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케냐 전력 산업 동향
  • 국별 주요산업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윤구
  • 2020-09-28
  • 출처 : KOTRA

- 지형적 지리적 이점으로 신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높음 -

- 에너지 접근성 개선 프로젝트로 태양열 가정용 시스템 시장 활기 -

 

 

 

가. 산업특성

 

정책 및 규제

 

  ○ ‘비전2030’을 통한 전력 산업 지원 계획

    - 케냐는 2008년 중장기 국가발전 전략으로 ‘비전2030’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3차 단계(MTP III)를 시행 중에 있음.

    - MTP III는 BIG4 아젠다를 바탕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전력 산업을 BIG4 아젠다 달성을 위한 필수 기간 산업분야로 선정하였음. 전력 산업 목표 및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음.

 

목표 및 프로젝트

1.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원의 개발과 사용을 촉진하여 전력 발전 용량을 2022년까지 5221 MW로 증산

  - 수력 발전 프로젝트: 93MW

  - 지열 발전 프로젝트: 913MW
  - 풍력 발전 프로젝트
: 800MW
  - 바이오 매스 전력 프로젝트
: 157MW
  - 태양열 발전 프로젝트
: 442MW
  - 석탄 발전 프로젝트: 328MW

  - 수입: 400MW

 

2. 송전망 확대를 위한 송전선 건설

  - 5121Km의 송전선과 77개의 고전압 변전소 및 국가 시스템 제어 센터 건설

  - 에티오피아-케냐, 케냐-우간다, 케냐-탄자니아간 상호 연결 송전선 건설

 

3. Last Mile Connectivity 프로젝트 시행

  - 프로젝트를 통해 500만 가구에서 사용가능한 전기 확보

 

4. 재생 에너지 활용 기술 확대

- 재생 에너지 자원 파악 및 자원 지도 개발

- 재생 에너지 연구를 위한 국가 전략 수립;

  - 전력 생산을 위한 도시 폐기물의 사용 장려

  - 지역 역량 개발 촉진

자료: VISION2030 THIRD MEDIUM TERM PLAN 2018-2022

 

  ○ 2018 국가 에너지 개발 정책 수립

    - 국가 에너지 개발 정책(NATIONAL ENERGY POLICY 2018)은 케냐 '비전 2030'과 연계 된 에너지 부문에 대한 국가 정책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음.

    - 에너지 정책의 전반적인 목표는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면서 최소비용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는 것임.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음.

 

세부목표

1.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도구로 에너지를 활용

2. 에너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개선
3. 에너지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에 도움이 되는 환경 제공
4. 에너지 자원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개발을 촉진
5. 에너지 개발 및 배분을 위해 지역기술 개발에 우선순위 책정
6. 에너지 효율 및 관리 촉진
7. 에너지 개발에 기후변화 문제와 환경적 사회적 안전 및 고려사항이 반영되도록 보장
8.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정보가 반영된 에너지 계획 수립
9. 에너지 무역, 투자, 개발에서 국제적인 협력 강화
10. 연구, 개발, 훈련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역량강화를 추진하고 에너지 설비를 통한 현지제조 장려

11. 장비, 시스템 및 공정에 대한 표준, 실무규정 및 사양 수립
12. 안전한 공급을 위해 에너지 공급원의 다각화
13. 에너지 제품의 비용 효율적이고 공정한 가격 책정
14. 투자자, 생산자, 공급자, 소비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의 이익 보호
15. 에너지 부문의 국내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16. 에너지 분야의 투자자와 사업자가 현지 콘텐츠 요건을 준수하도록 함
.
17. 에너지 자원 개발에 있어 정부 기관 육성 및 개발

18. 에너지 관련 재난의 관리에 있어 정교한 대응전략 마련
19. 재생 에너지 전기 생산을 장려, 필요한 배전 및 송전 인프라를 구축 및 유지
20. 관련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촉진, 국가와 지방정부 간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제공


□ 
전력발전 관련 주요 이슈

 

  ○ The Energy Act, 2019 법안 채택

    - 2019년 3월 12일 채택되어 현재 시행 중에 있음.

    - 신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기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 에너지부가 2008년 시행한 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FIT)를 법안에 추가하였음.

    - 재생 에너지 자원에 대한 자원 지도 작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어 지도가 완성될 경우 예비 투자자들의 탐사 및 타당성 조사 수행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

 

  ○ 라무 석탄발전소 건설 중지

    - 케냐에서 추진하고 있던 1050MW규모의 라무 석탄발전소 건설이 20196월 케냐국립환경재판소의 판결로 중지되었음. 재판소는 석탄발전소가 라무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수행하지 못했다고 판결하며 케냐환경청이 건설업자에게 발급한 면허를 취소하였고 새로운 평가를 받도록 명령했음.

