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로코 전기자동차산업, COP22 이후 확대 조짐
  • 트렌드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장도혜
  • 2017-01-03
  • 출처 : KOTRA

- 프랑스 르노, 중국 양쯔 자동차 모로코에 전기자동차(VE) 생산시설 구축 추진 -

- 유럽 및 아프리카 대륙 전기차 시장 진출기지로서의 모로코 역할 기대 -

 

 

 

□ 모로코 전기자동차 산업 현황


  ㅇ 모로코 전기자동차 수출입 현황

    - 모로코 전기자동차(HS Code 8703.90.10.00) 수입,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 유지


1998~2015년 모로코 전기자동차 수입 현황 그래프(HS Code 8703.90.10.00 기준)

                                                                                                (단위: 모로코 디르함)

주: 2015년 평균 환율 기준 1달러=9.7모로코 디르함

자료원: 모로코 관세청


모로코 전기자동차 수입 현황(HS Code 8703.90.10.00 기준)

                                                                                                                                            (단위: 달러,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9

수입액

206,985

84,112

261,000

6,708

469,030

232,766

799,138

973,011

356,873

90,004

증감률

-

-59.36

210.31

-97.43

6891.70

-50.37

243.32

21.76

-63.32

-71.23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Morocco Import Statistics, Commodity 8703901000


    - 대모로코 전기자동차 주요 수출국은 2010년 이전 중국 및 스페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2010년 이후 중국, 스페인 외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미국, 일본 등이 모로코 시장에 진출함. 한국의 경우 2016년 9월 기준 9296달러(시장 점유율 10.33%) 수출 기록

    - 모로코 전기자동차 시장 주요 점유국은 중국(2015년 7.11%, 2016년 9월 63.17%) 및 프랑스(2015년 83.06%, 2016년 9월 26.50%)

    - 2016년 11월 7~18일 모로코 마라케쉬(Marrakech)에서 개최된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2) 개최를 기념해, 르노-닛산의 전기자동차 50대(배치 기종: 르노 Zoe, 닛산 Leaf, 닛산 E-Nv200)가 COP22 진행 주요 구역에 20개의 충전소와 함께 배치됨.


  ㅇ 모로코 하이브리드 차량 수출입 현황

    - 모로코 하이브리드 차량 중 배기량 1000~1500㎤ 차량(HS Code 8703.22.05.00) 수입, 2012년 대일본 43만8774달러, 대프랑스 2만372달러가 최초로 발생. 이후 수입이 부진했으나, 2016년 제 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 모로코 마라케쉬 개최에 힘입어 2016년 9월 기준 17만7355달러 수입

    - 모로코 산업용 하이브리드 차량 중 배기량 1500~3000㎤ 차량(HS Code 8703.23.05.00) 수입, 2011년 대일본 192만6572달러, 대독일 34만822달러, 대미국 6만5711달러 발생

    - 2013년 이후 산업용 하이브리드 차량이 대폭 감소(-94.18%)했으나, 꾸준히 소량 수입 유지. 2016년 COP22 개최에 힘입어 2016년 9월 기준 산업용 하이브리드 차량 수입 전년동기대비 600% 이상 증가


1998~2015년 모로코 산업용 하이브리드 차량 수입현황(HS Code 8703.23.05.00 기준)

                                                                                                           (단위: 모로코 디르함)

  

자료원: 모로코 관세청


모로코 산업용 하이브리드 차량 주요 수입국별 수입 현황(HS Code 8703.23.05.00 기준)

                                                                                                                                      (단위: 천 달러,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9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일본

1,927

-

199

-89.66

47

-76.52

0

-100

155

-

1,750

1669.40

독일

341

-

203

-40.52

67

-67.09

264

295.60

149

-43.62

0

-100

스페인

0

-

0

-

0

-

45

-

0

-100

0

-

영국

0

-

1,437

-

0

-100

0

-

0

-

0

-

미국

66

-

112

70.12

0

-100

0

-

0

-

0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Morocco Import Statistics, Commodity 8703230500


  ㅇ 모로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기 수입 현황

    - 모로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기 수입은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상승세 유지. 2012년 르노 전기자동차 모로코 시장에 소개 및 2013년 모로코 자체 전기 자동차 제작 관련 연구 프로젝트 성공으로 2010년 이후 전기자동차 및 관련 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1998~2015년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수입 현황(HS Code 8504.40.99.10 기준)

                                                                                                        (단위: 모로코 디르함)

주: 2015년 평균 환율 기준 1달러=9.7모로코 디르함

자료원: 모로코 관세청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수입현황(HS Code 8504.40.99.1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9

수입액

1.2

1.5

1.7

2.8

2.6

5.0

5.1

6.6

4.7

6.7

9.1

9.5

8.7

7.9

4.8

증감률

-

-

13.98

61.60

-4.17

86.60

2.68

29.14

-29.26

41.90

36.58

4.10

-7.92

-9.66

-25.3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Morocco Import Statistics, Commodity 8504409910


