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화장품 및 미용용품 시장동향(2013.12)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오새봄
  • 2015-11-06
  • 출처 : KOTRA

 

작성일자: 2013.12.3

작성자: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정윤서 (jys0916@kotra.or.kr)

 

 

1. 품목별 수출입 현황(HS Code 3304, 3307, 9165, 9019)

    

□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 기초화장용 제품류(HS Code 3304)의 수출입 현황

     

 ○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HS Code 3304의 수출액은 1억400만 달러이며, HS Code 3304의 수입액은 3억1009만 달러임. 최근 3년간 HS Code 3304의 수입액은 수출액에 최대 3.0배(2012년), 최소 2.6배(2010년) 이상 커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월등이 큰 것을 알 수 있음.

 

HS Code 3304 관련 말레이시아의 수출 및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말련 수출

104.7

112.6

104.0

말련 수입

274.2

321.9

310.9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HS Code 3304 관련 말레이시아가 가장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는 싱가포르로 매년 3000만 달러 정도의 수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 홍콩, 인도네시아, 태국 등으로도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인근 국가로의 수출이 주를 이루고 있음.

 

HS Code 3304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싱가포르

29.6

29.6

30.4

2

홍콩

10.9

14.3

12.1

3

인도네시아

5.8

7.2

7.7

4

태국

9.1

8.6

7.2

5

아랍에미리트

4.7

5.3

5.4

6

사우디아라비아

2.4

2.8

4.0

7

필리핀

4.2

4.8

3.6

8

대만

4.1

3.8

3.2

9

한국

3.6

4.1

3.2

10

브루나이

2.3

2.9

3.2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3304의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아 458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체 수입의 14.7%를 차지했음. 다음으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는 미국으로 4440만 달러의 수입이 이루어져 전체 수입의 14.2%를 차지했음. 세 번째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는 프랑스로 3310만 달러의 수입이 이루어져 전체 수입의 10.6%를 차지하고 있음.

     

 ○ 태국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9.1%,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8.6%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2010년 이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HS Code 3304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일본

38.9

44.9

45.8

2

미국

49.3

39.9

44.4

3

프랑스

25.7

31.1

33.1

4

태국

28.9

35.4

28.1

5

한국

14.2

23.9

26.7

6

대만

13.7

16.4

16.9

7

중국

10.8

17.5

16.2

8

인도네시아

9.4

12.1

13.1

9

싱가포르

10.2

19.4

11.0

10

스위스

5.9

10.0

10.3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면도용 제품류, 인체용 탈취제, 따로 분류되지 아니한 화장품(HS Code 3307)의 수출입 현황

     

 ○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HS Code 3307의 수출액은 1억100만 달러이며, HS Code 3304의 수입액은 1억400만 달러임. 최근 3년간 HS Code 3307의 수입액과 수출액은 그 규모가 비슷한 가운데 큰 변화가 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HS Code 3307 관련 말레이시아의 수출 및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말련 수출

98.6

99.5

101.1

말련 수입

91.4

108.6

104.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3307 관련 말레이시아가 가장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는 싱가포르로 1510만 달러 의 수출이 이루어졌음. 베트남, 인도네시아, 홍콩 등으로도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인근 국가로의 수출이 주를 이루고 있음.

 

HS Code 3307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싱가포르

11.7

11.6

15.1

2

베트남

21.2

14.8

12.6

3

인도네시아

3.6

9.8

12.0

4

홍콩

10.2

8.7

9.4

5

태국

8.5

8.4

8.8

6

호주

6.9

6.8

8.7

7

일본

4.8

5.3

6.6

8

대만

7.7

3.8

5.6

9

필리핀

0.6

3.5

4.5

10

인도

0.6

4.0

4.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3307의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아 202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체 수입의 19.4%를 차지했음. 다음으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는 태국으로 1630만 달러의 수입이 이루어져 전체 수입의 15.7%를 차지했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꾸준히 늘어나는 데 비해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어 좋은 대조를 보이고 있음.

