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건강보조식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충칭무역관
  • 2018-08-24
  • 출처 : KOTRA

- 소비자 구매력 향상, 고령화 등에 따라 발전 전망 밝음 –

- 건강보조식품 산업 발전 지지를 위해 관련 정책 끊임없이 발표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건강보조식품(HS Code: 2106.90)


건강보조식품 주요 분류  

주요 분류

대표 제품

대표 회사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

비타민피쉬 오일엽산

CENTRUM(善存)

BY-HEALTH(汤臣倍健)

스포츠 영양 제품

미오글로빈、크레아틴

Muscletech(肌肉科技)

체중관리 제품

스피롤리아, 효소

HERBALIFE(康宝莱)XIUZHENG(修正)

허브/전통 제품

리코펜, 포도씨, 맬라토닌

DEEJ(东阿阿胶)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 시장규모 및 동향 


  ○ 거대한 미래 성장시장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에 따르면 중국 건강보조식품 시장규모는 2014년에 2000억 위안을 돌파하며 2017년에 2,92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약 10.7% 증가함.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  


   - 2017년 기준, 중국은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2억4000명에 달하며 총인구의 17.3% 정도 차지함. 현재 중국은 세계에서 노인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되어 건강보조식품에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음.

   - 국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1인 소득 및 건강보조식품 소비액도 증가하고 있음.

   - 건강보조식품은 선택 소비재에서 필수품으로 인식이 바뀌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음.

 

  ○ 소비 추세가 점차 고급화

   - 진난 1년간 건강보조식품 소비 추세를 보면 400 위안 이상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올랐으며, 100위안 이하 제품의 점유율은   감소함.

   - 200-400위안 중간 가격대 제품의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안정됨.


중국 건강보조식품 가격대별 시장점유율 대비



□ 수입동향


  ○ 최근 3년 수입규모

   - 중국 건강보조식품 수입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임.  2017년 수입규모 18.2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2.6% 증가함.

   - 중국의 건강보조식품 수입국으로는 최근 3년간 미국, 호주가 1,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이어서 독일 태국 대만 등이 뒤를 따르고 있음.


중국 건강보조식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2106.90 기준)

(단위: US천,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총계

1,297,253

28.4

1,487,188

14.6

1,823,691

22.6

1

미국

310,246

27.6

339,517

9.4

374,149

10.2

2

호주

120,153

817.5

229,756

91.2

355,682

54.8

3

독일

83,725

2.8

85,185

1.7

160,916

88.9

4

태국

85,216

2.3

110,742

30.0

130,559

17.9

5

대만

94,882

39.9

107,035

12.8

114,280

6.8

6

일본

77,897

62.6

74,173

-4.8

70,167

-5.4

7

네덜란드

87,189

-14.4

56,600

-35.1

63,653

12.5

8

한국

49,761

26.5

90,406

81.7

55,098

-39.1

9

홍콩

25,079

11.4

31,004

23.6

35,885

15.7

10

싱가포르

20,892

-16.4

23,448

12.2

32,743

39.6

자료원: KITA(2017년 순위 기준)


對한국 수입규모 및 동향


중국 건강보조식품 對한국 수입동향(HS Code 2106.90 기준)

(단위: US$, %)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1~3월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46,761

26.5

90,406

81.7

55,098

-39.1

18,609

39

   자료원: KITA 

 

  ○ 최근 3년간 수입 동향을 보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것을 알 수 있음.

    - 2015년에 497만6000달러로 수입국 8위에 자리하지만 2016년에 9040만6000달러로 5위로 상승함.

    - 한편 2017년은 5,509만8000달러로 전년 대비 39.1% 대폭 감소하며 8위에 머무름.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자료원: 바이두, 업체 홈페이지 및 온라인 쇼핑몰

 

□ 관세율


  ○ 구체적인 품목에 따라 관세율은 다름.

    - 세율은 0~31.5%까지 차이가 많음.

 

자료원: 중국 해관청 

    - 비고: 잠정세율이란 특정화물에 대해 일정기간 기본세율 대신에 적용되는 세율임.

 

□ 유통구조


  ○ 중국 건강보조식품의 주요 유통 경로는 직판, 비직판 두 가지로 나눔.

    - 직판이란 기업이 각급 판매 사원을 통해 제품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이며, 비직판이란 주요 약국, 체인점, 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것임.

    - 중국 건강보조식품의 유통 경로는 주로 직판, 약국, 라인 쇼핑몰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직판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크며 안정됨.

    - 약국의 시장점유율이 떨어지는 반면에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가 증가세를 보임.


중국 건강보조식품의 유통경로 추세도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国产业信息)

 

□ 인증


  ○ 인증 요구사항

   - CFDA 인증 필요. 보통 3~5년 소요됨.


□ 시사점 

 

  ○ 다국적 협력이 대세

   - 외국 브랜드는 자격 신청 및 심사, 유통 경로 확장 등 방면에서 쉽지 않음. 게다가 크로스보더(Cross Border) 전자상거래 2016년부터 세율이 점차 높아지면서 어려움이 더 많아짐. 따라서 중국 로컬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자원의 상호 보완을 달성하는 것이 더 좋음.


  ○ 시장의 고속성장, 세부 분야의 기회를 잡아야

   - 중국 건강보조식품의 1인당 소비 및 소비자 수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2위 소비 시장이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여전히 발전 초기에 있음. 임신기 보건, 스포츠 보건, 미용 및 체중 관리 등 관련 분야별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여 기회가 많음. 기업은 이러한 분야를 주목할 만함.


   ○ 관련 정책 파악 필수

    - 건강보조식품 분야는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체 과정에서 행정 관리를 엄격하게 시행하는 분야로 최근 몇 년간 국가적 차원에 끊임없이 관련규정을 정비하고 있음,

    - 원료 사용, 제품 출시, 생산(조건) 허가에서부터 제품 유통, 광고 홍보 등 절차까지 모두 신고 및 심사를 필요로 하며 해당 부서의 엄격한 감독 관리를 받아야 함.

    - 건강보조식품 관련 정책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관련 정책 및 주요 내용


자료원: 중국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자료원: 바이두, 중국산업정보망(国产业信息), 중국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KITA, 업체 홈페이지 및 온라인 쇼핑몰, 중국해관청, 阿里线上数据, KOTRA 충칭 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건강보조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