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3D 프린터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이지현
  • 2020-10-07
  • 출처 : KOTRA
Keyword #3D 프린터

- 코로나 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제조업체들이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의료 물자와 장비를 생산하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 우리 기업들 공급망 재정비에 3D 프린터를 도입할 경우 효과 등을 빠르게 파악하여 수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 -

 

 

 

상품명  HS code

 

상품명: 3D 프린터

  - 3차원 도면을 3D 프린팅 언어로 변환시킨 이후 기기에 맞는 재료를 사용하여 적층하는 방법을 통해 3차원 물체를 만들어 내는 기계

 

3D 프린터 예시

자료: Ultimaker

 

HS CODE: 8477.90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작업용 기계 부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 부품)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의 미국 3D 프린터 제조 시장 보고서(2019년 12월 발간)에 의하면, 미국의 3D 프린터 시장은 2019년까지 5년 동안 연간 19.5%의 성장률로 성장하여 2019년 기준으로 업계 수익 4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85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미국의 3D 프린터 연도별 시장 규모

자료: IBIS World

 

    - 2014~2019년 3D 프린터 업계 고용기업 수는 35.4% 증가한 3,549개로, 이들 기업의 R&D 지출 규모는 3,810억 달러에 이름

 

ㅇ 시장동향

    - 3D 프린터는 최근 부품 생산이나 컨설팅과 같은 3D 프린팅 서비스 시장의 성장세와 더불어 수요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 미국에서 생산되는 3D 프린터의 주요 수요처는 소비재, 헬스케어, 자동차, 항공·우주 산업으로 이 중 소비재와 헬스케어 산업이 2019년 전체 3D 프린터 제조산업 매출의 40% 가량 차지함

 

3D 프린터 주요 수요처

자료: IBIS World

 

    - 소비재 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있어 제품의 프로토 타입의 형태, 느낌, 기능 등을 밀접하게 에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되는 모델을 생성하는데 3D 프린터를 사용함

    - 헬스케어 기업은 새로운 의료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의료 기기 제조에 3D 프린터 활용하고 있음

    - 대표적으로는 보청기, 정형외과용 뼈, 임플란트, 의족, 수술 준비에 활용되는 3차원 장기와 같이 인체의 형태를 보다 정확하게 복제할 필요가 있는 맞춤형 의료 기기를 제조하는데 빈번하게 활용되는 추세

    - 한편,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안면 보호구, 검체 채취용 면봉, 인공호흡기 부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었는 바, 팬데믹의 영향으로 조업을 중단한 주요 제조업체들이 3D 프린터를 활용해 필요한 의료 물자와 장비를 생산하는 중

    - 운송 제조기업은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더 가볍고 연료 효율이 높으며 안정적인 자동차와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음

    - 이외에도 건축 분야에서도 시공 및 설계에 필수적인 모델을 만드는데 3D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

 

수입동향

 

ㅇ 미국의 3D 프린터 수입 동향

    - 2019년 미국이 전 세계에서 수입한 3D 프린터(를 포함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작업용 기계 부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 부품)는 약 6억 9천만 달러 규모

    - 주요 수입국은 캐나다, 독일, 중국으로, 이들 3개 국가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 3D 프린터 수입 시장의 절반 이상인 약 53%를 차지함

    - 수입 1위 국가인 캐나다로부터의 수입액은 2019년 약 1억 7,231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그 다음 독일로부터는 약 1억 6,355만 달러를, 중국으로부터는 약 6,308만 달러를 수입함

    

3D 프린터를 포함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작업용 기계 부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 부품 수입 동향

(HS Code 8477.9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 한국은 2018년 수입액 2,586만 달러로 수입국 8위를 유지했으나, 2019년 949만 달러로 수입액이 약 36% 감소함

    - 한국은 미국의 3D 프린터를 포함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작업용 기계 부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 부품 수입 시장에서 1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 내에서의 비중은 1.41%로 미미한 수준임

 

□ 경쟁 동향

 

  ㅇ 경쟁 현황 및 주요 경쟁 기업

    - IBIS World에 따르면, 2019년 기준 3D 프린터 제조 업계에서 가장 큰 기업 2곳인 Stratasys Ltd.와 3D Systems Corporation이 업계 매출의 약 11.6%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신규 진입 기업에게 많은 기회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이 중 Stratasys Ltd.사의 3D 프린터는 대표적인 모델인 Dimension 3D, Fortus 3D Production Systems가 2019년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 7.7%를 차지. 해당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2015년 이후 점차 낮아지는 추세로,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시사  

 

연도별 주요 기업 시장 점유율 현황

자료: IBIS World

 

□ 주요 유통채널


  ㅇ 고가의 산업용 3D 프린터는 산업 간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3D 프린터의 주요 수요처인 소비재 기업, 헬스케어 기업, 운송 제조기업에서 점차 3D 프린팅 기술을 도입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3D 프린터 제조업체와 이들 기업간 직거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

 

  ㅇ 가정용 3D 프린터는 아마존 등 대형 온라인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음. 이외에도 Dell, Formlabs, Monoprice, Gearbest, MatterHackers 등이 가정용 3D 프린터를 판매하고 있는 중

 

□ 관세율 및 관련제도

 

  ㅇ 관세율

      -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8477.90에 해당하는 품목은 3.1%의 기본세율이 적용되며, 원산지가 한국인 제품의 경우 한-미 FTA에 의거해 무관세가 적용됨.

 

    ㅇ 미국은 국가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 전략계획에 따른 3D 프린팅 부문 제조혁신센터(America Makes_NAMII) 설립을 통해 3D 프린팅 관련 표준화, 재료, 장비 연구 및 산업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시사점

 

     ㅇ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큰 변화 예상

    - 현재 3D 프린팅 기술은 개인 보호 장비(PPE)에서 환자 격리를 위한 비상 거주지에 이르기까지, 코로나 19가 불러온 문제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있음

 

코로나 19에 따라 새롭게 개발된 3D 프린팅 응용 예시

자료: Nature Reviews

 

    - 즉,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인한 제조 및 운송 중단으로 물류 문제가 발생하고 공급망이 제한되 필수 상품의 품귀 현상이 벌어지면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양산이 가능한 3D 프린터가 다시 한번 주목을 받으며 상기와 같은 제품 제조에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기업이 많아지게 됨

    - 3D 프린터 H사 대표는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 19로 타격을 입은 제조 기업들이 신속하게 온라인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덕택에 주문형으로 주요 부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면서 공급망을 회복했다”고 전함

    - 또한 KOTRA 뉴욕무역관에 따르면중국을 포함해 해외에 공급망을 둔 미국 기업들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공급망 시스템을 재점검할 것으로 전망되어 3D 프린터클라우드, AI 등 기술을 활용한 첨단제조의 광범위한 도입 시기도 앞당겨질 가능성이 있음. 이미 많은 제조기업이 신속하고 유연한 공급, 현지 생산 추진 등을 위해 3D 프린팅 기업과 협업하고 제조에 이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ㅇ 업계 참고사항

    - 우리 기업은 주요 글로벌 제조기업들의 3D 프린팅 기술 도입 추세를 살펴보고 공급망 재정비에 3D 프린터를 도입할 경우 효과 등을 빠르게 파악하여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 있음

    - 팬데믹이라는 시기적 특수성과 그에 따라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부합하는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한 제품을 갖고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기회를 모색해 볼 수도 있음

 

자료: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Nature Reviews,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3D 프린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