 

 ○ 태국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9.1%,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8.6%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그 액수는 크지 않으나 2010년 이후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HS Code 3307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중국

12.9

19.9

20.2

2

태국

27.9

21.9

16.3

3

베트남

5.1

9.0

7.9

4

프랑스

2.3

2.7

6.3

5

필리핀

6.2

4.4

6.1

6

미국

6.2

5.8

5.7

7

인도

4.0

4.9

4.8

8

싱가포르

2.2

4.7

4.8

9

호주

4.1

7.3

4.2

10

영국

2.8

3.6

4.1

15

한국

1.1

2.1

2.5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빗, 머리핀(HS Code9615)의 수출입 현황

     

 ○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HS Code 9615의 수출액은 112만 달러이며, HS Code 9615의 수입액은 243만 달러임. 최근 3년간 HS Code 9615는 수입액이 수출액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HS Code 9615 관련 말레이시아의 수출 및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말련 수출

0.50

0.60

1.12

말련 수입

1.34

2.02

2.43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9615 관련 말레이시아가 가장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는 싱가포르로 35만 달러의 수출이 이루어졌음. 홍콩, 요르단, 미국 등으로도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금액이 크지는 않음.

 

HS Code 9615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싱가포르

0.19

0.27

0.35

2

홍콩

0.00

0.01

0.21

3

요르단

0.00

0.00

0.17

4

미국

0.13

0.15

0.15

5

중국

0.00

0.00

0.11

6

인도네시아

0.02

0.03

0.04

7

태국

0.01

0.00

0.03

8

일본

0.00

0.01

0.03

9

대만

0.00

0.00

0.01

10

아랍에미리트

0.03

0.07

0.0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9615의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아 182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체 수입의 75%를 차지했음. 다음으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는 미국, 태국 등이 있음.

     

 ○ 2012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만 달러로 2010년 이후 전반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

   

HS Code 9615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중국

0.87

1.53

1.82

2

미국

0.07

0.07

0.13

3

태국

0.05

0.07

0.12

4

일본

0.00

0.09

0.10

5

홍콩

0.26

0.12

0.07

6

이탈리아

0.02

0.03

0.06

7

사우디아라비아

0.00

0.00

0.05

8

대만

0.02

0.02

0.02

9

싱가포르

0.00

0.01

0.02

10

프랑스

0.00

0.00

0.01

11

한국

0.03

0.06

0.0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기게용법용 기기, 마사지용 기기, 오존흡입기, 산소흡입기 등(HS Code 9019)의 수출입 현황

     

 ○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HS Code 9019의 수출액은 1731만 달러이며, HS Code 9019의 수입액은 9393만 달러임. 최근 3년간 HS Code 9019의 수입액과 수출액을 비교해보면 수입액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음.

     

HS Code 9019 관련 말레이시아의 수출 및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말련 수출

8.88

10.15

17.31

말련 수입

67.53

82.21

93.93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9019 관련 말레이시아가 가장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는 싱가포르로 702만 달러의 수출이 이루어졌음.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도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아세안 대양주 국가로의 수출이 주를 이루고 있음.

 

HS Code 9019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싱가포르

3.45

3.45

7.02

2

호주

1.19

3.28

5.97

3

베트남

1.31

1.37

1.17

4

인도네시아

0.81

0.51

0.68

5

스웨덴

0.28

0.33

0.39

6

독일

0.12

0.14

0.29

7

미국

0.00

0.06

0.26

8

홍콩

0.52

0.19

0.19

9

필리핀

0.02

0.15

0.18

10

미얀마

0.09

0.07

0.15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2년 기준 HS Code 9019의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아 5626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체 수입의 60%를 차지했음. 다음으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는 일본으로 1058만 달러의 수입이 이루어져 전체 수입의 11%를 차지했음.

     

 ○ 2012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807만 달러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체 수입의 8.6%를 차지했음. 2010년의 513만 달러에 비하면 300만 달러 가까이 수입액이 증가했음.

