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LED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고충성
  • 2019-06-04
  • 출처 : KOTRA
Keyword #일본 #LED #조명

-日 LED 시장, 범용품 분야는 레드오션化-
-식물재배용 조명, 해양 조명, 심자외선 조명 등 틈새시장 유망-




□ 선정사유


  ㅇ 일본 LED 조명시장 중 가정용 조명 등 일반 범용품 분야에서는 가격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해당분야에서 철수하는 기업도 나타나고 있음. 또 LED 제품의 특성상 교체 주기가 길어 제품 수요 성장 지속성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


  ㅇ 한편, 국제협약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2020년 12월 31일 이후 수은등의 제조 및 수출입이 금지될 예정으로, 현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LED 조명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음.


  ㅇ 또 산업용 LED 등 특수 분야에서는 한국 제품이 가격, 경쟁력에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분야로 판단됨.  


□ 시장규모 및 최근 동향

 

  ㅇ 일본 내 일반 조명시장 규모는 ‘18년 기준 약 1조엔 규모임. 일본 정부 정책의 뒷받침으로 일반 조명 용도의 조명기구에 있어 LED 제품으로의 변경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일본 일반 조명 시장에서 LED 제품이 80~90%를 차지하기에 이름


  ㅇ 일본 야노경제연구소(矢野経済研究所)의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일본 LED조명 시장규모는 출하액을 기준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한 8,752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향후 성장률에 있어서는 LED조명 보급 초기에 비해 둔화될 것으로 보임.
    - 일본시장에서 LED조명의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가격경쟁이 격화, 판매수량이 증가함에도 매출액 측면에서의 성장은 더욱 더디어질 전망임. 
   - 2019년 10월에 예정된 일본 소비세 인상 후 신축 주택시장 수요 감소가 예상되며, 2020년 도쿄올림픽 관련 건설 수요가 2019년 중에 절정을 이룬 후 하강세로 돌아서며 조명 수요도 감소할 것이 예상됨.  


일본 LED조명 시장 규모 추이 및 전망

자료원: 야노경제연구소

  

  ㅇ 한편 아직까지 LED 조명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기존 시설의 대체 수요, 2022~2023년경까지 추진되는 도쿄 도심 재개발 등은 조명 수요를 뒷받침할 호재임. 또 LED제품 고도화로 인한 업그레이드 수요(LED to LED)도 있어 일본 LED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비교적 견실하게 추이될 것으로 보는 것이 현지 전문가의 대체적인 의견임

 

  ㅇ 가정용 LED 등 범용품 시장이 레드오션 양상을 띠는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LED의 새로운 용도 모색이나 고부가가치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대표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음

   ① 식물재배용 LED조명
    - 일명 식물공장이라 불리는 시설에 사용되는 조명은 기존에 형광램프, 메탈할라이드등 나트륨등을 사용해 왔으나 LED조명으로의 대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해당분야에서 LED조명이 각광받는 이유로는 절전 효과와 더불어 저발열에 의한 환경 개선의 효과가 우수한 점, 광량조절 및 IoT와의 연계가 용이한 점, LED 조명의 가격인하로 인한 초기투자비용 절감 등을 둘 수 있음 
    - 특히 원예산업이 발달한 일본의 경우 식용식물뿐 만 아니라 화훼농가의 식물 공장화가 계속 진행 되고 있어 향 후 시장의 확대는 더욱 가속될 것으로 보임
    - 후지경제(富士経済)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식물재배용 LED 시장은 약 10억엔(약 110억원) 규모로 작았으나,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2030년에는 150억엔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Kyocera는 2015년 10월부터 식물공장용 LED 제품을 시중에 선보임. 해당기업의 관계자는 KOTRA와의 인터뷰에서 “식물용 LED는 향후 LED시장을 견인하는 한 축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냄.


관상식물 재배용 LED 조명(좌) 및 버섯재배용 LED조명(우) 사례

자료원: KOTRA 후쿠오카무역관


   ② 해양조명 분야
    - 틈새시장으로 분류되는 선박용, 양식장용 조명 분야에서 LED 제품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 해양조명의 경우 가정용이나 점포용 조명에 비해 수요 수량은 적은 경향이 있으나 개별 단가가 매우 높은 분야임. 일례로 50W조명의 경우 납품단가 기준으로 $120~150 수준으로 시세가 형성하고 있음
    - 해양 조명 분야 전문 상사인 H사의 관계자는 KOTRA와의 인터뷰에서 “해양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강한 케이스의 제작 방수 및 방염에 대한 처리 부분들이 아직 과제로 남아 있어 소량 고가로 제작되고 있다”고 하며, 시장개척 시의 과제를 시사 


선박용 조명 사례

자료원: KOTRA 후쿠오카무역관


   ③ 심자외선 LED 및 축산업용 LED
    - 심자외선이란, 파장이 200~300nm(나노미터)에 해당하는 광원으로 동식물의 DNA를 파괴하는 특성을 가진 특수한 파장의 자외선임. 살균 및 바이러스퇴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료용 소독용 검사용 등으로 사용됨
    - 심자외선 LED는 초기에는 일부 특수분야에서만 사용되어 왔으나 2014년애 살균용도의 LED가 양산화가 이루어진 이후 꾸준히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분야임. 일반적인 상업시설의 이용에 더해 공공시설, 축산업의 사육시설 등으로 시장이 확대 되고 있음.
    - 일본 규슈지역 등 낙농업이 발달된 지역에서 향후 수요 확대가 기대됨. 현재까지는 축산업에서의 LED 조명 수요는 축사 등에서 기존 조명(백열등, 형광등)을 단순 대체하기 위한 수요가 대부분이나, 향후에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LED조명의 도입이 우사, 돈사, 양계장 등을 중심으로 진행 될 것으로 보임. 


