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전력인프라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벵갈루루무역관 최효식
  • 2018-07-17
  • 출처 : KOTRA

- 344GW까지 발전설비 확장 송배전 손실률은 20%대 여전 -

- 전력공급 역량 확보 도와줄 한국기업 기술력 유망, 현지진출 중장기적 접근법 필요 -




□ 시장동향 : 세계 3위의 전력소비 대국, 수요 맞춰 설비 증설 지속


  ㅇ 인도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약 1480kWh를 기록해 우리나라 소비량(4970kWh)에 비해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임. 


2016 전 세계 연간 전력소비 현황

(단위: 십억 kWh)

순위

국가명

전력소비량

1

중국

5,920.0

2

미국

3,911.0

3

인도

1,048.0

4

일본

933.6

5

러시아

890.1

6

캐나다

516.6

7

독일

514.6

8

대한민국

497.0

자료원: CIA


  ㅇ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도 정부는 매년 발전설비 증설을 지속

    - 인도의 발전설비 용량은 2007132.3GW에서 20185월 말 기준 343.8GW로 연평균 9.08% 증대


인도 발전설비 총용량(2007-2018)

(위: GW)


자료원: IBEF(2018)


    - 현재까지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하는 특징을 보이나 신재생에너지와 수력발전 비율을 점차 증대하는 방향으로 개선중


인도 에너지발전 설비현황

(단위메가와트)

화석

원자력

수력

신재생

총계

화력

가스

석유

196,957.5
(57.27%)

24,897.46
(7.23%)

837.63

(0.24%)

6,780
(1.97%)

45,403.42
(13.2%)

69,022.39
(20.07%)

343,898.39
(100%)

주: 2018년 5월 기준

자료원인도 중앙전력청(Central Electricity Authority)


    - 송배전망 또한 12차 국가전력계획이 종료된 20185월 현재 39307km까지 증설했으며, 고압송전망(HVDC) 구축을 본격적으로 진행해 확충 추진


인도 송배전망 설비 확충현황

(위: ckm)

항목

1997(8차)

2002(9차)

2007(10차)

2012(11차)

2017(12차)

2018

(1) AC

115,742

147,531

192,535

248,049

348,049

377,520

- 765kV

0

1,160

2,184

5,250

32,250

35,301

- 400kV

36,142

49,378

75,722

106,819

144,819

172,263

- 220kV

79,600

96,993

114,629

135,980

170,980

169,956

(2) HVDC

1,634

4,738

5,872

9,432

16,872

15,556

합계  (1)+(2)

117,376

152,269

198,407

257,481

364,921

393,076

주: 매년 3월 기준 측정, 2018년은 5월 기준임.

자료원: 인도 중앙전력청(Central Electricity Authority)


□ 발전설비 증설에도 여전한 정전상황


  ㅇ 총 발전설비 중 59.88%만 운영, 원인은 송배전 손실률로 인한 채산성 악화

    - 인도의 에너지 발전량은 201074만6644GWh에서 2017113만5334GWh로 약 1.5배 성장했으나 피크 수요를 제대로 충족 못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는 등 여전히 공급부족 직면


인도 전력공급 현황

회계연도

에너지발전량(GWh)

설비용량(MW)

수요

공급

차이(%)

피크수요

피크공급

차이(%)

2009/10

830,594

746,644

-10.1

119,116

104,009

-12.7

2010/11

816,591

788,355

-8.5

122,287

110,256

-9.8

2011/12

937,199

857,886

-8.5

130,006

116,191

-10.6

2012/13

995,557

908,652

-8.7

135,453

123,294

-9.0

2013/14

1,002,257

959,829

-4.2

135,918

129,815

-4.5

2014/15

1,068,923

1,030,785

-3.6

148,166

141,160

-4.7

2015/16

1,114,408

1,090,850

-2.1

153,366

148,463

-3.2

2016/17

1,142,929

1,135,334

-0.7

159,542

156,934

-1.6

자료원: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


    - 공급부족의 주 원인은 높은 송배전 손실률로 인한 전력판매사업자(배전기업)의 재정악화가 심화로 발전설비 가동률이 저하되는 것

    - 실제 전력공급 불안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2017년 총 발전설비 중 59.88%만 운영


인도 부하이용률(PLF) 추이

(단위: %)

