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의 신호탄이 된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
  • 경제·무역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정미성
  • 2018-06-07
  • 출처 : KOTRA

- 스마트 산업 육성을 통한 아프리카의 산업화 혁신 강조 -
-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적극 공유하며 인적 교류, 관련 산업 협력 기대 -




□ 회의 개요

  ㅇ 2018년 5월 21~25일간 2018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African Development Bank) 연차총회가 부산 Bexco에서 개최됨
    - 이번 총회에는 르완다 총리, 가나 前대통령, 세계은행 총재 등 주요 인사와 AfDB 총재 및 80개 회원국 대표단, 한·아프리카 관련 기업·금융인, 내외신 등 약 5000명이 참석함

  ㅇ 문재인 대통령은 영상 축사를 통해 "한국은 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하고 경제개발과 산업화 과정에서 습득한 경험과 노하우를 아프리카 국가들과 지속적으로 공유해나갈 계획"을 밝힘. 또한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통해 세계 경제의 빠른 변화에 함께 대응하고 미래를 향해 발전해 가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함.
    - 개막 연설을 진행한 김동연 부총리 또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통한 4차 산업혁명 대응이 아프리카의 주요 개발 전략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희망함.

  ㅇ ‘아프리카의 산업화 촉진(Accelerating Africa’s Industrialization)’이라는 주제 하에 개최된 이 총회는 공식 기록문과 공동 선언문을 채택하며 성공리에 폐회함.
    - 특히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간의 활발한 기술·인적 교류 및 개발 경험 공유 등 적극적인 협력 필요성을 재차 강조함.

  ㅇ 이 총회를 계기로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 또한 5월 22일, 24일 진행되었으며, 5월 25일에는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I: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등 국제기구들과 공동 주관한 세미나가 함께 개최됨.
    - AfDB 연차총회 공식 일정 외에도 산업시찰, 한국 기업 설명회, Better Africa 공모전 등의 주최국 행사와 기업 전시관 등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되었으며 KOAFEC 개발 콘서트, 아프리카 패션쇼, 음악제 등 문화 행사도 성황리에 열림.

  ㅇ KOTRA는 국내 기업의 아프리카 사업기회 창출을 돕기 위해 아프리카 프로젝트·조달 설명회와 1:1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하여 아프리카의 주요 프로젝트와 참여 방안 등을 공유함.
    - AfDB 외에도 모잠비크 석유가스공사, 탄자니아 수력개발청 등 인프라/교통‧에너지 분야 아프리카 발주처가 참석해 국내 기업에게 현재 추진‧계획 중인 주요 프로젝트를 설명함.

  ㅇ 차기 제55차 AfDB 연차총회는 2019년 5월 20~24일간 적도 기니의 수도 말라보에서 개최될 예정

아프리카 개발은행 연차총회 행사 전경>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 공식 홈페이지


□ 주요 의제 및 결과


  ㅇ 이번 총회에서 AfDB는 아프리카의 산업화를 중심으로 사업 운영 현황 및 주요 결과가 담긴 Annual Development Effectiveness Review를 발표함
    - 이 보고서에 따르면 AfDB는 2017년 교통, 에너지 및 기술 분야를 중점으로 사업을 진행하여 1,400만 명의 교통 접근성을 향상하고 2,500km에 달하는 도로를 보수·건설하였으며 21만 개의 중소기업을 위한 재원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남.
    - 아킨우미 아데시나(Akinwumi Adesina) AfDB 총재는 아프리카의 높은 자원 의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화 확대를 강조하며 "젊은 노동력과 도시화, 그리고 아프리카의 중산층 성장이 소비재 시장 성장과 투자 확대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

아프리카의 분야별 교역 비중

external_image

* 자료원 : AfDB


  ㅇ AfDB의 2017년 예산 운용 보고에서 전례 없는 규모의 자금, 총 87억 달러가 승인되어 70억 달러가 지급(disbursement)됨.
    - 주요 프로젝트로 1억 840만 달러를 투입하여 코트디부아르 항공 현대화를 진행하고 튀니지의 IT 산업 발전을 위한 2020 Digital Plan 지원을 위해 8,500달러를 운용함
    - 올 11월 7일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 예정인 Africa Investment Forum 등을 통해 1,000억~1,700억 달러에 달하는 인프라 재정 적자를 메꾸기 위한 추가적인 재원 확보 노력을 경주할 예정

