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 스낵’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우은정
  • 2019-07-03
  • 출처 : KOTRA

- 한국 김 스낵, 건강한 간식으로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관심 지속돼 -

- 다양한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맛, 질감, 재료 등으로 꾸준한 시장 접근 필요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김 스낵

    - 미국에서 김 스낵(Snack)이란 한국인들이 밥과 함께 먹는 반찬용 김을 포함해 김을 주재료로 사용한 다양한 풍미를 낸 김 간식거리를 의미

 

  ◦ HS Code: 1212.21

    - HS Code 1212.21은 식용의 해초류와 그 밖의 조류(Seaweeds and other algae, fit for human consumption)로 정의됨.

 

□ 시장 규모 및 시장동향

 

  ◦ 시장 규모

    -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Freedonia의 미국 대체 성분 스낵* 시장 보고서(Alternative-Ingredient Snacks: United States, 2017년 발간)에 의하면 김 스낵을 포함한 미국 대체 성분 스낵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약 1529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음. Freedonia 이 시장이 2019년까지 연평균 6.2% 성장하며 약 172400만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주*: 대체 성분 스낵은 밀가루, 유제품, 견과류, 초콜릿 칩 등의 전통적인 스낵 성분이 아닌 잡곡류, 퀴노아(Quinoa), 수수, 렌틸콩(Lentil), 병아리콩(Chickpea), 케일(Kale), 김·해조류, 카사바(Cassava) 등과 같이 기존의 성분들을 대체할 수 있는 성분을 주재료로 만든 스낵을 의미

    - Freedonia에서는 대체 성분 스낵 시장을 성분에 따라 크게 곡류(Grains), 콩류(Pulses), 식물·채소류(Vegetables)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중 식물·채소류 분야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함. 2016년 기준, 식물·채소류 분야에서는 김 스낵이 해당되는 김·해조류(Seaweed)가 전년대비 16.9%라는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시장동향

    - 최근 식물 기반(Plant-based) 식품이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먹거리를 선택할 때에도 식물 기반 식품이나 유기농 식품 등 건강에 더 유익한 옵션을 선호하는 경향이 미국의 대표적인 소비 계층인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이미 수 년 전부터 대표적인 식물성 식품인 김을 ‘반찬’이 아닌 ‘간식거리’로 먹는 새로운 스낵 트렌드가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김이 전통적인 스낵보다 더 건강한 간식이라는 인식이 이러한 트렌드의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임.

    - Freedonia에서도 기존의 스낵보다 더 건강한 대체품을 찾는 스낵 소비자들을 이 시장의 가장 큰 성장동력으로 꼽고 있음. Freedonia에 따르면 김 스낵과 같이 더 건강한 대체 스낵만을 먹는 미국 성인 비중이 2006년에는 전체의 24%에 그쳤으나 2016년에는 30%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음.

    - 특히 ‘김 스낵’의 경우 짭짤한 맛뿐만 아니라 달콤한 맛, 매운맛, 바비큐 맛, 라임(Lime) , 양파 맛 등 미국 소비자들이 주목할 만한 다양한 풍미와 바삭하고 독특한 식감 등으로 그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수입동향

 

  ◦ 미국 김 수입동향

    - 김 스낵을 포함한 미국의 김류(식용 해초류) 수입액은 2018년을 기준으로 전년대비 8.47% 하락한 약 4919만 달러를 기록함.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 전체 김 수입액은 소폭 증가했으나 2018년에는 소폭 하락한 것으로 분석됨.

    - 최대 수입국은 약 1663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한 중국임. 중국산 제품은 2018년 미국 전체 김 수입 시장의 33.81%를 차지함.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17년 잠시 주춤해 2위 수입국으로 하락했으나 2018년 다시 회복세를 보이며 최대 수입국의 지위를 되찾음.

    - 3위의 수입국은 약 605만 달러의 수입 규모를 기록한 일본이며, 489만 달러 규모의 필리핀이 그 다음인 4위를 기록함. 일본과 필리핀은 미국 김 수입 시장 내에서 각각 12.29% 9.95%의 비중을 차지함.

 

최근 3년간 미국 김 수입동향(HS Code 1212.21 기준)

(단위: US$ 백만, %)

 

자료: Global Trade Atlas(2019.06.26.)

 

  ◦ 대한국 수입 규모 및 동향

    - 2018년 미국의 한국산 김 수입액은 약 11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수입국 중 2위 자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2017년에는 한국산 김 수입액이 중국산 수입액을 넘어서 전체 수입 대상 국가들 중 약 30%의 비중을 보이며 1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나 2018년에는 수입 시장 내 비중 22.35%를 기록하며 다시 2위로 하락함.