     

HS Code 9019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0년

2011년

2012년

1

중국

38.22

48.99

56.26

2

일본

5.37

9.15

10.58

3

한국

5.13

8.53

8.07

4

미국

6.90

3.89

5.74

5

대만

2.29

2.68

3.67

6

홍콩

0.61

0.48

1.50

7

싱가포르

0.46

1.90

1.24

8

이탈리아

1.05

1.44

1.17

9

영국

1.16

0.67

0.92

10

태국

0.48

0.59

0.87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품목별 수입 관세 현황(HS Code 3304, 3307, 9165, 9019)

 

HS Code

관세율(%)

3304

0

3307

0

9615

0

9019

0

     

관세율 검색방법

 

  http://fta.customs.go.kr에 접속하면 관세율 검색이 가능합니다. 위 사이트에 접속하면 한국어/English 선택을 하는 메뉴가 보입니다.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1) 메인화면 중앙상단의 FTA 자료실을 클릭합니다. 바뀐 화면의 좌측 중앙을 보면 협정별 세율정보 메뉴가 있습니다.

 

(2) 협정별세율정보 메뉴를 클릭하면 화면이 바뀝니다.

 

(3) 말레이시아에서 제품을 한국으로 수입하실 경우 수입세율 조회를 선택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에 보시면 아세안 국기가 있습니다. 이를 클릭하시고 화면 검색창에 에이치에스 코드를 입력하시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한편 한국에서 말레이시아로 제품을 수출하는경우는 수출세율 조회를 누르십시오. 화면 우측 상단에 보시면 말레이시아 국기가 있습니다. 이를 클릭하시고 화면 검색창에 에이치에스 코드를 입력하시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유통구조(미용용품)

     

 ○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 및 마사지기의 경우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대형 유통매점, 소매매점이 직접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중간 유통상이나 수입업체를 통해 제품을 납품받고 있음.

 

제품 유통 현황

 

 ○ 이들 업체는 해외에서 제품을 직접 수입하고 있지는 않으며 수입업을 하는 현지 업체로부터 납품받는 경우가 많음. 직수입을 하지 않는 이유는 통관업무, 품질 관리 업무 등을 자사가 직접할 경우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임. 현지 수입업체를 활용하여 제품을 납품받으면 물류 및 적기 공급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유리한 점이 많다고 함.

 

 ○ 이에 납품처도 다양화하기보다는 믿을 수 있는 업체 중심으로 납품처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가려 함. 납품처를 다양화하면서 업체간 경쟁을 유발하여 납품단가도 낮추고 보다 나은 품질의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겠지만 납품처를 다각화하면 구매 관리가 어려워지고 오히려 납품처간 품질의 격차가 생겨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임. 따라서 신제품은 적극 발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신규 업체를 납품업체로 지정하는 것은 신중하게 결정하고 있음.

 

 ○ 화장품 유통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화장품 유통은 상점을 통한 유통이 전체 유통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이중 전문 소매점을 통한 유통이 36.3%, 백화점 등 종합 유통점을 통한 유통이 32.7%로 근소하게 전문 소매점을 통한 유통이 많음.

 

 ○ 전문 소매점을 통한 유통 중 약국 및 드럭스토어를 통한 유통을 제외한 미용 전문점을 통한 유통은 14.8%를 차지하고 있음.

 

말레이시아 화장품 유통채널별 점유율

                        (단위: %)

유통 경로

2010년

2011년

2012년

상점을 통한 유통(Store-Based Retailing)

71.6

71.6

71.6

           건강 및 미용 소매점(Health and Beauty Retailers)

35.1

35.6

36.3

       - 미용 전문점(Beauty Specialist Retailers)

14.3

14.5

14.8

       - 약국 및 드럭스토어

20.8

21.1

21.5

종합 유통점(Mixed Retailers): 백화점 등

33.6

33.2

32.7

상점을 통하지 않은 유통(Non-Store Retailing)

28.4

28.4

28.4

           직접판매(Direct Sale)

28.2

28.1

28.1

           인터넷 쇼핑

0.2

0.3

0.3

           홈쇼핑

0

0

0

자료원: Euromonitor

 

 

4. 제품등록: 현지에서 화장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등록해야 함

     

□ 등록제도 개요

     

 ○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은 Control of Drugs and Cosmetic Regulation 1984에 의해 규제받고 있음. 2007년까지는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등록(Registration)을 해야 했음.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제품 세부사양과 관련 서류를 국가 의약품 통제국(National Pharmaceutical Control Bureua, NPCB)에 제출해야 했음.

