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농수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경
  • 2019-09-16
  • 출처 : KOTRA
Keyword #농수산업

. 산업 특성

 

산업 개관

 

  ㅇ 농수산업 규모

     2018년 기준 34천만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925 억 달러) 차지, 비중은 1% 미만

    - 척박한 토지 및 기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농수산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으나, 식량안보 확보 중요성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난 5년간 연평균 7% 성장

 

카타르 농수산업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14

2015

2016

2017

2018

GDP 규모

242

261

279

310

336

증감률

10

8

7

12

9

자료원 : 카타르중앙은행(QCB)

 

  ㅇ 주요 생산품목

   - 청예사료, 곡식류(곡물 수입 후 현지 가공), 대추야자 및 과일류, 육류, 유제품 등으로 구성

 

2017년 농수산 분야 주요 생산품목

구분

품목

생산량()

사료

청예사료(Green Fodder)

534,515

채소

채소

55,579

낙농품

우유·치즈·요거트 등

56,146

계란

5,753

대추야자 및 과일류

대추야자

28,096

과일

879

육류

가금류

15,206

소고기·양고기 등 육류 전반

9,599

수산품

생선

 15,358

곡식류

보리(Barley)

593

밀가루(Wheat)

16

기타 곡물

758

합계

722,508

: 20199월 확인 최신 자료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ㅇ 지리 환경
    - 연 평균 70mm 이하의 낮은 강수량(주로 겨울철에 집중) 
    - 고온다습한 여름(최고기온 50℃ 이상), 온화하고 선선한 겨울(최저기온 10℃)

    - 농지면적은 약 65,000 헥타르로 전 국토(116만 헥타르)의 5% 수준에 불과  
    -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는 반도 지형인 동시에 해발 최고 높이 120m로 대부분의 지형이 평지인 사막 국가


□ 주요 정책


  ㅇ 국가발전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2018-2022) 
    - 카타르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세부 전략으로, 주요 예상 성과 중 하나로 농업 분야 생산량 증대 및 식량안보 확보가 있음.  

    - 정부는 향후 5년간 매년 7,000만 리얄(1,900만 달러)을 농업분야에 투자해 현지 기업육성 및 자급률 확대 추진 예정
   
   ㅇ 국산 농산물 판매 지원정책

    - (Premium Qatar Farms Program) 프리미엄 국산 농산물 마크를 부착하는 정부 프로그램으로, 현지 농산물에 'Premium Qatari Vegetables' 스티커 부착
    - (Qatar Farms Program) 카타르 농장에서 생산된 국산 농산물들을 중간상 없이 대형 유통망에 직접 진열해 수입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프로그램


  ㅇ 농장 시설 지원 프로젝트
    - 2019년 3월 자치환경부에서 발표한 농장 시설 확충 프로젝트에 따라, 에어컨을 설치한 비닐하우스 시설 1,600개, 일반 비닐하우스 1,700개, 수경재배 시설 100개 등 약 3,400여 개의 농장 시설 건립이 순차적으로 진행 중


프리미엄 농산물 마크

자료원 : Peninsula


주요 이슈

 

  ㅇ 카타르 단교사태

    - 단교 주도국(UAE, 사우디)의 카타르 식품시장 점유율은 2016년 기준 30% 수준으로 높은 비중 차지

    - 먹거리 수입 중단 등 국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 발생으로 식량 자급률 개선 필요성 대두

    - 단교사태 경험 이후 식품분야를 시작으로 빠르게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으며, 정부 민간주도의 제조업 산업 육성을 통해 대외 의존도를 낮춰갈 계획

     (링크) KOTRA 해외시장뉴스 '단교사태 2,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나가는 카타르'

 

  ㅇ 식량안보 전담부서 ‘Food Security Department’신설

    -  자치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Municipality)20194 식량안보 전담부서 ‘Food Security Department’를 신설

    - 해당 전담부서 주도로 식량안보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관련 신규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농수산식품 분야 생산성 제고를 도모할 예정

 

주요기업 현황

 

기업명

사업분야 및 생산품목

홈페이지

Baladna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www.baladna.com

Ghadeer Dairy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www.ghadeerdairy.com

SAIC(Al Sulaiteen Agriculture & Industrial Complex)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saic.com.qa

Agrico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agrico.qa

Arab Qatari Agricultural Production Company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qt-fa.com

Layan Farms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layanfarms.qa

Al Qamra Holding

가축농장(, 낙타) 및 양어장(농어, 적도미, 하무르)

www.al-qamra.com

Arab Qatari for Poultry Production

양계장(육계 및 계란)

www.aqpoultry.com.qa

Mazzraty

양계장(육계 및 계란),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mazzraty.com

Azba Farm for Chicken & Quail Birds

양계장(육계 및 계란)

www.asak-group.com

   자료원 : 무역관 자체 조사 및 각 사 홈페이지


. 산업 수급 현황

 

품목별 자급률 현황


  ㅇ 자급률 현황 및 목표

    - 유제품 및 신선가금류의 자급률은 2019년 기준 100% 이상의 자급률을 기록

    - 계란, 채소, 육류 등의 자급률은 여전히 30% 미만으로 2023년까지 30~90%까지 자급률 개선 추진

 