    - 2018년에는 한국산 제품 수입액이 전년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3위 수입국과의 수입액 차이는 꾸준히 유사한 수준으로 한국은 2위 수입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유통채널 및 경쟁 동향

 

  ◦ 오프라인 유통채널

    - 김 스낵의 오프라인 유통의 경우 기본적으로 Costco, Walmart 등의 종합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음.

    - 또한 대표적인 친환경 및 유기농 식료품 매장인 Whole Foods Market Trader Joes, Sprouts Farmers Market 등에서도 활발하게 유통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한인마트의 진열대에서도 꾸준히 찾아볼 수 있음.

 

  ◦ 온라인 유통채널

    - 미국에서 김 스낵은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의 선두주자 Amazon을 비롯해 Walmart Target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유통되고 있음.

    - 한편 김 스낵은 천연 및 유기농 제품을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회원제 온라인 판매점인 Thrive Market에서도 큰 인기를 얻으며 판매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각 사 웹사이트 및 다양한 기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분석됨.

 

  ◦ 경쟁 현황

    - 현재 미국 식품 시장 내에서 판매 중인 한국 김 스낵 브랜드가 다수 존재하며 한국에 본사를 둔 대기업에서부터 한국 식품의 미국 유통사, 현지에서 운영하는 한인 기업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음. 미국 김 스낵 시장 내의 주요 한국계 혹은 한인 브랜드로는 CJ그룹의 Annie Chuns, Jayone, gimMe Snacks, SeaSnax, C-Weed Snack 등을 들 수 있음.

    - Prime 멤버를 위한 Amazon의 자사 브랜드인 ‘Wickedly Prime’에서 한국의 김구이 방식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유기농 김 스낵이나 역시 Thrive Market의 이름을 걸고 출시된 유기농 김 스낵 등 미국 국적의 자체 브랜드들 또한 점차 경쟁에 합류 중인 것으로 분석됨.

 

Amazon의 자사 브랜드 ‘Wickedly Prime’의 김 스낵과 Thrive Market의 김 스낵

EMB00001b48bf7d  EMB00001b48bf7e

자료: Amazon, Thrive Market

 

  ◦ 인기있는 주요 김 스낵 브랜드 및 제품

    - 온라인 리테일의 대표주자 Amazon 천연·유기농 제품의 온라인 판매로 주목받고 있는 Thrive Market에서 공통적으로 평점이 높고 리뷰가 좋은 주요 김 스낵 브랜드 및 제품들을 아래와 같이 꼽을 수 있음.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주요 제품 및 이미지

EMB00001b48bf7f

gimMe

Snacks

EMB00001b48bf80     EMB00001b48bf81

Seaweed Thins & Roasted Seaweed Snacks

EMB00001b48bf82

SeaSnax

EMB00001b48bf83  EMB00001b48bf84     EMB00001b48bf85

SeaSnax Sheets & Chomperz

EMB00001b48bf86

Jayone

EMB00001b48bf87     EMB00001b48bf88     EMB00001b48bf89

Roasted Seaweed Snack & Seaweed Tempura Snack

EMB00001b48bf8a

Annie Chuns

(CJ)

EMB00001b48bf8b     EMB00001b48bf8c     EMB00001b48bf8d

Roasted Seaweed Snacks & Seaweed Crisps

자료: Amazon, Thrive Market, 각 사 웹사이트

 

□ 관세율 및 수입규제

 

  ◦ 관세율

    -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1212.21의 경우 무관세 기본 세율이 적용됨.

 

  ◦ 수입 및 통관 제도

    - 한미 FTA 상의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등의 필요서류를 갖춰야 하며, 세관에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

    - 원산지 증명서,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간 보관해야 함.

    - 미국 시장에 한국산 김을 수출하려면 미국 식약청(FDA)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위해요소 중점관리인증) GFSI(Global Food Safety Initiative; 국제식품안전협회)의 승인이 있어야 함. GFSI는 현존하는 식품규격에 대한 식품안전기준 수립·강화 및 발전을 유도하고자 2000년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며 GFSI에서 인정하는 국제규격은 FSSC 22000, SQF 2000, BRC IOP.

    - 또한 김 스낵의 라벨링에 ‘유기농’이라는 문구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국 농무부(USDA)의 유기농 규정을 준수해 인증을 받아야 하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관련 뉴스(차근차근 짚어보는 미국 농무부 ‘유기농’ 규정)에서 확인 가능함.

