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7/2018년 우크라이나 경제 통상 환경 분석
  • 경제·무역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박대희
  • 2018-05-29
  • 출처 : KOTRA

- 우크라이나 경제,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풀이 -

- 탈 러시아 친 서방주의 정책에도 불구, 여전히 높은 러시아의 영향력 -




□ 경제 환경: 점진적 회복세 시현


  ㅇ 2014년 유로 마이단 사태 이후 발발한 동부 지역 내전으로 인해 각종 경제 지표 하락


  ㅇ 2016년부터 경제 성장률 플러스로 전환, 2년 연속 2%대의 경제 성장률 기록
    - 2018년도에는 3%대의 경제 성장률 기록 전망


  ㅇ 우크라이나 경제가 점진적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은 사실이나, 최근의 각종 경제 지표 상승은 기저 효과로 인한 통계 착시로 풀이할 수 있음.
    - 우크라이나 사태가 발생한 2014년 통계와 비교하더라도 GDP, 환율, 수출입 수준이 여전히 낮아 현재의 우크라이나 경제가 낙관적인 상황이라 속단하기 어려움.


  ㅇ 또한 여전히 불안정한 외환 시장, 무역수지 적자, 높은 수준의 소비자 물가 등이 우크라이나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음.


우크라이나 주요 경제지표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명목GDP(US$ 십억)

133.3

90.9

93.4

112.2

121.2

실질GDP성장률(%)

-6.6

-9.8

2.4

2.5

3.2

인구(백만 명)

45

44.8

44.6

44.4

44.2

1인당 명목GDP(US$)

2,963

2,028.40

2,092.50

2,525.30

2,742.90

환율(UAH/US$)

15.8

24

27.2

28.1

26.4

소비자물가(연평균, %)

12.2

48.7

13.9

14.4

12.1

상품수출(US$ 십억)

50.6

35.4

33.6

39.7

41.2

상품수입(US$ 십억)

57.7

38.9

40.5

49.1

52.8

무역수지(US$ 십억)

-7.1

-3.5

-6.9

-9.4

-11.5

총외채(US$ 십억)

126.3

118.7

113.6

127.6

130.9

총외환보유고(US$)

6.6

12.4

14.6

17.7

17.7

실업률(연평균, %)

9.7

9.5

9.7

9.7

9.6

자료원: IHS(2018년 4월 15일)


□ 산업 분야별 지수 분석: 분야별 온도차에도 불구 경제 회복의 긍정적 신호탄


  ㅇ 건설산업 지수: 2014년 이후 중단된 각종 건설 프로젝트 재개와 함께 키예프를 중심으로 한 주요 도시 내 건설 붐이 일고 있음.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농산물 생산 지수: 봄철 가뭄의 영향으로 2017년 작황이 전년보다 좋지 않았음.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산업생산지수: 우크라이나의 돈바스 지역 봉쇄 조치에 따른 주요 탄광 및 제철 공장에 대한 통제력 상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가스 분쟁에 따른 에너지 수급 문제 등이 지수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됨.


external_image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소매유통지수: 경제 회복과 함께 우크라이나인들의 소비 활동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화물운송지수: 2016년 대비 철도, 해상 운송이 다소 줄긴 했으나 차량, 항공, 파이프라인 운송이 증가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승객운송지수: 경제 회복세와 함께 각종 운송 수단(철도, 차량, 해상, 항공, 지하철 등)에 대한 이용량이 크게 증가. EU-우크라이나 단기사증 면제 협정의 영향으로 항공 이용량이 크게 증가한 것도 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됨.


external_image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 통상 환경: 친 서방주의 행보에도 불구, 단일국으로는 여전히 러시아가 제 1교역 파트너


  ㅇ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로 우크라이나는 EU 및 서방 세력과의 경제 협력에 주력하는 모습

    - 2014년 EU-우크라이나 간 연합협정 체결 후 각종 법·제도를 EU식에 맞춰 개혁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 반면, 2018년 5월 19일 우크라이나는 대통령령으로 CIS(독립국가연합) 관련 모든 기관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부 철수 명령

    - 우크라이나가 사실상 CIS 탈퇴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됨.


  ㅇ EU 가입을 목표로 2014년 EU-우크라이나 간 연합협정을 체결한 후 각종 법·제도 개혁에 노력하고 있음.
    - 2016년 1월 1일, EU-우크라이나 FTA 발효
    - 2017년 6월 11일, EU-우크라이나 간 무비자(단기 사증 면제) 협정 발효


  ㅇ 또한 캐나다와 FTA를 발효하고 이스라엘, 터키와는 FTA 체결을 위한 최종 협상 단계에 있음.
    - 2017년 8월 1일, 캐나다-우크라이나 FTA 발효
    - 2018년 4월 27일, 이스라엘-우크라이나 FTA 가서명 완료


  ㅇ 우크라이나가 경제, 외교적으로 EU 및 서방세력과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단일국으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최대 무역 파트너라는 딜레마를 안고 있음.