  ㅇ 한국 정부와 AfDB는 아프리카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각각의 방안을 제시함
    - 김동연 부총리는 개회사를 통해 산업화 전략의 혁신, 포용적 성장,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제시
    - 아데시나 AfDB 총재는 아프리카 개혁을 위해 내세우고 있는 5대 전략(High 5s)*를 설명하고 참여 회원국들은 과제 달성을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음
     * ① 에너지, ② 삶의 질, ③ 식량, ④ 지역통합, ⑤ 산업화


AfDB High 5s 협력 분야

external_image 

자료원 : AfDB

  

  ㅇ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은 AfDB  High 5s 의제 추진에 기여하고자 실행계획(Action Plan) 발표, 6대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2년간 50억 달러의 재원을 마련하여 협력사업을 진행할 예정

    - 4차 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스마트농업, 전자정부 등 혁신 분야 개발에 집중

     * ① 에너지·인프라, ② 정보통신기술(ICT), ③ 인적자원 개발, ④ 농업, ⑤ 기후변화, ⑥ 한국의 개발경험공유(KSP)


  ㅇ 르완다, 모로코 총리, AfDB, 세계은행 총재가 참여한 정상급 인사 고위급 토론, 비즈니스 세미나 등을 진행하여 아프리카의 산업화를 위한 각국의 경험과 비전을 공유하고 한-아프리카 민관협력 방안을 모색함
    - 아프리카의 풍부한 생산가능인구 활용한 인적자원 개발, 산업 클러스터 구축, 복지체계 강화, 혁신기술 도입,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 확충 등의 필요성을 공통적으로 강조함
    - 또한 아프리카 혁신을 위해서는 기본·직업교육 확대, 벤처캐피털 펀드 조성을 통한 스타트업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함

  ㅇ 아프리카의 개발협력 사업을 위한 각종 협력 양해각서(MOU)를 적극적으로 체결함
    - 아프리카 전력 분야 지원을 위한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주도 민관 협력 이니셔티브 '파워 아프리카'에 향후 6년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1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합의 
    - 한국청년기술봉사단사업을 통해 ICT 분야를 중심으로 한-아프리카 간 인적·기술적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MOU 체결
    - 2019-20년간 1,800만 달러 규모의 KOAFEC 신탁기금 추가 출연에 합의

□ 현지 반응 및 시사점

  ㅇ AfDB는 아프리카의 산업가치가 2012~18년간 7,020억 달러 6,030억 달러로 줄어들어 실제로는 탈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고속 산업화(fast-track industrialization)의 이행을 강조
    - 이와 같은 맥락에서 당지 유력 경제전문지 Africa Report, African Business 등은 금번 총회에서 언급된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 진전 경험을 높이 평가하며 협력 필요성에 공감
     * AfDB는 아프리카의 산업 GDP를 2025년까지 130% 성장시켜 전체 GDP를 현재 2조2,000억 달러 수준에서 4조6,000억 달러로 끌어올릴 계획


 ㅇ 총회에 참가한 현지 경제전문가 David Kaplan(University of Cape Town 경제학 교수)은 아프리카의 자원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engineering skill) 발전이 중요하다고 조언

   - "아프리카 국가들은 철강과 금의 주요 생산국이면서 왜 냄비, 주얼리 등의 주요 제조국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단순한 자원 개발이 아닌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위한 기술 습득과 현지 조달 강화 필요성을 함께 강조

  ㅇ 아프리카 국가들이 기술 협력에 높은 관심을 표하고 있는 바,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팜(farm), 디지털 헬스케어 등 우리 기업들의 높은 IT 기술을 활용한 산업 진출이 유리할 것으로 기대
    - 특히 농업 부문은 아프리카 고용의 70%를 차지하고 있어 IT 기술을 통한 급진적 산업 성장이 전반적인 경제 성장에 가져올 영향이 매우 큰 산업인 것으로 평가

  ㅇ 또한 아프리카의 산업화 저해 요인 중 하나인 전력 부족을 해결하고자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관련 산업 수요 모색 필요
    - 세계은행, 녹색기후기금,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등 다양한 국제기구들과의 협업을 통한 진출도 고려해볼 만


 

자료원: AfDB 연차총회 공식 홈페이지, African Business, Africa Report, Business Day 등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의 신호탄이 된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