    - 한편 유기농 제품을 취급하는 미국 내 유통업체에 한국산 김 스낵을 선보일 때 Kosher 인증* Halal 인증**이 있다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겠음.

    주*: ‘유대교 식품 적법인증’을 뜻하며 Kosher 슈퍼바이저가 음식 재료, 생산시설, 조리공정 등 하나의 제품이 완성될 때 필요한 모든 것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친 뒤 발급 가능한 인증

    주**: ‘이슬람권 율법에 따른 성분 및 제조과정 인증’으로서 이슬람권 율법에 따라 음식, 음료뿐만 아니라 이러한 식음료를 구성하는 기초 원료의 성분부터 생산, 가공, 보관에 이르는 모든 것을 검사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관리했음을 심사하는 인증

    -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식품에는 제품명, 영양분석, 성분, 제조유통업체, 중량 등을 포함한 적합한 라벨링이 필수이며 제품의 실제 내용물과 라벨이 다를 경우 담당기관인 FDA 테스트를 거쳐 부정표시로 분류돼 향후 반입 자체가 거절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알레르기 유발이 가능한 성분을 함유한 식품의 경우 식품 라벨에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품 원료를 함유하고 있음’을 분명히 표기해야 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함.

    - 특히 캘리포니아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에 ‘Proposition 65’에서 지정하는 유해 독성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돼 있거나 발생하는지 사전에 검토해 독성물질이 노출될 경우 OEHHA의 규정에 따라 경고문을 부착해야 함.

 

□ 시사점

 

  ◦ 미국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 예상되는 김 스낵

    -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스낵 또한 기존의 대표적인 고열량 성분인 밀가루, 버터, 설탕 등의 재료보다 훨씬 더 건강한 재료인 김으로 만든 스낵이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어 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전망됨.

    - 다양한 종류와 식감의 김과 김 스낵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계 김 스낵 C 브랜드의 관계자는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김 스낵과 김을 원료로 한 해초 샐러드, 김자반 등 다양한 김 식품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호응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고 전함. 해당 기업의 김과 김 스낵 제품은 미국의 대표적인 회원제 대형마트인 Costco Wholesale에도 6~7년째 납품되며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올해 초에는 미국 최대 천연 상품 관련 행사인 천연상품박람회(Natural Food Expo)에도 참가해 현장 참관객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음.

    - Yahoo Finance에 따르면 김은 기본적으로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과 같은 건강한 영양 성분이 함유돼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라는 인상을 주며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이 전통적으로 김을 활용한 식품이 풍부한 지역뿐만 아니라 이제는 식품으로서의 김이 생소했던 서양 국가들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식품으로서의 김을 가장 쉽고 간편하게 맛볼 수 있는 김 스낵은 앞으로도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수요를 꾸준히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관련 업계 기업들, 꾸준하고 적극적인 시장 접근 필요할 것

    - 대표적인 김 스낵 브랜드인 gimMe Snacks Annie Chun 대표는 미국 식품 전문 미디어인 Food Navigator USA와의 인터뷰에서 “김 스낵에 대한 관심은 최근 몇 년째 계속되고 있으나 주류(Mainstream)에 편입하려면 갈 길이 멀다”고 밝힘.

    - Chun 대표는 gimMe Snacks의 김 스낵은 미국 농무부(USDA)의 유기농 인증이 없었다면 미국 식품 시장에서 지금과 같이 확산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미국 식품 시장에의 진출에 필수가 되는 각종 인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킴.

    - 위에서 언급됐듯이 김 스낵은 현재 미국 소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으나 아직 김 스낵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도 많은 만큼 주류 식품 시장에 완전히 편승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음. 따라서 김 스낵을 미국 식품 시장의 주류로 성장시키기 위해 관련 한국 기업들은 다양한 인구로 구성된 미국인들의 입맛과 눈길을 더욱 사로잡기 위해 지속적인 맛과 질감, 재료 등의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임.

    - 또한 USDA의 유기농 인증뿐만 아니라 Non-GMO 인증, 글루텐 프리(Gluten-Free), 비건(Vegan), 키토(Keto), 팔레오(Paleo) 등 건강과 식단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나 인증 등을 적극적으로 취득해 미국 시장에 꾸준히 접근할 필요가 있겠음.

 

 

자료: Statista, Freedonia, Global Trade Atlas,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관세법령정보포털, Amazon, Thrive Market, Food Navigator USA, Phys.org, Yahoo Finance, Yemat Foods,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 스낵’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