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철강제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Thu Thu Aung
  • 2019-10-14
  • 출처 : KOTRA

- 인프라 및 대형 건설 프로젝트 확대로 철강제품 수요 증가 전망 -

- 2025년까지 철강 수요 500만 톤까지 증가 예상. 현지생산은 미미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 Flat-Rolled Iron Or Nonalloy Steel Products, Not Corrugated, 600 Mm Or More Wide, Plated Or Coated With Zinc Other Than Electrolytically

 

   HS Code : 7210.49

 

시장동향 및 규모

 

  건설시장 동향

    - 미얀마 건설시장은 2010년 이후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2016년부터 최근 3년간 성장세가 꺾이고 있음.

    - 성장세 둔화는 2016년 정권 교체 이후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철회된 것에 기인함.

    - 최근 미얀마 정부가 중단된 프로젝트를 재개하거나, 신규 프로젝트를 발주하면서 다시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




자료 : South East Asia Iron and Steel Institute (SEAISI)

 

  2025년까지 철강 수요 500만 톤까지 증가

    - 국제철강협회(World Steel Association)의 발표에 따르면 미얀마의 연간 철강 소비량은 매년 평균 8%씩 증가하여 2020년에는 300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

    - 2025년에는 미얀마 철강 수요가 500만 톤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

    - 미얀마는 제조업이 거의 발달하지 않아 국내 철강 생산량과 잠재 수요간의 격차가 매우 큼.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향후 미얀마 철강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수입 현황

 

   수입 동향 및 주요 수입국

    - 2018년 미얀마 철강 생산량은 약 20만 톤을 기록했으며, 국내 생산량의 20배가 넘는 240만 톤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음.

    - 수입된 철강 240만 톤 중 60%는 봉형강(Long Product), 30%는 판재(Flat Product)이며, 나머지 10%는 목재대체품(Wood Substitute Product).

    - 미얀마 산업부 산하 제1중공업(No.1 Heavy Industrial Enterprise)부의 차장 Mr. Thein Zaw에 따르면 현지 생산 철강제품은 현지 수요의 10%에도 못 미치므로, 사용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밝힘.

    - 수입 철강제품의 약 30%는 중국, 태국, 인도 등의 국경을 통해 불법 밀수로 유입된다고 함.

 

  중국산이 대세인 미얀마 철강 시장

    - 미얀마의 철강제품 수입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16318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대비 약 23%가 성장함.

    - Global Trade Atlas 수입 통계에 따르면 주요 철강 수입국은 중국이며 2018년 기준 수입액은 약 15799달러를 기록, 전체의 96.8%를 차지

    - 중국으로부터 수입량은 2016년부터 전년대비 평균 20%가량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21.56%가 증가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HS Code 7210.49)

(단위 : 천 달러, %)

수입국

2016

2017

2018

증감률 (18‘/17’)

합계

105,689

132,713

163,183

22.96

중국

90,879

129,978

157,999

21.56

태국

1,276

1,098

2,216

101.78

뉴질랜드

0

0

749

-

대만

742

337

743

120.46

대한민국

55

0

728

-

인도

11,968

867

376

-56.6

일본

272

214

249

16.12

호주

0

0

64

-

싱가포르

497

87

59

-31.45

러시아

0

107

0

-1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대표적인 철강제품으로는 형강(Rebar), 아연도금강(Galvanized & Color-coated Steel Sheet), 열연강판(Hot-rolled coil and plate) 등이 있음.

    - 일반적인 철근(Deformed Bar, Wire Rod) 등은 미얀마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으나 철강선(Mild Steel Wire Rod)은 아직 현지에서 생산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제품의 경우 한국 동부제철, 현대, 포스코 등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저가 제품은 중국, 태국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최근 5년간 한국 철강제품 수입규모

(단위 : 천 달러)

자료 : 한국무역협회 (KITA)

 

미얀마 국내 경쟁동향

 

  국내 경쟁동향

    - 미얀마는 철근을 제외한 대부분의 철강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음.

    - 미얀마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있는 대표기업으로 Myanmar Economic Cooperation(MEC)사가 있으며 동 업체에서 소유한 5개의 공장(Kyauk Swae Kyoe, Myaungdagar, Ywama가 가동 중

    - 그 외에 Yangon Crown Steel, Mindama Steel Structure 등의 기업이 존재

    - 대형 프로젝트, 고층빌딩 등에는 외국 철강 제품을 주로 사용하며, 철근의 경우 국내에 생산된 MEC 철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함.