회계연도

PLF*

중앙정부 설비

주정부 설비

민간기업 설비

2013/14

65.6

76.1

59.1

62.1

2014/15

64.46

73.96

59.83

60.58

2015/16

62.29

72.52

55.41

60.49

2016/17

59.88

71.98

54.35

55.73

: 부하이용률(Plant Load Factor, %) = 총발전량/총발전설비

자료원: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


    - 20185월 현재 인도 송배전 전력손실률은 평균 22%를 기록


인도 송배전 손실률 상·하위 3개 지역

순위

상위 3개 지역

하위 3개 지역

지역명

송배전 손실률

지역명

송배전 손실률

1

오디샤 주

38.20%

히마찰프라데시

9.5%

2

마디야프라데시

37.70%

타밀나두

14.0%

3

웨스트벵갈

31.44%

케랄라

15.26%

자료원: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


    - 손실의 주요 요인으로는 송배전 장비 노후화, 무계획적인 배전선 확장, 기술적 손실, 도전(盜電)에 따른 상업적 손실 등으로 분석


인도 송배전 손실률 발생 이유

기술적 손실

상업적 손실

- 장비 노후화에 따른 송배전 전력손실

- 장비 유지비 및 수리비용 부담비용 전가

- 전력 송배전 장비 미설치

- 계량기 조작, 전력도난 등

- 관리직원의 책임감 부족

- 에너지분야 회계, 감사 부재

자료원: KOTRA 벵갈로르 무역관 자료 종합


  ㅇ 전력공급역량 확충 위한 정부투자 이어질 전망

    - 인도 정부는 재원부족 상황 하에서 신규 발전소 건설과 송배전의 기술적 손실 최소화를 위해 외국인직접투자를 비롯한 민간투자 촉진을 장려

    - 13차 국가전력계획 목표에 따라 인도전기전자제조협회(IEEMA)2022년까지 누적 발전설비 규모를 52만3389MW까지 확대, 송배전시설 현대화 및 확충사업을 통해 AC/HVDC 47만515ckm까지 증설할 계획


인도전기전자제조협회(IEEMA) 2022년 목표달성계획

발전분야

송배전분야

- 발전설비용량 : 64만MW

- 석탄 : 50,025MW

- 가스 : 4,34MW

- 수력 : 15,330MW

- 원자력 : 2,800MW

- 신재생 : 115,326MW

- AC 송배전 : 450,700 ckm

- HVDC : 19,815 ckm

- AC 송배전용량: 979,637 MVA

- HVDC 송배전용량 : 30,500 MW

자료원: IEEMA


□ 수입동향 (전력인프라 기자재 상품군별)

주*: KOTRA 글로벌시장 진출전략 보고서(전력기자재) 중 서남아지역 유망품목으로 선정


  ㅇ 전력변압기 제품의 경우 중국산 제품 수입 비중이 2017 45.91%로 압도적, 한국은 2.33% 4326만9000달러 기록


인도 전력 변압기 제품군 수입동향(HS Code: 8504)

(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총계

1,398,445

1,480,265

1,856,676

100.00

100.00

100.00

1

중국

532,866

622,671

852,307

38.10

42.06

45.91

2

독일

192,272

192,391

223,420

13.75

13.00

12.03

3

영국

46,119

53,979

83,754

3.30

3.65

4.51

4

일본

61,545

59,367

80,392

4.40

4.01

4.33

5

중국(홍콩)

42,840

73,616

73,197

3.06

4.97

3.94

6

미국

63,954

51,398

60,542

4.57

3.47

3.26

7

태국

57,195

56,721

50,002

4.09

3.83

2.69

8

싱가포르

45,759

43,048

46,215

3.27

2.91

2.49

9

대한민국

58,297

45,020

43,269

4.17

3.04

2.33

10

핀란드

47,150

50,144

41,925

3.37

3.39

2.26

주: 해당 통계는 2017년 수입액 총계 기준임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전력 개폐기 제품도 중국제품의 수입비중이 높으나 한국제품의 수입비중도 7.7%로 세계 3위권 기록


인도 전력개폐기 제품 수입동향(HS Code: 8535)

(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총계

83,540

85,470

104,470

100.00

100.00

100.00

1

중국

26,386

26,491

31,611

31.58

30.99

30.26

2

독일

9,015

14,564

20,574

10.79

17.04

19.69

3

대한민국

7,111

5,650

8,043

8.51

6.61

7.70

4

프랑스

4,397

13,956

7,617

5.26

16.33

7.29

5

스위스

9,571

4,594

7,504

11.46

5.38

7.18

6

이탈리아

4,552

1,519

5,973

5.45

1.78

5.72

7

미국

5,608

2,994

4,312

6.71

3.50

4.13

8

스페인

2,418

815

2,604

2.89

0.95

2.49

9

노르웨이

12

9

2,360

0.01

0.01

2.26

10

스웨덴

1,167

2,012

1,734

1.40

2.35

1.66

주: 해당 통계는 2017년 수입액 총계 기준임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송배전의 핵심제품인 절연케이블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인도에 수출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


인도 절연전선, 케이블 수입동향(HS Code: 8544)