연간 농식품 생산량 변화(), 2023년 자급률 달성 목표()

 

자료원 : 자치환경부(MME)


수입 동향

 

  ㅇ 농수산식품 수입 동향

    - 2018년 HS 코드 01~22에 해당하는 농수산식품 수입금액은 332억 달러로 전년대비 2% 증가


농수산식품 수입 동향(HS 코드 01~22)

(단위 :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2017

 2018

CAGR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2,950

17

3,198

8

3,117

3

 3,246

4

3,321

2

2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ㅇ 주요 수입국

    -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은 인근국인 인도, 터키, 이란 등 국가들과 세계 2위 수출국인 미국 등으로 구성

    - 카타르 단교사태의 영향으로 20161, 2위 수입국을 차지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로부터의 수입은 단교 이전 대비 97% 이상 감소(수입시장 점유율’1630%’181% 미만)

    - 단교국 국경봉쇄 및 식량안보 강화 움직임에 따라 상위 10위 수입국 전반적으로 반사이익을 얻었으며, 특히 인접국인 이란(+1,908%), 터키(+209%), 오만(+189%) 등에서 상당한 증가세를 기록

    - 한국산 제품은 수입시장에서 1% 미만 점유율을 점유하고 있으나, 2018년 기준 7백만 달러 규모로 수입되면서 단교 이전 대비 44% 증가

 

2018년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HS 01~22 기준)

순위

국가

무게(톤)

금액(백만달러)

점유율

증감

(‘16년 수입액 대비)

1

인도

432,827

405

12%

38%

2

호주

89,594

319

10%

34%

3

미국

70,559

183

6%

41%

4

터키

119,961

163

5%

209%

5

이란

193,449

161

5%

1,908%

6

브라질

86,630

144

4%

9%

7

네덜란드

51,139

143

4%

35%

8

오만

63,198

127

4%

189%

9

벨기에

19,739

96

3%

28%

10

프랑스

40,406

96

3%

1%

46

아랍에미리트(UAE)

2,502

11

1% 미만

97%

49

대한민국

3,237

7

1% 미만

44%

50

사우디아라비아

2,194

7

1% 미만

98%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저렴한 생산경비(수도·전기·연료)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전문직)

· 에너지 자원 수출로 축적한 국부를 활용한 경제다각화 추진

· 척박한 경작 환경(토지 및 기후 등)

· 현지생산 제품의 다양성 부족 및 충분한 물량확보 애로

· 단교에 따른 국경 봉쇄로 최단거리 물류 네트워크 활용 불가

Opportunities

Threats

· 식량 자급률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농업 분야 지원

· 외국인투자법 개정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100% 외국인 투자 허용 추진

· 카타르 단교사태 및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Made in Qatar 제품

 

유망 사업분야

 

  ㅇ 스마트 팜(Smart Farm)

    - 국토의 5%에 불과한 제한적인 경작지 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직농장 및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팜 기술 유망

    - 생산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팜 모델 및 관련 기자재 제안 가능

 

  ㅇ 농업기술 분야 연구개발(R&D) 협력

    - 일부 현지 기업들은 농장 설립이 가능한 토지는 보유하고 있으나, 사업계획을 실현할 기술 및 운영 노하우가 부족함에 따라 경험이 풍부한 해외기업과의 R&D 협력 수요 보유

 

진출방안


  ㅇ 시범사업 및 R&D 협력

    - 유사한 경작환경에서의 사업경험 제시 및 현지 시범사업, R&D 협력 등 추진을 통해 진출기반 구축 모색

    - 한국기업에서 사업 아이디어 및 기술만 얻어간 뒤 실질적인 진전이 없이 사업논의가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파트너의 적극성 및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 필요


  ㅇ 현지 농업분야 전시회 참가

    - 카타르 농식품 전시회 아그리텍(AgriteQ)201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전시회로, 현지 관련 분야 잠재 파트너와 초기 연락채널 구축에 적합

    - 현지 바이어들과의 관계 구축에는 단순히 이메일을 보내는 것 보다 한 번의 대면면담을 가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편으로, 전시부스 운영을 통해 제품을 선보이거나, 일반 참관객으로 참가해 바이어 부스를 방문하는 방식으로 사업 홍보 가능

    (링크) KOTRA 해외시장뉴스 카타르 농식품 전시회 AgriteQ 2019 참관기

 

  ㅇ 농수산식품 수출

    - 농수산식품의 대외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으로, 인근국(이란, 터키, 인도 등) 수입제품 대비 경쟁력 확보 및 틈새시장 발굴이 관건. 수출 전 수입업자와 시중제품 대비 경쟁력에 대한 철저한 시장성 검토 필요  

    - 한국산 제품은 단가보다 운반비가 비싸 시장 경쟁력이 다소 낮은 편으로, 제품 자체의 단가가 낮더라도 항공 운송 시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려움. 이에 따라, 단가가 저렴하면서 보관기간이 길어 해상운송이 가능한 제품의 수출이 유망

 

 

자료원 : 자치환경부(MME), 카타르계획통계청(PSA), KOTRA 도하무역관 조사 자료 전반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농수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