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0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윤수한
  • 2020-03-26
  • 출처 : KOTRA

- 2020년 지출예산 전년대비 7.8% 감소한 약 2719억 달러 편성 -

-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 육성을 통한 비석유 분야 수입 증대 목표 -

 

 

 

2020년 사우디 예산안 개요

 

  ㅇ (개요) 2020년 지출예산은 2719억 달러, 수입은 2220억 달러

    - 지출예산은 전년대비 7.8% 감소한 2719억 달러로 편성했으며, 지출의 효율성 제고로 인한 운영비용 감소 목표

    - 2020년 저유가 지속 및 국제경기 침체 영향으로 재정수입은 전년대비 14.6% 감소한 2220억 달러로 편성

    - 2020년 재정적자는 499억 달러로 GDP 대비 6.4% 수준이며, 이는 2019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

    - 사우디 정부는 균형재정 달성 목표 시점을 당초의 2020년에서 2023년으로 연기

 

2015-20년 사우디아라비아 연도별 정부예산 동향

(단위: 억 달러, %)

구분

2017

2018

2019

2020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수입

1,856

34.1

2,387

28.6

2,600

8.9

2,220

14.6

지출

2,469

11.6

2,747

11.3

2,949

7.3

2,719

7.8

수지

613

26.1

360

41.3

349

3.1

499

43.0

자료: 사우디 재무부(MOF)

 

  ㅇ (핵심 목표) Saudi Vision 2030 추진 통한 비석유 분야 수입 증대

    - 2019년 비석유 분야 GDP2018년 대비 2.3% 증가

    - 2019년 정부지출 대비 비석유 분야 수입 비중은 약 30% 2016Saudi Vision 2030 발표 이래 정부 지출대비 비석유 분야 수입 비율 최고 기록

    - 사우디는 Saudi Vision 2030 핵심 목표 중 하나인 비석유 분야 수입 증대를 위해 조선, 자동차, 방산, 의료 등의 제조업 분야 본격 추진 계획

 

2014~2019년 사우디 정부지출 대비 비석유 분야 수입 비중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4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2pixel, 세로 324pixel

자료: 사우디 재무부(MOF),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체제작

: 2019년은 추정치


분야별 지출 개요

 

  ㅇ 2020년 정부 지출예산은 총 2719억 달러이며, 전년대비 8.5% 감소

    - 민간부문 활성화,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개선, Saudi Vision 2030을 포함한 사회적, 경제적 지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

    - 경제자원(33.7%), 인프라 및 교통 분야(24.8%)가 전년대비 대폭 감소했으며, 이 밖에도 공공 분야(17.4%), 지방행정(15.4%) 감소 기록

 

2019-2020년 사우디 분야별 재정지출 동향

(단위: 억 달러, %)

구분

2019

2020

증감률

일반 행정

75

77

2.6

국방

509

485

4.9

보안 및 관리 영역

275

272

1.1

지방 행정

165

143

15.4

교육

515

514

0.2

보건 및 사회 발전

459

464

1.1

경제 자원

349

261

33.7

인프라 및 교통

186

149

24.8

공공 분야

416

354

17.5

합계

2,949

2,719

8.5

: 2019-20년 분야별 지출예산은 추정치

   자료: 사우디 재무부

 

예산안 주요 내용

 

  ㅇ Saudi Vision 2030 추진, 정부지출 효율화, 비석유 분야 수입 증대, 민간 분야 성장이 예산안의 주요 내용

    - Saudi Vision 2030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2023년까지 정부 균형재정 달성 목표

    - Saudi Vision 2030 실현을 위한 국가 대형 프로젝트의 정상 추진 및 금융, IT, 관광, 제조업 등 비석유 분야 육성

    - 비석유 분야(제조업, 관광 등) 육성을 통한 Post-Oil 시대 대비 신성장동력 마련 및 국제 경기악화 영향 최소화

    - 정부지출 효율화를 통한 공공서비스 지출 확대

 

  ㅇ (GDP) 비석유 분야 수입 증대로 2019GDP 0.4% 성장

    - 유가회복 둔화 및 원유 생산 감소 정책으로 인해 2019년 석유 분야 GDP는 전년대비 1% 감소한 반면석유 분야 GDP2.9% 증가

    - 비석유 분야 GDP 증가로 인해 2019GDP0.4%로 플러스 성장 기록

 

  ㅇ (재정적자) 2020499억 달러의 재정적자 전망되며, GDP 대비 6.4% 수준

    - 2019년 재정적자는 349억 달러였으며, 2019년은 43% 증가한 499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재정적자 증가는 석유분야 수입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

    - 2020 국가개혁과제(National Transformation Plan 2020)를 통해 2020년 목표였던 정부 균형재정 계획을 2023년으로 연기

 

  ㅇ (수입) 2020년 재정수입은 2220억 달러로 편성

    - 유가회복 둔화 및 국내경기 침체로 2020년 재정수입은 전년대비 14.6% 감소한 2220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비석유 분야 수입은 전체 수입의 38%853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음.