    - 2016년 9월 기준, 한국의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시장 점유율은 0.02%(31위, 1107달러). 2016년 기준 대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주요 수출국은 중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슬로바키아, 미국, 인도, 스웨덴, 독일, 영국 등으로 대부분 모로코와 FTA가 체결된 국가들로 구성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주요 수입국 시장 점유 현황(HS Code 8504.40.99.10 기준)

                                                                                                                                                  (단위: 천 달러, %)


2014

2015

2016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중국

6,883

78.50

6,755

85.27

3,778

78.17

프랑스

764

8.71

367

4.63

336

6.94

스페인

110

1.25

77

0.98

134

2.76

이탈리아

124

1.42

137

1.73

127

2.63

슬로바키아

289

3.30

30

0.37

91

1.88

미국

105

1.20

62

0.78

49

1.01

인도

14

0.16

7

0.09

37

0.78

스웨덴

7

0.08

6

0.08

34

0.69

독일

63

0.72

66

0.83

29

0.59

영국

25

0.28

13

0.17

27

0.57

한국

24

0.27

6

0.08

1

0.0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Morocco Import Statistics, Commodity 8504409910


  ㅇ 모로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기 수출 현황

    -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수출은 2006~2010년을 제외한 기간 동안 소액 수출(4만 달러 미만) 유지.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일부 유럽 국가(프랑스, 스페인 등) 및 나이지리아, 세네갈, 모리타니아, 튀니지 등 주변 국가

    - 2006~2010년 기간 중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한 2008년, 2009년의 수출액은 각각 70만 달러, 86만 달러. 해당 기간 동안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모리타니아(2008년 14.24% 점유), 프랑스(2008년 77.42%, 2009년 87.67% 점유), 에티오피아(2008년 7.62%, 2009년 11.91% 점유)임.


1998~2005년 모로코 전기자동차 충전기기 수출 현황(HS Code 8504.40.99.10 기준)

                                                                                                                       (단위: 모로코 디르함)

주: 2015년 평균 환율 기준 1달러=9.7모로코 디르함

자료원: 모로코 관세청


□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생산업체 진출 현황


  ㅇ 르노-닛산,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생산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 르노 모로코, 닛산 이집트, 슈나이더 일렉트릭, M2M(모로코 소프트웨어 업체) COP22 모로코 마라케시 개최에 맞춰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생산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해당 컨소시엄은 모로코 국내 대여용으로 설치될 전기자동차 생산 프로젝트에도 참여 예정

    -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 COP22 기간 모로코 마라케쉬 COP22 관련 구역에 50대의 전기자동차 및 20개의 충전소를 시범 운영

    - 해당 컨소시엄 구성으로 르노-닛산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생산 활성화, 모로코 국내에 해당 산업 생태계 구성 및 현지화 확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모로코 에너지 효율개발기관(ADEREE)은 전기자동차 관련 모로코 국내 규정을 일부 완화할 것임을 발표해 해당 컨소시엄 및 전기자동차 관련 업체들의 모로코 진출 활성화가 예상됨.


르노-닛산-슈나이더 일렉트릭-M2M 컨소시엄 구조

자료원: MEDIAS 24


  ㅇ 중국 양쯔(Yangtze) 자동차, 모로코 전기자동차(VE) 생산공장 건설 발표

    - 2016년 7월 중국 양쯔 자동차, 모로코 탕제(Tanger) 지역에 전기자동차 생산공장 건설 계획 발표

    - 해당 생산공장은 모로코 국내 판매 및 모로코 주변 국가 및 유럽 등에의 수출을 위한 전기 버스 및 개인 차량을 생산할 예정으로, 해당 공장 건설에 투자되는 예산은 약 1억 달러

    - 양쯔 자동차는 모로코를 유럽 및 아프리카 진출기지로 삼아, 모로코에서 생산되는 전기버스 및 자동차를 해당 지역에 적극적으로 수출할 것임을 표명

    - 기존 모로코 상용 전기버스는 COP22를 위해 마라케쉬에서 상용화된 4개의 전기버스 및 카사블랑카에서 2016년 11월 시운전에 성공한 전기버스만이 운영되고 있음.


□ 시사점


  ㅇ 전기자동차 관련 산업 활성화 예상

    - 르노-닛산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의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대여시스템을 통해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사용 확대 예상

    - 르노-닛산 컨소시엄의 전기자동차 공장 및 중국 양쯔 자동차의 전기자동차 공장으로 인해 모로코 국내 전기자동차 부품 및 관련 기기 산업 활성화 예상


  ㅇ 모로코를 유럽 및 아프리카 진출 교두보로 활용

    - 르노 및 양쯔 자동차는 모로코를 생산 기지화해 유럽 및 아프리카 국가로의 진출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전기자동차 관련 부품 및 기기를 생산하는 한국 업체들이 유럽 및 아프리카 진출을 희망할 경우 모로코 진출 고려 필요

    - 특히 모로코의 경우, 주변 중동·아프리카 국가 및 유럽과 FTA 협정이 이루어져 있어 해당 지역 진출 교두보로서 활용 가능



자료원: Le Matin, L'Economiste, MEDIAS24, 모로코 관세청, Global Trade Atlas 및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로코 전기자동차산업, COP22 이후 확대 조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