 

□ 최신기술 도입 동향

 

  ○ 부유식 태양열 발전소

    - 부유식 태양열 발전소는 일반적으로 댐 저수지나 호수를 떠다니는 부력 구조물에 태양 패널을 설치한 발전소임.

    - 케냐 최초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소가 나이바샤 화훼농장 상수원에 설치 중에 있음. 케냐 발전공사(KenGen)는 주요 수력 발전 댐 중 3곳에 부유식 태양광 설치를 검토 중에 있으며 노르웨이 Multiconsult사가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

 

□ 에너지 관련 주요 기관 및 기업

 

   주요 정부 기관

 

기관명

담당분야

홈페이지

에너지부

(MoE)

에너지분야 정책 개발 및 시행

https://energy.go.ke/

에너지 및

석유규제청

(EPRA)

에너지 부문 규제기관

https://www.epra.go.ke/

농촌전기화 및 재생에너지 공사

(REREC)

케냐의 녹색 에너지 추진 및 농촌 전기화 프로젝트를 시행

https://www.rerec.co.ke/

케냐전력공사

(KPLC)

전기 구매, 송전 및 배전을 담당

국영기업(국가 지분 50.1%, 민간 지분 49.9%)

https://www.kplc.co.ke/

케냐발전공사

(KenGen)

전력 생산 담당

국영기업(국가지분 70%, 민간 지분 30%)

https://www.kengen.co.ke/

케냐송전공사

(KETRACO)

고전압 전기 전송 인프라를 개발

송전선, 변전소를 계획, 설계, 건설 및 유지

국영기업(국가지분 100 %)

https://www.ketraco.co.ke/

지열개발공사

(GDC)

2008년에 지열자원 개발을 위해 특수 기관으로 설립한 국영기업

http://www.gdc.co.ke/i

 

   독립 전력 생산자(IPP): 전력을 생산하여 케냐전력공사에 대량으로 전기를 판매하는 민간 기업임. 현재 14개의 독립 전력 생산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가 설치 용량의 약 24%를 차지하고 있음.

 

기업명

에너지원

연락처

Iberafrica Power (E.A.) Company Limited

화력

+254-203654000

power@iberafrica.co.ke

Tsavo Power Company Limited

화력

+254-20318969/70

tsavopower@tsavopower.com

Mumias Sugar Company Limited

열병합

+254-711094000

msc@mumias-sugar.com

Rabai Power Company Limited

화력

+254-412013806/7/8
info@rabaipower.com

웹페이지: https://rabaipower.com/

Imenti Tea Factory Company Limited

수력

+254-202367464.

info@imenti.ktdateas.com

Power Technology Solutions (Gikira Hydro)

수력

 

Orpower 4 Inc

지열

+254-5050664

orpower4office@ormat.com

Thika Power Limited

화력

+254712932170

info@thikapower.co.ke

Gulf Power Limited

화력

+254-202725334/5

info@gulfenergy.co.ke
웹사이트: gulfenergy.co.ke

KTDA(various plants)

수력

+254-203227000/2

info@ktdateas.com

Lake Turkana Wind Power

(LTWP)

풍력

+254-202213493

info@ltwp.co.ke

웹페이지: https://ltwp.co.ke/

Strathmore Solar

태양열

+254-703-034000/200/300
info@strathmore.edu

Regen-Terem

수력

 

Biojoule Kenya Ltd

바이오가스

+254-716154277

hello@tropicalpower.com

 

나. 전력 수급 현황

 

□ 에너지원 별 발전 현황

 

  2019년 올카리아V 지열발전소 1호기의 국가 전력망 추가로 지열발전이 25%로 크게 증가하면서 케냐의 총 지열발전용량은 2736.4MW로 증가하였음. 화력발전은 7.2% 감소하였으며 수력·풍력·열병합 설치용량은 2018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019년 총 유효 발전규모도 지열발전 증가에 따라 98.6 MW 증가한 2736.4 MW였음.

 

2017-2019년 케냐 에너지원 별 설치용량 및 가동동량

(단위: MW)

구 분

설치 용량

가동 용량

연도별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수력

826.2

826.2

826.2

805.0

805.0

805.0

화력

806.9

807.7

749.3

765.8

768.2

716.0

지열

652.0

663.0

828.4

644.0

655.0

816.0

풍력

26.1

336.1

336.1

25.5

335.5

325.5

열병합

28.0

28.0

28.0

23.5

23.5

23.5

태양광

0.7

50.7

51.0

0.6

50.6

50.4

총계

2,339.9

2,711.7

2,818.9

2,264.4

2,637.8

2,736.4

자료: Economic Survey 2020

 