    - 권역별로는 EU와의 교역량이 많으나, 단일국으로는 러시아가 여전히 절대 우위를 차지


  ㅇ 국제 사회의 러시아 제재와 우크라이나의 대러시아 악감정에도 불구, 2017년 들어 오히려 대러시아 수입은 증가

    - 2017년 대러시아 수입은 약 72억 달러로 우크라이나 전체 수입의 14.55% 를 차지

    - 품목별로는 화석 연료, 비료, 철, 철광석 수입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의 농업 및 에너지 산업 분야에 중요 자원임.

    -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 국제관계부장 Maxim Dannytskyi은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대한 각종 제재 조치에도 불구,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산 제품 수입이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함.

    - 그에 따르면 현재 대러시아 제재로 많은 러시아 기업들이 우크라이나로 수출하기 어려워졌으나 가격, 품질, 납품 조건 등이 우크라이나 측에서 요구하는 조건과 맞아 향후 제재가 풀릴 시 대 러시아 수입은 더 증가할 수 있다고 함.


우크라이나의 EU, CIS 수출입 비중

구분

수출 비중(%)

수입 비중(%)

2015년

2016년

2017년

2015년

2016년

2017년

EU

34.16

37.15

40.54

40.92

43.7

41.88

CIS 

20.5

16.59

16.01

23.19

21.75

27.93

- 러시아

12.67

9.88

9.11

19.96

13.16

14.55

자료원: WTA


□ 우크라이나의 주요 무역 교역국 분석


  ㅇ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국

    - 우크라이나의 수출은 CIS, EU 국가 및 터키, 인도, 중국, 이집트에  집중돼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곡물 수출이 많음.


2017년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국

구분

수출규모(US$ 백만)

수출 비중(%)

전 세계

43,300

100

CIS

6,937

16.01

EU(28개국)

17,541

40.54

EFTA(4개국)

248

0.58

기타 주요 수출국

12,067

27.9

  - 터키

2,513

5.81

  - 인도

2,206

5.1

  - 중국

1,994

4.61

  - 이집트

1,831

4.23

  - 미국

832

1.92

  - 이스라엘

604

1.4

  - 이란

552

1.28

  - 알제리

535

1.24

  - 사우디아라비아

517

1.2

  - 이라크

479

1.11

  - 대한민국

308

0.71

  - 일본

218

0.5

자료원: WTA


  ㅇ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입국

    - 우크라이나의 수입은 CIS, EU, EFTA 국가 및 중국에 집중돼 있으며, 이들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85.13%를 차지

    - 단일국으로는 러시아(14.55%), 중국(11.41%), 독일(10.99%), 폴란드(6.89%), 벨라루스(6.48%) 순인 것으로 확인

    -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우크라이나 수입 비중의 0.65%로 중국, 일본보다 낮음.


2017년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입국

구분

수입규모(US$ 백만)

수입 비중(%)

전 세계

49,465

100

CIS

11,471

27.93

EU(28개국)

20,714

41.88

EFTA(4개국)

1,931

3.91

기타 주요 수입국

11,731

23.73

  - 중국

5,644

11.41

  - 미국

2,525

5.11

  - 터키

1,262

2.55

  - 일본

723

1.46

  - 인도

561

1.14

  - 베트남

393

0.8

  - 대한민국

321

0.65

  - 캐나다

299

0.61

자료원: WTA


□ 전망


  ㅇ 우크라이나는 정치적 요인이 실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큰 나라로 2019년 3월 31일에 예정돼 있는 대선과 총선이 향후 우크라이나의 국정 운영 향방을 결정할 중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


  ㅇ 우크라이나는 지난 2003년 오렌지 혁명으로 친 서방정권이 집권한 이후 다시 친 러시아 정권이 들어선 경험을 한 바 있어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ㅇ 우크라이나가 EU 통합을 위해 각종 법제도 개혁을 진행 중에 있으나 그 진행 과정이 더디고, EU에서도 내부 문제 해결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크라이나의 EU 가입은 단시일 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ㅇ 또한 지역적으로 우크라이나 동부는 상대적으로 러시아와의 경제, 정치, 문화적 연결고리가 깊어 단시일 내 러시아와 관계를 단절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ㅇ 따라서 2019년 대선과 총선 이후 우크라이나-러시아의 관계 설정이 향후 우크라이나 정치, 경제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WTA, UNIAN 및 우크라이나 주요 언론 기사,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7/2018년 우크라이나 경제 통상 환경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