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통계로 보는 카타르 무역동향
  • 경제·무역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경
  • 2017-12-18
  • 출처 : KOTRA
Keyword #카타르

-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산업기자재 수입 지속 -

- 에너지 의존적 경제구조 및 취약한 제조업 기반으로 물품 대부분 수입에 의존 -




□  카타르 수출입 동향


  ㅇ 카타르는 천연가스 및 원유, 석유화학 제품 등 에너지 자원의 수출로 매년 높은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

    - 카타르는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아 대부분의 물품 수요를 수입시장에 의존하고 있음. 각종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될 산업기자재, 자동차, 소비재 등의 수입과 함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300억 달러 수준을 웃돌고 있음.

    - 국제적인 저유가의 영향으로 2016년 수출금액은 2012년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음. 무역수지 흑자는 연평균 19% 감소


카타르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f)

CAGR

수입

30,787

31,475

31,145

28,496

32,058

26,693

△2

수출

132,954

133,336

126,702

77,294

57,254

56,259

△13

무역수지

102,167

101,861

95,557

48,798

25,320

29,566

△19

주: f는 전망치

자료원: EIU


□ 국가별 수출입 동향


  ㅇ 2016년 기준 카타르의 주요 수입 국가는 미국, 중국, 독일로 해당 상위 3개 국가가 전체 수입의 약 35%를 차지

    - 인근국인 UAE 및 사우디는 전체 수입의 약 13%를 점유했으며, 일본과 한국은 각각 전체 수입의 6.7%, 2.1%를 점유


  ㅇ 카타르의 전체 수출 중 약 55%가 상위 3개국인 일본, 한국, 인도로 향하고 있음.

    - 주요 수출 품목은 천연가스, 원유 및 석유화학 제품 등으로 구성돼 있음. 

 

2016년 주요 교역국

(단위: 백만 달러, %)



수입




수출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1

미국

4,594

14.3

1

일본

10,909

19.4

2

중국

3,321

10.4

2

한국

8,969

15.7

3

독일

2,971

9.3

3

인도

7,381

12.9

4

UAE

2,913

9.1

4

중국

4,486

7.7

5

일본

2,141

6.7

5

UAE

3,754

6.5

6

사우디

1,385

4.3

6

싱가포르

3,003

5.2

7

영국

1,316

4.1

7

태국

2,165

3.7

8

이탈리아

1,291

4.0

8

영국

1,877

3.3

9

인도

1,198

3.7

9

대만

1,852

3.2

10

프랑스

1,031

3.0

10

이집트

1,114

1.9

12

한국

676

2.1

11

이탈리아

1,104

1.8

 자료원: 카타르 중앙은행(Qatar Central Bank)


  ㅇ 지난 2017년 6월 인근국과의 단교사태* 발생에 따라, GCC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큰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

    - 2017년 1분기 UAE, 사우디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카타르 전체 수입의 9.5%, 4.5%를 차지. 그러나 단교 발생 이후인 3분기에는 두 국가를 합쳐  3% 미만을 점유

    - 단교국이 아닌 오만과 쿠웨이트로부터의 수입은 우회노선 및 신규 거래선 구축에 따른 증가 양상을 보임. 오만 및 쿠웨이트로부터의 3분기 수입은 각각 전분기 대비 123%, 72% 증가

    * 카타르 단교사태: 2017년 6월 카타르가 이란 및 무슬림형제단을 옹호하자, 테러단체를 지원하고 있다는 명목으로 사우디·UAE·바레인 3개 GCC 회원국 및 이집트 등 인근국가에서 카타르에 대해 국경 폐쇄(육상, 영공, 영해를 통한 출입국 및 수출입 차단)를 선언


2017년 카타르의 대GCC 수입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  주요 수입품목


  ㅇ 인구 증가 및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승용차 및 건설용 차량 수입이 전체 수입시장의 7%를 점유

    - 이 외 대부분의 수입품목은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 오일·가스시설 유지보수 등을 위한 산업 기자재로 구성

    - 국영 항공사인 카타르 항공의 지속적인 사세 확장으로 항공기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항공 및 우주선 부품군이 전체 수입의 4%를 차지하고 있음.  


