 기계

131 (0.1)

6,624 (6.1)

6

선박 해양 구조물 및 부품

225 (0.2)

5,300 (4.9)

7

레일 및 철구 조물

5,991 (5.2)

4,520 (4.2)

8

계측 제어 분석기

576 (0.5)

3,635 (3.4)

9

기계 요소

8,673 (7.5)

3,549 (3.3)

10

산업용 전기 기기

278 (0.2)

2,504 (2.3)

 총계

115,569 (100)

108,051 (100)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MTI 3단위 기준)


한국의 쿠웨이트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17년 

2018년 

수입금액(비중)

수입금액(비중)

1

원유

744,218 (86.6)

978,055 (95.8)

2

석유제품

79,515 (9.3)

37,966 (3.7)

3

LPG

34,190 (4.0)

3,797 (0.4)

4

동제품

329 (0.04)

555 (0.05)

5

알루미늄

406 (0.05)

131 (0.01)

6

운반 하역기계

0 (0)

18 (0)

7

전기부품

0 (0)

12 (0)

8

주단조품

0 (0)

7 (0)

9

기계 요소

0 (0)

5 (0)

10

조명 기기

0 (0)

3 (0)

총계

858,886 (100)

1,020,554 (100)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MTI 3단위 기준)


2019년 쿠웨이트 경제 전망


  ○ (대내여건) 유가 회복으로 인하여 대내 경제여건 및 소비심리는 양호할 것으로 예상

    - 4.1%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가격 및 인플레이션 역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

    - NEW KUWAIT 2035 국가 비전사업으로3,500개 이상의 중소기업 육성 및 청년창업 지원 예정으로 비 석유 부문 시장 확대 및 성장 촉진 예상

    - KUWAITIZATION 정책 확산으로, 쿠웨이트 내 자국민 의무고용률 증가예정


  ○ (대외여건) 석유 생산량 증가와 소비심리 완화로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보호주의 및 자국산업육성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석유 생산량이 2019년 최소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신 보호주의 현지화 요건 강화, 프로젝트 기자재 30% 이상 현지제품 의무사용화


  ○ (프로젝트) 유가 회복으로 중동 내 취소 및 지연 된 기존 프로젝트 재개 예상

    - 특히 건설, 교통 등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와 ICT 분야 프로젝트들의 증가 예상


GCC 국가별/산업별 프로젝트 발주금액 규모 (2019-2020)

(단위: 백만 달러)

구분

화학

건설

오일-가스

산업

발전소

교통

수력

총계

바레인

1,500

8,020

600

200

1,311

30,486

844

42,961

쿠웨이트

10,000

19,938

12,161

13,207

1,500

35,016

5,462

97,284

오만

4,826

33,752

7,050

7,660

2,589

11,821

2,706

70,404

카타르

5,232

34,308

4,600

3,850

266

37,289

925

86,470

사우디

53,273

52,240

3,770

6,000

279

2,650

533

118,745

UAE

10,165

142,713

31,590

11,489

1,219

55,260

12,937

265,373

총계

84,996

290,971

59,771

42,406

7,164

172,522

23,407

681,237

자료원: Meed Project


□ 2019년 쿠웨이트 한국 기업 진출 유망 분야


  ○ (건설프로젝트) 유가 회복과 NEW KUWAIT 2035 추진으로 건설 및 프로젝트 분야 수요 증가 예상

    - 2019-20년 총 1천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발주가 예정

    - 특히 2019년 완공예정인 Sheikh Jaber Causeway교량 완공 후 대륙과 연결되는 부비얀섬의 각종 기반시설의 건설 프로젝트들이 순차적으로 입찰등록 예정

    - 병원정보시스템(HIS), 지능형교통체계(ITS), 보안시스템, 스마트시티 등 타 프로젝트에 연계되는 융복합형 ICT 프로젝트 수요 역시 증가 예상


  ○ (화장품) 한류에 힘입어, 매년 평균 50% 이상의 가파른 성장세

    - 중동 내 한류 열풍으로 젊은 소비계층과 여성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

    - 스킨푸드, 에뛰드하우스 등 한국 화장품브랜드 3개가 쿠웨이트 쇼핑몰에 입점해 있으며, 한국산 피부관리 기기 및 화장품을 사용하는 피부관리샵도 다수

    - 2018년도 화장품 분야 총 수출액은 24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732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50% 이상 가파른 성장세 지속


  ○ (보건의료) 한국 의약품, 의료소비재 및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

    - 2018년도 의약품 분야 총 수출액은 20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620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25% 이상 성장 지속

    -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에 따라 한국산 보건의료 품목들의 쿠웨이트 수출 역시 탄력을 받을수 있을것으로 전망


□ 시사점 및 진출 전략


  ○ 유가의 회복세와 소비심리 회복, 한국-쿠웨이트 수교 40주년 기념식, 한류, 부가세 도입 유예 등 여러 호재들로 인하여 한국기업들의 쿠웨이트 진출 여건은 매우 양호


  ○ 소비재분야 진출 희망 기업의 경우 각종 인증 및 현지 정보 확인이 필수

    - 국내 기업의 쿠웨이트 현지 트렌드 및 시장 진출 성공사례 분석이 필요

    - 쿠웨이트 등 중동 국가에서는 외국기업 단독으로 법인설립 및 사업추진이 사실상 어렵기때문에, 중동에서 열리는 전시회 등을 통하여 신뢰할만한 현지 파트너(에이전트)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쿠웨이트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사전 벤더리스트 등록 및 에이전트 선정 필요

    - 쿠웨이트의 경우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서는 반드시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과 쿠웨이트 에이전트 선임이 선행되어야 함

    - KOC(국영석유공사)의 PQ 담당자는 "벤더리스트 등록의 경우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을 경우 반드시 입찰 예상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그 시기 이전에 해당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 절차를 마무리 해야 한다"고 조언

    - 입찰에 직접 참여를 희망할 경우, 경쟁력 있는 기업들과 컨소시엄 형태를 통한 참여 방식 또한 고려 가능


자료원 : IMF, IHS Markit, MAPS, MEED Project, 한국무역협회, Arab Times, Kuwait Times 등 언론자료, KOTRA 자체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및 2019년 경제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