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하세가와요시유키
  • 2018-10-02
  • 출처 : KOTRA

- 일본 제조업 기업들의 수요 다대, 수입 증가 필연적 -
- 한국은 명실상부 일본의 PP제품 1위 수입국 -
- 범용 제품 뿐 만 아니라 자동차 경량화 등 대응 가능 업그레이드 제품은 가능성 충분 -




□ 폴리프로필렌(HS 390210) 개요 및 시장 규모, 동향 및 선정사유


  ㅇ 폴리프로필렌은 경량, 고강도, 투명, 전기 절연성 등이 뛰어나 많은 제품에 사용되는 범용 수지
    - 폴리프로필렌은 나프타를 분해하여 얻은 프로필렌에서 만들어진 소재로 자동차 범퍼 및 포장 필름을 비롯해 일용잡화, 물류 자재 등 용도는 폭넓음.
    - 2017년 일본 국내 생산량은 약 251만 톤으로 전체 수지 중 2번째로 많음. 가장 많은 폴리에틸렌(약칭은 PE)과 함께 ‘폴리올레핀’ 이라 불리며, 이 2개 제품이 전체 수지 생산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
    -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입자 상태에서 가공업자에게 출하되어, 열로 녹여 성형품이나 필름으로 완성됨.


  ㅇ 일본 국내 생산 능력의 대폭 증가가 힘든 와중, 국내 수요가 확대되어 수입 급증
    - 폴리프로필렌은 2000년대 들어 중국이 증산을 계속해 엔고 때마다 저렴한 수입품과의 가격 경쟁을 벌였음.
    -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기업도 증가해 국내 범용 수지 수요도 감소, 폴리프로필렌 생산량은 지난 10년 간 20% 감소. 일본 화학 기업은 수익 확보를 위한 범용 수지 시설을 잇 따라 축소, ‘미쓰이 화학’은 2013년까지 폴리프로필렌 생산 능력을 2010년 대비 약 10% 삭감함.
    - 그러나, 국내 폴리프로필렌 수요는 2011년 이후 생산량과 같은 규모로 꾸준히 증가해 2015년에는 250만 톤을 초과. 공장 가동률은 90% 이상이나 식품 포장 및 트레이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품귀현상이 확산. 이로 인해 폴리프로필렌 수입이 최근 급증해 2017년 가을 이후, 전년의 2~3배로 유입 중.


  ㅇ 수입품은 국내 업체 제품에 비해 약 20% 비싸지만,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 삭감으로 인한 제품 부족으로 수입품에 의존해야 할 수 밖에 없어 가격 인상이 전망 됨.
    - 실제로, 주원료 나프타 가격 상승으로 ‘프라임 폴리머’, ‘스미토모 화학’, ‘산 아로마’의 대기업 3개사(국내 공급력의 60% 차지)가 2017년 11월부터 잇따라 폴리프로필렌 가격 인상을 표명
    - 중국의 증산 속도도 완화되어, 일본 화학 기업의 실적은 호조 상태. 2017년 1분기에는 대기업 5개사 중 3개사가 순이익 기준, 사상 최고치 경신. 그러나 중국과 미국에서 건설 중인 화학제품 공장이 2018년경부터 본격 가동되어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며 공장 증설로 인해 2018년 이후에는 값싼 수입품이 늘어날 전망


폴리프로필렌의 생산, 출하, 재고 추이


생산

출하

재고

국내

수출

합계

(천톤)

전기대비(%)

(천톤)

전년대비(%)

(천톤)

전년대비(%)

(천톤)

전년대비(%)

(천톤)

전년대비(%)

2017

2,515

1.7

2,441

2.4

128

-14.6

2,569

1.4

530

-1.5

2016

2,473

-1.4

2,384

2

150

-23.7

2,534

0

538

-6.7

2015

2,509

3.9

2,337

1.7

197

17.8

2,534

2.8

577

-4.9

2012

2,414

-21.9

2,298

-18.7

167

-54.4

2,465

-22.8

607

9.7

2007

3,092

-

2,827

-

367

-

3,194

-

553

-

※2015년의 전년 대비는 2012년부터의 증가율, 2012년의 전년 대비는 2007년부터의 증가율

자료원: JPCA 통계에 기반해 KOTRA 도쿄 무역관 작성


□ 최근 3년간 한국 등 상위 10개국으로부터의 수입동향


  ㅇ 일본의 폴리프로필렌(HS390210) 제품 국가별 수입을 보면 한국, 사우디, 태국 3개국이 약 70%를 차지
    - 동 제품의 수입액은 최근 전년 대비 마이너스나 변동이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었지만, 2017년에는 전년 대비 43% 증가, 2018년은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해 약 3배까지 수입 금액이 급증
    - 국가별로 보면 한국은 선두에 머무르며 점유율은 32%. 사우디가 2위로 점유율 21%, 태국이 3위로 점유율 13%를 기록. 2017년 대만에서 수입이 급증했으나 시장 점유율은 상위 3위에 비해 아직 부족


  ㅇ 한국 제품은 수입액 1위에 점유율도 안정되어있으므로 타국의 점유율을 빼앗아 수입을 늘리는 것이 아닌, 향후 일본 내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형국
    - 실제로 일본경제신문(2018년 3월 8일보)에 따르면 한국 석유 화학 업체 ‘효성’에는 연 초 이후 일본 자동차 부재나 생활 잡화, 식품 포장 필름 제조업체로부터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함.