축사용 조명 사례

자료원: KOTRA 후쿠오카무역관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일본으로 수입되는 LED 제품은 형태나 용도, 교역의 주체가 되는 기업의 행정적인 사유 등에 의해 다양한 HS코드로 분류되고 있음.


  ㅇ LED 조명의 대표적인 HS코드 8513.10 (휴대용 전기램프, LED포함), 8539.50 (발광다이오드 램프), 9405.10 (램프 및 기타 조명기구) 등임. 일본 수입통계를 살펴보면, 해당 HS코드 모두에서 한국산 제품 이 중국산에 이어 높은 점유율을 점하고 있음.
    - 참고로 HS코드 8539.50이 세관 통계에 신규 편입된 시점이 2016년 이후로, 해당 코드의 2016년도 수입통계는 없음


일본 휴대용 전기램프 (HS코드: 8513.10) 주요 수입국 현황



일본 발광다이오드 램프 (HS코드: 8539.50) 주요 수입국 현황


일본 램프 및 기타 조명기구 (HS코드: 9405.10) 주요 수입국 현황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수입인증, 규제, 관세율 및 유통구조


  ㅇ LED제품에 대해 관세 및 수입규제는 없음


  ㅇ 2001년 4월부터 ‘전기용품 안전법’에 따라 전기제품의 제조·수입사업자는 법에 따라 PSE마크를 반드시 표시하도록 의무화
     - LED램프 및 LED 전등기구는 2012년 7월부터 PSE 마크 적용 대상에 포함됨.
     - 적용대상품목은 1W 이상의 LED램프 및 LED 전등기구(방폭형은 제외)이며, LED램프에서는 꼭지쇠가 정격 전압이 100~300V, 정격 주파수가 50·60Hz인 제품


  ㅇ 한편, 상기 PSE 인증은 가정용 일반제품에는 매우 엄격하게 적용되는데 비해 사용 전원이 200V가 많은 산업용 조명의 경우에는 인증이 비교적 수월하면, 일부 제품의 경우 인증이 면제되는 경우도 있음


  ㅇ OEM 시장은 중국과 한국이 양분, A/S의 빈도가 높은 제품의 특성상 엔드유저나 소매점포 운영기업에서 직접 수입하는 경우는 드물고 전문상사 및 LED 전문판매기업을 통해 수입되어 일본 내에서 유통되는 구조임.  


□ 경쟁 동향


  ㅇ 2018년도 일본 LED전구 및 형광등 판매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IRIS OHYAMA가 최초로 1위를 차지, 그간 해당 분야에서 점유율 1위를 줄곧 차지해온 Panasonic의 아성을 무너뜨림.


2018년 일본 LED전구 및 형광등 판매 시장점유율

자료원: www.bcnretail.com


  ㅇ 3위 이하 기업의 점유율이 하향세에 있는 등 일본 LED 시장, 특히 가정용 범용품 시장에 있어서는 과점화 및 집중화 추세에 있다 할 수 있음. 


  ㅇ 한편 조명 전문 기업 중 산업용 조명에 활로를 모색하는 기업이 많은데, 이들 기업은 한국을 포함한 해외기업에 대한 OEM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음. 주요 기업은 아래와 같음. 



□ 시사점


  ㅇ LED조명 중 일부 분야는 이미 일반 수요가 대부분 충족되어 교체수요로 시장이 정형화 되는 분야가 있으며(전구, 형광등 대체 분야 등) 이러한 시장의 경우 향후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가 적음


  ㅇ 산업용 조명시장에서는 특히 기술 및 성능에 대한 보증이 확실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일본 시장 내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한국산 LED 광원은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 일본 바이어는 가격경쟁력에 더해 기술력 운용실적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의 산업용 LED 조명의 경우 다양한 제품의 도입실적이 있어 일본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산업용 LED의 경우 일본시장 진출의 큰 걸림돌이 되는 인증 취득 부분에서 범용품 대비 엄격하지 않아 신규 시장개척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영역임.
    - 위에서 언급한 식물재배용 조명, 해양 조명, 축산업용 조명 등이 유망분야의 일례임. 


  ㅇ 한편 산업용 LED조명의 경우 설치와 교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므로 내구성과 관리의 용이성이 제품선정의 큰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음

ㅇ 또한 정부 및 지자체 등 공공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조달이 매우 보수적인 일본시장에서는 도로 등 교통관련 시설, 정부 관리 시설, 교육시설 등은 외국산 제품이 단독으로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관련기업 인터뷰, 야노경제연구소, 후지경제, 일본경제신문, www.bcnretail.com 및 KOTRA 후쿠오카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LED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