 

   유통구조

    - 미얀마 대형 건설사의 경우, 대부분 건축자재 수출입을 위한 무역회사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음.

    - 중소 건설사 또는 개인사업자의 경우, 건축자재 도소매점을 통해 자재를 구입하며 대부분 건설 수요가 많은 양곤, 만달레이 지역에 밀집되어 있음.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철강제품 수입 관세율 및 상업세율

 

HS Code에 따른 관세율 및 상업세율 현황

(단위: %)

HS Code

HS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7210.11

Flat-rolled products of iron or non-alloy steel,

of a width of 600 mm or more, clad, plated or coated;

- - Of a thickness of 0.5 mm or more:

Kg

3

5

7210.12

- - Of a thickness of less than 0.5 mm:

Kg

3

5

7210.20

- Plated or coated with lead, including terne-plate:

Kg

3

5

7210.30

- Electrolytically plated or coated with zinc:

Kg

3

5

7210.41

- - Corrugated:

Kg

3

5

7210.49

- - Other:

Kg

3

5

7210.50

- Plated or coated with chromium oxides or with chromium and chromium oxides

Kg

3

5

7210.61

- - Plated or coated with aluminium-zinc alloys:

Kg

3

5

7210.69

- - Other:

Kg

3

5

7210.70

- Painted, varnished or coated with plastics:

Kg

3

5

7210.90

- Other:

Kg

3

5

자료 : 관세청

 

  수입규제 및 인증

    - 미얀마에는 철강제품에 대한 별도의 품질관리 규제가 없음. 단 미얀마 산업부와 미얀마 철강협회 (Myanmar Iron and Steel Association)는 내년도부터 서로 협의하여 철강제품 표준을 만들 계획이 있음.

    - 수입업체와 현지 제조업체가 모두 준수해야 하는 동일 표준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인터뷰 및 시사점

 

  미얀마 건설협회(MCEF) U Myo Myint(Secretary General) 인터뷰

    - 정부는 현지 철강 생산량 및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

    -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지 철강 생산력 향상을 위해 철강표준화소위원회 (the Iron and Steel Standardization Sub-committee)를 구성한 것으로 알려짐.

    - 미얀마 국내 철강 제조업체들이 공정에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 매우 낙후되어 있으며, 제품의 품질 또한 국제 수준을 따라가지 못해 고층건물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대부분임.

    - 미얀마의 철강 수요처는 주로 건설 분야임. 정부가 경제발전을 위해 단기간 내 인프라와 건설 프로젝트를 추가로 추진할 계획임에 따라 철강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

    - 현재 국영 철강공장은 2곳이 있으며 Myingyan 지역 및 Taunggyi 지역에서 위치하나 현재는 생산이 중단된 상태임. 해외 협력 및 투자 지원이 가능한 기업을 초대하고 있는 상황

    - 특히 Myingyan 지역에 태국 Millcon Steel사 및 주요 한국기업 1개사가 투자를 검토 중이라고 밝힘.

 

   진출 방안

    - 철강제품은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품목이 아니기 때문에 TV, 라디오, 잡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광고의 필요성이 크지 않음.

    - 철강제품 딜러에 따르면 이들은 양곤 디렉토리, 만달레이 디렉토리와 같은 연 1회 발간되는 종합품목 디렉토리(한국의 전화번호부와 유사)에 광고를 게재하며, 볼보, 히타치 딜러는 양곤시내 주요도로에 입간판을 설치, 운영하고 있음.

    - 아울러 수요층이 국한되어 있는 바, 직접방문 또는 다이렉트 메일링 서비스를 이용해서 제품을 홍보하기도 함.

    - 미얀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건설사 및 건축자재 유통업체를 활용해 전국으로 유통하거나 정부 공사 입찰을 통해 진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 미얀마 철강제품 수요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정부 부문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관련부처 고위공무원과 친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마케팅 수단으로 알려져 있음.

    - 미얀마의 대형 건설 회사들은 일반적으로 건설자재 유통기업을 동시에 소유하고 있으므로, 대형건설사에 속해있는 유통기업을 직접 접촉, 판매하는 전략이 필요

 

 

자료 :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관세청, 한국무역협회(KITA), 현지 언론종합,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철강제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