 

 ○ 하지만 2008년부터는 아세안 지역에서의 화장품 규정과의 조화를 위해 등록제가 신고제(Notification)로 변경되었음.

     

 ○ 신고제는 말레이시아에 화장품을 들여오려는 업체가 자사 제품이 아세안 화장품 지침(ASEAN Cosmetic Directive)에 일치하는 것을 국가 의약품 통제국에 통보(Notify)하고 선언(Declare)하는 제도임. 아세안 화장품 지침(ASEAN Cosmetic Directive)내용은 말레이사아 화장품 관리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Control of Cosmetic Products in Malaysia)에 적용되어 있음.

  ※ Guidelines for Control of Cosmetic Products in Malaysia는 아래 홈페이지 참조

      http://portal.bpfk.gov.my/index.cfm?menuid=63&parentid=34

     

 ○ 외국기업이 말레이시아에 화장품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현지 에이전트를 지정해야 함. 현지 에이전트는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에 등록된 회사여야 함. 신고는 지정된 에이전트가 진행하게 됨.

 

말레이시아 화장품 신고 절차 개요도

    

자료원: The National Pharmaceutical Control Bureau

     

□ 등록절차

 

 ○ 말레이시아에 화장품을 들여올려는 기업은 국가 의약품 통제국(National Pharmaceutical Control Bureua, NPCB)을 통해 의약품 서비스 디렉터(Director of Pharmaceutical Services, DPS)에 신고(Notification)를 해야 함.

 

 ○ 신고가 이루어지기 전에 화장품을 생산, 수입, 유통하는 것은 불법임. 제품을 소유(own)하지 않은 기업이 제품을 신고하기 위해서는 제품 소유자(product owner)로부터 승인 공문(a letter of authorization)이 필요함. 제품 신고를 하려는 기업은 말레이시아 기업 위원회(SSM)에 등록된 기업이여야 함.

     

 ○ 신고를 통해 말레이사아 보건당국은 화장품에 대한 성분을 포함한 제반 정보를 알 수 있게 됨. 신고는 www.bpfk.gov.my의 Quest2 시스템(www.bpfk.gov.my/Quest2)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함.

     

 ○ 신고가 완료되면 1~3일 내에 신고번호(Notificaton Numebr)가 생성되며 신고번호가 생성되면 Notification Note를 인쇄할 수 있게 됨. Notification Note는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을 수입, 유통, 판매할 수 있는 승인으로서의 효력을 갖게 됨.

 

 ○ 신고처리 관련 비용은 품목당 50링깃(약 17달러)이며 신고는 2년간 유효하며 신고 연장은 신고 유효기간이 종료되기 전 1달 전에 이루어져야 함. 비용은 최초 신고와 동일하게 50링깃임.

 

 ○ 외국기업이 말레이시아에 화장품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현지 에이전트를 지정해야 함. 현지 에이전트는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에 등록된 회사여야 함. 신고는 지정된 에이전트가 진행하게 됨.

 

 ○ 병행수입의 경우 한국업체 수출업체 A사, 말레이시아 수입업체 B사 간에 독점계약 거래내용만 없으면 제3의 C사가 수입을 할 수 있음.

  - 단 현지 규정에 따르면 다수의 수입상이 존재할 때는 화장품 등록을 한 기업을 responsible company라고 하는데 이 회사만 Notification Note를 여타 수입상에 발급을 해줄 수 있음.

  - 따라서 responsible company가 Notification Note를 여타 수입상에게 발급하지 않으면 현지 유통이 불가능한 바 이에 대한 사전 협의가 필요함.