2016년 상위 10개 수입품목

연번

HS Code

품목명

금액(백만 달러)

점유율(%)

1

8703

자동차 및 기타 수송용 차량

2,279

7

2

8411

터보제트, 터보 프로펠러, 가스터빈

1,241

4

3

8803

항공 및 우주선 부품

1,123

4

4

8517

전화선, 전신, 전화 세트 관련 전기장치

913

3

5

7308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

438

2

6

8544

절연 전선,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418

1

7

3004

의약품

404

1

8

8471

컴퓨터 하드웨어

394

1

8

2601

철광과 그 정광(배소한 황화철강을 포함)

376

1

10

8481

파이브, 보일러, 탱크 등에서 사용하는 탭, 코크, 밸브 등

357

1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 한국과의 교역동향


  ㅇ 한국은 전체 LNG의 1/3을 카타르로부터 수입해 오고 있으며, 카타르의 에너지자원 2위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한국은 주로 자동차, 전자제품, 산업기자재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카타르는 가스 및 석유화학 제품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지닌 에너지 자원을 수출하기 때문에 무역수지 적자 폭이 높을 수밖에 없음.

    - 그러나 양국의 경제구조를 살펴보면 한국은 제조업 기반, 카타르는 에너지자원 수출기반의 산업 구조를 보임에 따라 양국 간 부족한 품목을 교역하는 상호 보완적 경제구조를 가졌다고 볼 수 있음.


한-카타르 수출입 동향(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10.

수출

730

852

904

674

536

341

수출증감률

55.6

16.7

6.2

-25.5

-20.5

-22.1

수입

25,505

25,874

25,723

16,475

10,081

9,297

수입증감률

22.9

1.4

-0.6

-36.0

-38.8

16.2

무역수지

-24,775

-25,022

-24,819

-15,801

-9,545

-8,95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ㅇ 한국의 대카타르 주요 수출품목은 승용차, 건설중장비, 변압기, 철강관 등으로 대부분 2022년 월드컵 개최 준비를 위한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현장에 사용될 산업 기자재로 구성  


2017년 한국의 대카타르 주요 수출품목

연번

MTI

품목명

금액(백만 달러)

점유율(%)

1

7411

승용차

46

13

2

7251

건설중장비

28

8

3

8412

변압기

20

6

4

6141

철강관

18

5

5

2140

합성수지

14

4

6

1336

윤활유

11

3

7

8211

컬러TV

11

3

8

6290

기타비철금속제품

9

3

9

6171

주단강

9

3

10

8352

축전지

8

2

기타

167

49

합계

341

100

주: 2017년 10월 누계 기준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  시사점


  ㅇ 저유가에 따른 긴축재정정책에도 불구, 2022년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는 지속될 전망

    - 계획된 월드컵 관련 프로젝트는 90%가량이 발주가 완료돼 공사가 진행 중. 카타르 정부는 2018년 신규 프로젝트 계약 예산으로 전년대비 37% 감소한 약 80억 달러를 편성함에 따라 각종 물품 및 기자재의 수입은 점차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전체 예산의 45.8%를 차지하는 프로젝트 예산은 255억 달러로 전년대비 0.4% 감소했음. 그러나 전년도와 유사한 규모로 편성됨에 따라 자동차 및 전자제품, 소비재, 산업기자재 등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지속 발생할 전망


  ㅇ 카타르 단교사태 장기화로 교역루트의 다변화가 진행 중으로, 단교로 형성된 틈새시장 진출기회 발생     

    - 역내 최대 중개무역국의 역할을 해오던 UAE 및 식료품 교역 1위국인 사우디와의 교역이 차단돼 일부 산업기자재 및 식료품 공급에 일시적인 차질을 빚음.  

  - 그러나 정부 주도의 즉각적인 인근국 신규 항로 구축 및 바이어들의 신규 거래선 물색 등에 힘입어 대부분의 산업기자재 및 물품 등의 수급은 정상화되고 있음.



자료원: EIU, 주요 일간지(Qatar Tribune, Gulf Times, Peninsula), 개발계획통계부(MDPS),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통계로 보는 카타르 무역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