    - 비석유 분야를 제외한 정부 수입은 전년대비 11.3% 감소해 총 1688억 달러로 예상되며, 이 중 석유분야 수입은 1368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세금 수입은 총 53억 달러로 예상됨. 이는 2017년 대비 131.9% 증가한 수치이며, 2018년 부가세 도입 이후 매년 세금수입 증가 추세

    - 세금 수입이 가장 큰 분야는 상품 및 서비스 부가세 분야로 전체의 71.5%로 약 38억 달러 차지

    - 이 밖의 세금 수입으로는 기업활동 기부금(Zakat) 7억 달러, 금융 세금 4억 달러 등이 있음.

 

  ㅇ (지출) 2020년 재정지출은 2719억 달러로 편성

    - 교육(514억 달러), 국방(485억 달러), 보건 및 사회발전(464억 달러)가 전체 예산의 53.8% 차지

    - 2017~2019년 추진된 Center of Spending Efficiency(CSE) 정책을 통해 정부지출 효율화를 증가시킬 수 있었음.

    - 정부지출 효율성 증대로 인해 Red Sea 관광, Qiddiya 엔터테인먼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추진 환경 조성

    - 코로나19 경제 여파로 정부 지출예산의 약 5%133억 달러 삭감 발표(3.19.)

    - 사우디 재무부 장관, 정부 지출예산 삭감은 사회 및 경제적 영향이 적은 분야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구체적 시기 및 계획은 공개하지 않음.

 

시사점

 

  ㅇ Saudi Vision 2030 추진을 통한 산업 다각화 노력 지속

    - 코로나19, 러시아와의 감산합의 실패에 따른 국제유가 급락으로 정부 재정수입 감소 및 경기침에 장기화 가능성 증가

    - 조선, 자동차, 의료, 방산, 관광 등 비석유 분야 육성을 위한 산업 다각화 정책으로 Post-Oil 시대 신성장동력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

    - 또한 사우디는 202011G20 개최국으로 Saudi Vision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지출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

 

  ㅇ Red Sea 관광, Qiddiya 엔터테인먼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관심 필요

    - Saudi Vision 2030의 핵심 프로젝트인 Red Sea, Qiddiya 등은 다른 분야의 예산 삭감을 통해서라도 정상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

    - 상기 프로젝트 이외에도 항만, 도로, 산업단지 등 산업 인프라 조성 관련 프로젝트 관심 필요

      · 주요 산업단지: King Salman 조선소, SPARK(King Salman 에너지 산업단지), Industrial Cluster(IC, 분야별 제조업 산업단지), 왕립위원회 산업단지(RCJY, Royal Commission for Jubail and Yanbu)

  

  ㅇ 석유화학 분야 JV를 통한 현지 투자진출 검토

    - 비석유 분야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원유 수출 중심의 석유 산업은 정부 수입의  60% 이상을 차지

    - 석유화학 등 석유 관련 분야까지 합치면 전체 수입의 70% 이상으로 추정

    - SABIC(국영석유화학회사), SADARA(석유화학회사) 등 대형 석유화학사회사들은 자국 내 다운스트림 분야 제조업 육성을 위한 외국기업 JV를 통한 현지 생산공장 구축 노력 중

    - 특히 SADARA는 사우디 동부 담맘 북쪽에 Chemical Complex 건설 추진하고 있으며, 외국 석유화학 회사와의 JV 적극 추진 중

    - JV를 통한 현지 생산공장 구축 시 저렴한 가격으로 다운스트림 소재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UAE, 쿠웨이트, 바레인 등 GCC 및 주변국가로 석유화학 제품 수출 가능

    

 

자료: 사우디 재무부 Budget Statement 2020, 현지언론(Arab News, Saudi Gazette ),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0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