 

 

5. 말레이시아 화장품 시장동향(2012년 기준)

 

 ○ 말레이시아 화장품 시장은 말레이시아 국민들의 소득 수준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색조 화장품과 대중 화장품은 매년 5%, 프리미엄 화장품은 매년 6%대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말레이시아 화장품 시장 전망

            (단위: 백만 링깃)

연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색조 화장품

449.4

468.8

491.7

515.6

540.6

프리미엄 화장품

1126.60

1184.80

1254.10

1327.90

1408.10

대중 화장품

3349.90

3515.90

3712.90

3914.60

4126.40

자료원: Euromonitor

 

 ○ 색조화장품, 프리미엄 화장품, 대중 화장품의 브랜드별 시장점유율은 아래 표와 같음. 주요 기업들은 프리미엄(premium)브랜드와 대중(mass) 브랜드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계층을 공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말레이시아 색조 화장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기업명

2010년

2011년

2012년

Avon

Avon Products Inc

17.4

14.7

13.7

Silky

Alliance Cosmetics Sdn Bhd

8.3

8.4

8.5

Gemey, Maybelline, Jade

L'Oréal Groupe

8.3

8.1

8.2

L'OréalParis

L'Oréal Groupe

7.8

7.8

8

Revlon

Revlon Inc

6.8

6.8

7

Shiseido

Shiseido Co Ltd

4.5

4.6

4.8

EstéeLauder

Estée Lauder Cos Inc

4.6

4.6

4.7

Mac

Estée Lauder Cos Inc

3.9

4

4.1

Artistry

Amway Corp

3.7

3.7

3.9

BobbiBrown

Estée Lauder Cos Inc

3.7

3.7

3.8

Lancôme

L'Oréal Groupe

3.5

3.6

3.7

NuSkin

Nu Skin Enterprises Inc

2.7

2.7

2.8

L'élan

Berjaya Group Bhd

2.7

2.6

2.5

Kosé

Kosé Corp

2.7

2.5

2.5

Clinique

Estée Lauder Cos Inc

2.3

2.2

2.1

TheBodyShop

L'Oréal Groupe

2.1

2.1

2.1

TheFaceShop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1.5

1.6

1.8

Chanel

Chanel SA

1.7

1.7

1.7

ShuUemura

L'Oréal Groupe

0.8

0.8

0.7

자료원: Euromonitor

   

말레이시아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기업명

2010년

2011년

2012년

SK-II

Procter & Gamble Co, The

10.6

10.9

11.1

Shiseido

Shiseido Co Ltd

10.8

10.9

10.9

Artistry

Amway Corp

8.9

9.1

9.3

Estée Lauder

Estée Lauder Cos Inc

7.9

8

8

Lancôme

L'Oréal Groupe

5.4

5.6

5.7

Kosé

Kosé Corp

3.6

3.6

3.5

Clinique

Estée Lauder Cos Inc

3.6

3.5

3.5

Biotherm

L'Oréal Groupe

3.1

3.2

3.3

Clarins

Clarins SA

2.9

3

3.1

Calvin Klein

Coty Inc

2.7

2.6

2.6

자료원: Euromonitor

     

말레이시아 대중 화장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기업명

2010년

2011년

2012년

Avon

Avon Products Inc

7.8

7.0

6.5

L'OréalParis

L'Oréal Groupe

5.7

5.8

5.9

Johnson's

Johnson & Johnson Inc

5.6

5.6

5.6

NuSkin

Nu Skin Enterprises Inc

2.9

3.8

4.1

TheBodyShop

L'Oréal Groupe

2.9

2.9

3.0

Sunsilk

Unilever Group

2.9

2.9

2.8

Brylcreem

Unilever Group

2.5

2.6

2.6

Dettol

Reckitt Benckiser Plc

2.5

2.5

2.6

Nivea

Beiersdorf AG

2.3

2.3

2.3

Pantene

Procter & Gamble Co, The

2.0

2.0

2.0

TheFaceShop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0.6

0.6

0.8

자료원: Euromonitor

     

 ○ 위에서 보듯이 로레알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로는 랑콤, 매스 브랜드로는 바디숍, 색조화장품에서는 로레알, 메이블린 등 차별화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브랜드 군을 보유하고 있음.

 

 ○ 한국 화장품 중에서는 페이스숍이 2012년 기준 대중 브랜드 시장점유율 0.8%, 색조화장품 점유율 1.8%를 차지하고 있음.

 

 ○ 현지 시장의 주요 화장품 가격동향은 별첨 엑셀파일을 참조하기 바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화장품 및 미용용품 시장동향(2013.12))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