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PMI 지수로 보는 중국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엇갈린 전망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6-09-05
  • 출처 : KOTRA

 

PMI 지수로 보는 중국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엇갈린 전망

- 상반기 제조업 PMI지수 임계점 하회 빈도수 잦아, 전통 제조업 중심의 위축 지속 -

- 비제조업 PMI는 53 이상의 추세 이어가, 서비스산업 안정적 발전이 주 원동력 -

- 하반기 재정 위주의 경제부양책 지속될 예정 -

 

 

 

 

자료원: 중국경영보

 

□ 제조업 PMI(구매자관리지수) 지난 4개월 간 50 이상 유지, 7월 들어 다시 하락

 

 ○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6년 7월 중국 제조업 PMI는 49.9로 6월의 50.1보다 0.1%p 하락했으며, 비제조업 PMI는 53.9으로 6월의 53.7보다 0.2%p 상승함.

 

 ○ 지난 3월, 7개월 만에 50 이상으로 들어서며 회복 조짐을 보였던 중국 제조업 PMI가 5개월 만에 기준선 아래로 떨어지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중국 경기 위축이 지속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최근 1년간 중국 제조업 PMI 변화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수치 기준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작성

 

□ 중국 PMI 지수, 관영 대 민영 간의 격차

 

 ○ 차이신 PMI 기준에 따르면, 7월 제조업 PMI는 50.6으로 정부 발표통계인 49.9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를 나타내며 17개월 만에 50 기준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남.

 

 ○ 중국 PMI 지수는 국가통계국과 중국 물류 및 구매연합회(中國物流□采購聯合會)에서 발표하는 중차이(中采) PMI와 HSBC와 영국시장조사회사 ‘마킷’에서 공동 발표하는 차이신(財新) PMI 기준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음.

 

 ○ 위의 두 기준 간의 격차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표본(조사대상 기업)량의 차이에 있음. 국가통계국 PMI는 제조업체 3000개를 표본으로 하며, 차이신의 경우 500개를 사용함.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표본의 크기가 지표 차이를 가져온 것으로 해석하고 있음.

  - 좀 더 세분화해 살펴보면, 정부 통계 기준의 제조업 신규주문지수는 50.4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제조업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음. 그러나, 차이신 지수의 신규주문지수와 생산자지수는 이와 반대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

 

 ○ 차이신 지수가 사용하는 표본은 중소기업(영세기업 포함)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으며, 이들은 대부분 연해지역에 소재한 기업으로 이루어져 있음. 최근 연해지역 투자가 소폭으로 살아나고 있으며, 중부지역은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음. 따라서 차이신 지수가 중국 전역에 걸친 실물경기를 반영하기에는 표본 범위가 국소적임. 이에 비해 정부 기준의 PMI 지수는 일부 산업에 편중돼 있지 않으며, 생산과잉산업과 연관성이 높은 편이라 제조업 경기 분석에 있어 보다 대표성을 띈다는 평가를 받음.      

 

□ 상반기 제조업 PMI

 

 ○ 2015년 8월 제조업 PMI는 지난 3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2016년 2월 다시 최저치를 갱신하면서 연속 7개월 동안 50 이하에 머물렀으나, 변동폭은 1 이내였음. 이후 3월 소폭 호전(50.2)로 다시 기업가 신뢰지수 기준선 수준(50)으로 회복함.

 

 ○ 3월 이후, 제조업 PMI는 지속적으로 하락해 7월 다시 기준선 아래로 떨어짐. 이로써 현재 전통 제조업의 생산능력이 점차적으로 축소되고, 동시에 시장 수요에 비교적 취약함을 나타냄.

 

 ○ 반면, 최근 국가 통계국의 발표에 따르면 8월 들어 제조업 PMI가 50.4를 나타내며 전월 대비 0.5p 상승함. 이는 22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중국 경제가 여러 변수 속에서도 비교적 완만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내림.

 

 ○ 제조업을 세분화 해보면 2016년 상반기 장비 제조업, 첨단기술산업의 발전이 두드러졌으며, 이 분야의 PMI 지수는 제조업 전체 평균 수준보다 높았음. 이와 대조적으로 전통적인 생산과잉산업 및 에너지 과소비산업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PMI 지수는 제조업 평균보다 확연히 낮은 수준을 보임. 중국 제조업 발전에 있어 첨단기술 산업, 첨단 제조업의 주도적인 역할이 앞으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비제조업 PMI) 제조업 대비 양호, 서비스업의 경제 촉진 효과 더욱 뚜렷해져

 

2016년 1월~7월 제조업과 비제조업 PMI 비교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수치 기준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작성

 

 ○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비제조업 PMI는 53.9로 전월보다 0.2 상승했으며, 연속 2개월 반등하며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비제조업은 제조업 대비 비교적 안정적인 호전세를 보이고 있으며, 증가속도가 다소 빨라짐.

  - 산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 PMI는 52.6로 전월보다 0.4p 상승하며 임계점을 계속 상회했음. 거래량 증가속도도 빨라짐. 그중 철도수송업, 항공수송업, 방송통신 및 위성전송서비스업, 인터넷 및 소프트웨어 IT 서비스업, 화폐금융서비스업, 자본시장서비스업,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등의 PMI는 임계점보다 높았음.

  - 도로운수업, 해운업, 요식업, 보험업, 부동산업, 주민서비스 및 수리산업 등의 PMI는 임계점 이하를 나타냈으며, 기업 거래량은 다소 감소했음.

  - 건축업 경제활동지수는 61.1로, 전월보다 0.9p 하락함. 비록 임계점 50을 훌쩍 넘는 경제 호황기 구간에 위치해 있으나, 확장 속도는 둔화되고 있음.

 

 ○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는 49.9로 전월보다 0.9p 감소했으며, 임계점에 소폭 못 미치는 것으로 볼 때 비제조업 시장의 수요가 다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음. 업종별로 나눠서 살펴보면, 서비스업의 신규주문지수는 48.7로, 전월보다 0.7p 하락했음. 건축업 신규주문지수는 56.6로 전월보다 2.3p나 하락함.

 

 ○ 총체적으로 비제조업의 반등은 서비스업 반등이 주요 동력이 되고 있으며, 관련 기업 활동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평가 및 예측

 

 ○ 제조업 PMI는 2016년 들어 임계점을 하회화면서 두드러진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는 추세이며, 현재 공업생산이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에도 안정적인 제조업 부양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제조업 PMI 추세와는 반대로 비제조업 PMI 지수는 임계점 이상을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비제조업의 발전 전망은 여전히 밝을 것으로 보임. GDP에 대한 서비스업의 공헌도가 이미 제조업보다 높은 56%에 달했으며, 서비스업 거래량 증가속도가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어 서비스업에 따른 경제성장 촉진작용이 확대되고 있음. 따라서 향후 비제조업 PMI 지수의 운용 방향을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음.

 

 ○ 현재 경기부양책은 점차 화폐에서 재정부양으로 전환하고 있음. 재정자금의 운용 효과를 높여 더 많은 사회자본이 실물경제과 기초 인프라 투자 및 민간투자에 투입되도록 기업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조세개혁 정책 등이 이어질 것으로 보임.

 

 

자료원: 국가통계국, 핑안증권(平安券), 중국경영보(中國經營報), 난징일보(南京日報), 궈하이증권(國海券) 분석 자료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PMI 지수로 보는 중국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엇갈린 전망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