폴리프로필렌(HS Code 390210) 일본 수입량 추이

순위

국가

수입 (백만 달러)

점유율(%)

증감율(%)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7년

2018년

상반기

상반기

-

전 세계

92.424

92.511

132.923

139.132

100

0.1

43.7

208.6

1

한국

33.581

30.661

43.306

52.182

32.6

-8.7

41.2

210

2

사우디 아라비아

13.49

18.999

27.915

25.507

21

40.8

46.9

177.9

3

태국

18.047

15.045

17.345

20.011

13

-16.6

15.3

228.6

4

대만

0.55

0.512

9.771

7.375

7.4

-6.9

1,808.60

2,046.00

5

중국

4.896

4.777

8.596

9.189

6.5

-2.4

80

209.4

6

싱가포르

0.736

1.587

7.43

5.487

5.6

115.5

368.1

70.9

7

미국

5.108

4.111

6.233

6.505

4.7

-19.5

51.6

173

8

오스트리아

3.644

4.254

5.828

3.151

4.4

16.7

37

59.9

9

말레이시아

1.604

1.994

1.51

1.233

1.1

24.3

-24.2

393.2

10

독일

1.796

1.493

1.33

0.793

1

-16.9

-10.9

13.8

※2018년 증가율은 2017년 1월~6월까지의 수입액과 비교

자료원: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HS코드 392010


□ 수입 규제, 관세율 및 필수 인증 등


  ㅇ (수입 규제) 특별히 없음.
    - 폴리프로필렌 수입 통관 방법
      · 기존 화학물질(폴리프로필렌 해당) 수입 시: 화학물질 심사 및 제조 규제에 관한 법률(화심법) 부칙 제 2조 4항에 규정에 따라 기존화학물질 명부에 등재된 화학 물질은 기존화학 물질에 관한 관보고시 분류정리 번호를 수입 신고서 또는 송장에 기입할 것


  ㅇ (관세율) 기본 관세율 25.60엔/kg, WTO 협정 관세율(한국적용) 6.5%


□ 주요 경쟁기업,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1993년 14개에 달했던 일본 폴리프로필렌 제조업체는 구조조정 후 2005년에는 4개로 통합. 2005년에 ‘미쓰이 화학’과 ‘이데미쓰고산’의 폴리프로필렌 사업 부문을 통합해 ‘(주)프라임 폴리머’가 설립. ‘일본폴리프로(주)’(미쓰비시 화학 자회사), ‘스미토모 화학’, ‘산 아로마’의 4사 체제가 됨. (덕산 폴리프로필렌은 (주)프라임 폴리머에 포함)
    - 각사의 폴리프로필렌 생산 능력은 프라임 폴리머가 117.3만 톤으로 1위, 일본폴리프로 87.1만 톤, 산 아로마 40.8만 톤, 스미토모 화학 30.7만 톤 순. (2017년 12 월말 기준)
    - 국내 최대 폴리프로필렌 대기업인 (주)프라임 폴리머(미쓰이 화학 자회사)는 제조 거점이 있는 치바 콤비나트에 약 150억 엔을 투자하여, 폴리프로필렌 신 설비를 설치. 기존의 노후화 된 생산 설비를 갱신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비용 절감에 나섬. 노후 설비의 생산을 줄임으로써 생산 규모는 현상을 유지
    - 일본폴리프로(미쓰비시 화학 자회사)는 신 폴리프로필렌 공장을 고이 공장에 건설하는 한편, 2018년 이후에 추가로 이전 시설 2곳을 중지해 전체 능력은 연 87만 톤을 유지


폴리프로필렌 제조 일본 기업의 생산능력추이

자료원: 경제산업성 자료에 기반해 KOTRA 도쿄 무역관 작성


  ㅇ 폴리프로필렌 제품을 대규모 생산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들은 직접 일본 대기업과 거래, 상사를 통한 거래는 많지 않은 상황. 자동차 등 특정 분야 PP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중견·중소기업은 해당 분야 일본 상사, 벤더사를 통해 납품하는 경우가 더욱 많은 것으로 보임.


□ 일본시장 진입 시 유의점 및 시사점


  ㅇ 최근 국내 기업 40개~50개사가 대일본 폴리프로필렌 수출을 추진 중인 상황으로, 범용 제품 생산 능력을 지닌 국내 대형 화학기업들 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및 차량 부품, 포장재, 섬유소재용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중견·중소기업들의 약진도 두드러짐. 
    - PP나노소재 등 기존 제품 대비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진 제품이라면, 일본 시장에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음. 자동차 경량화 등 관련 수요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임.


  ㅇ 일본 M상사 담당자는 “폴리프로필렌 제품의 경우, 일본 내 수급이 상당히 타이트한 상황이기에, 한국산 제품 수입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본다”고 언급, 국내 관련 기업들은 시장 동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한편 수출 기업은 화심법(유해 화학 물질 관리법)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연간 1톤 이상 제조·수입하는 사업자는 기존 화학 물질을 포함한 모든 화학 물질에 대해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매년 그 수량 등을 신고할 의무가 있음. (화학 물질 심사 및 제조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 화심법)
    - 폴리프로필렌은 범용 수지 물질이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물질은 아니지만, 유해 화학 물질 관리법을 항상 의식하고 준수해야 함.


  ㅇ 일본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관련 기업들은 일본 석유화학공업협회(JPCA) 정보도 수시로 참고할 수 있을 것임.
    * 석유화학공업협회(JPCA) 홈페이지: https://www.jpca.or.jp/index.html



자료원: 후지 경제, 후생노동성, 도쿄도, JETRO 등 자료에 기반해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