(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총계

902,578

782,931

955,999

100.00

100.00

100.00

1

중국

316,865

312,786

396,433

35.11

39.95

41.47

2

대한민국

150,815

65,915

95,854

16.71

8.42

10.03

3

독일

71,030

62,822

76,118

7.87

8.02

7.96

4

미국

64,920

53,740

65,141

7.19

6.86

6.81

5

일본

22,635

29,609

29,646

2.51

3.78

3.10

6

말레이시아

31,181

26,575

27,287

3.45

3.39

2.85

7

영국

16,454

13,056

25,923

1.82

1.67

2.71

8

스위스

15,787

17,169

24,314

1.75

2.19

2.54

9

스리랑카

22,461

16,567

21,823

2.49

2.12

2.28

10

베트남

8,713

7,210

17,960

0.97

0.92

1.88

주: 해당 통계는 2017년 수입액 총계 기준임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주요 경쟁제품은 ABB, Siemens, GE 등 글로벌 기업제품으로 중국의 자사 공장에서 생산해 공급

  ㅇ 이들 글로벌 기업들은 수입 및 공급을 동시에 하고 있으며 인도 기업들은 주로 유통 위주인 것으로 파악

 

 전력인프라 품목별 주요 경쟁사 현황

제품

HS Code

주요 경쟁사

전력 변압기

HS 8504

ABB Ltd (스위스)
Siemens AG  (독일)
General Electric Company (미국) 등

전력 개폐기

HS 8535

ABB Ltd (스위스)
General Electric Company (미국)
Siemens AG  (독일)
Hitachi Ltd (일본) 등

절연전선 / 케이블

HS 8544

Evonik Industries AG (독일)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미국) 등

 자료원: 바이어 인터뷰 및 무역관 종합 


□ 관세율


  ㅇ 한국산 변압기, 전력 개폐기 절연전선/케이블 등은 CEPA(한-인도FTA) 제외 품목으로 일반 관세율과 동일한 10%
     - 관세에 IGST 18%가 더 부가돼 실제 관세는 30%에 근접


전력인프라 품목별 관세율 정보

(단위: %)

제품

HS Code

일반 관세율

한국산 제품 관세율*

전력 변압기

HS 8504

10

10

전력 개폐기

HS 8535

10

10

절연전선/케이블

HS 8544

10

10

 주: 한국산 제품은 CEPA 제외 품목

자료원: 인도 관세청


□ 필수 인증사항


인증기관

인도전기전력시험소(Central Power Research Institute / CPRI)

인증구분

자율인증

대상품목

1) 변압기, 케이블, 절연물질, 퓨즈기어 등 에너지 장비

2) 가정용, 산업용, 사무용, 송전용 전력기기 일체

3) 기타 그외 모든 전기,전력사용 제품

인증절차

- 별도 대리인 없이 직접 신청 가능

- 인도로의 수출제품에 해당될 경우, 아래의 절차로 CPRI 인증 획득

1) 서류제출(신청서, 샘플, 제품스펙, 관련도면, 제품용도 및 사용설명서)

2) 시험진행(부적합 부분 발생 시 수정 및 재시험 반복)

3) 시험성적서 발행

4) 시험성적서 검토, 인증서 발행

비고

CRPI 인증은 인도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전력 기기 및 부품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필수 인증으로

인증 획득 후 별도의 사후관리는 불요하나  변경사항 발생 시 CPRI에 통보해 재시험/재인증 추진해야 함

자료원: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 시사점


  ㅇ 인도정부의 전력인프라에 대한 최우선적 투자 이어질 것

    - 인도정부는 7%대 경제성장률 유지를 위해 산업생산에 필수적인 전력인프라 증대 지속 예정

    - 천문학적 손해를 유발하는 송배전 손실과 도전(盜電)방지를 위해 스마트그리드 사업, 지능형 IT 배전시스템 등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


  ㅇ 신흥국 진출을 위한 공기업, 대기업과의 컨소시엄 진출전략 유효

    - 발전소 건립, 유지, 보수 등에 필요한 전력기자재 독자진출보다는 발전소 건립 프로젝트 등 플랜트 프로젝트에 진출하는 것이 유망

    - 자금력이 사업추진에 가장 중요한 전력기자재기업은 공기업 혹은 대기업과의 컨소시엄 협력 추진해 레퍼런스 확보 및 참여기회 발굴 등 추진이 바람직


  ㅇ 현지 생산법인 설립으로 현지시장 진출 리스크 상쇄 필요

    - 지멘스, ABB 등은 인도 현지에 생산공장을 설립하고 대부분의 기자재를 현지에서 생산

    - 현지 전력기자재사업 진출은 기술적 전문성, 금융부담, 사업위험 등 여러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현지 생산(판매)법인 설립을 통한 중장기적 접근 필요



자료원: Ministry of Power, CPRI, World Trade Atlas, CEA, IEEMA, CIA, IBEF, KERI,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에너지연구원 및 KOTRA 벵갈로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전력인프라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