  ○ 2019년 전력 총 생산량은 11,620.7 GWh로 전년대비 3.9% 증가. 투르카나 풍력 발전소가 본격 가동함에 따라 풍력 발전량이 2018년 375.6GWh에서 2019년 1562.7GWh로 4배 이상 증가했으며 가리사 태양열 발전소 운영으로 태양열 발전량 또한 2018년 13.7GWh에서 2019년 92.3GWh로 증가하였음. 수력발전량은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어, 2018년 충분한 강우량으로 2017년보다 43.6% 증가하였으나 2019년에는 19.6% 감소하였음. 화력발전은 신재생 에너지의 증가로 2019년 1313.3GWh로 15.0% 감소하며 3년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2017-2019년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 및 수입 현황

(단위: GWh)

연도

수력

화력

지열

열병합

풍력

태양광

수입

총계

2017

2,776.8

2,534.1

4,756.3

1.9

61.3

-

229.6

10,360

2018

3,986.4

1,545.8

5,127.8

2.5

375.6

13.68

130.3

11,182

2019

3,205.3

1,313.3

5,234.7

0.3

1,562.7

92.3

212

11,621

자료: Economic Survey 2020

 

  ○ 에너지원 별 비중은, 지열이 2019년 전체 발전량의 45%를 차지하여 케냐의 주요 발전 자원으로 부상하였으며, 수력이 27%로 2위를 차지했음. 풍력은 투르카나 호수 풍력발전소 가동으로 화력발전을 제치고 3위를 차지

 

2019년 에너지 비중

(단위:%)
external_image

자료: Economic Survey 2020

 

  ○ 2019년 국내 총 전력 소비는 8854.0GWh로 1.7% 증가하였으며 가정용 및 소규모 상업용 소비는 3780.1GWh로 3.1%, 중대형 상업용 및 산업시설 소비는 2.4% 증가하였음. 반면 지방전기화에 따른 소비는 569.0GWh로 5.4% 감소. 가정용 및 소규모 상업용 소비와 중대형 상업용 및 산업시설 소비는 전체 국내 수요의 92.9%를 차지하고 있음. 총 전기수입은 2018년 130.3GWh에서 2019년 212.0GWh로 증가했고 수출은 2018년 35.2GWh에서 2019년 16.2GWh로 감소하였음. 2019년 송전 및 배전시에 발생하는 손실은 2750.5 GWh로 전년대비 12.5%나 증가하였음.

 

2017-2019년 케냐 전력 생산, 소비, 수출입동향

(단위: GWh)

구분

 

2017

2018

2019

소비

가정용 및 소규모 상업용

3,528.3

3,665.9

3,780.1

중대형 상업용 및 산업시설

4,199.0

4,336.5

4,441.0

Off-peak

42.2

30.4

-

가로등

60.1

68.2

63.9

농촌전기화

(Rural Electrification)

580.6

601.3

569.0

총 지역 수요

8,410.1

8,702.3

8,854.0

우간다, 탄자니아로 수출

12.3

35.2

16.2

송전 및 배전시 손실

1,937.5

2,444.5

2,750.5

총소비 = 총생산

10,359.9

11,182.0

11,620.7

우간다, 탄자니아로부터 수입

229.6

130.3

212.0

케냐 생산

10,130.3

11,051.7

11,408.6

자료: Economic Survey 2020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높은 신재생 에너지의 잠재력

- 민간 발전 (IPP) 참여가 활발

- 치열한 경쟁

- 잦은 가뭄 등의 기후변화

- 케냐전력 재정 악화

- 기술인력 부족

Opportunities

Threats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높은 개발 의지

-정부의 민관협력(PPP)를 통한 전력 생산 촉진 정책

- 부정부패, 현지관행, 토지보상문제 등으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 빈번

자료나이로비 무역관 자체 분석

 

□ 유망분야

 

  ○ 케냐는 지형적 지리적으로 지열, 풍력, 태양열등의 신재생 에너지의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는 많은 경쟁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인 투자지로 남아 있음.

 

  ○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가능성은 정부로 하여금 재생에너지 발전을 중앙에서 농촌 및 외각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했음. 케냐 정부는 세계은행과 제휴하여 2030년까지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14개 카운티의 에너지 접근성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이에 따라 민간부문이 지원하는 태양열 가정 시스템 시장이 활기를 띠는 가운데 오프 그리드 (Off Grid) 및 재생 가능한 하이브리드 미니 태양열 발전 솔루션이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음.

 

  ○ 케냐의 전기비용은 이웃 국가에 비해 높기 때문에 태양열 워터펌프, 태양열 기반의 냉장 및 태양열 건조 등과 같은 생산시설을 위한 재생에너지 시장이나 대규모 전기를 사용하는 기업에 대규모 PV시스템을 판매하는 것도 유망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VISION2030 THIRD MEDIUM TERM PLAN 2018-2022, NATIONAL ENERGY POLICY 2018, The Energy Act. 2019, Economic Survey 2020, 현지주요일간지,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케냐 전력 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