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주방용품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정모
  • 2018-12-24
  • 출처 : KOTRA

- 글로벌 브랜드와 저가 제품이 견인하는 UAE 주방용품시장 -

- 현지 주방용품 바이어, 시장진출 시 OEM 방식도 고려해볼 만해 -

 

 

 

□ 상품명, HS Code

 

  ㅇ HS Code 761510(식탁용품·주방용품이나 그 밖의 가정용 물품과 이들의 부분품, 용기 세정 용구와 세정용이나 폴리싱용(polishing) 패드·글러브(glove)와 이와 유사한 것)

    - 이 HS Code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제품을 의미하며 하위 품목으로는 식탁용품∙주방용품, 용기 세정 용구, 그 밖의 가정용 물품 등이 포함돼 있으나 그중 식탁용품∙주방용품을 선정함.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UAE 주방용품 시장규모 및 동향

 

UAE 주방용품시장 현황 및 전망

(단위: AED 백만, AED 1 = USD 0.27)

주: 이 통계는 소재와 관계없이 모든 주방용품을 포함

자료원: Euromonitor

 

    - UAE 전체 주방용품 시장규모는 2017년 기준 8억5570만 디르함으로, 2012년부터 평균 5%의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2020년까지 5.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현지 소비자가 선호하는 주방용품 소재는 금속이며, 금속에 속하는 알루미늄은 가볍고 부식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어 꾸준한 수요가 있음.

    - UAE 주방용품시장 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프라이팬, 냄비와 같은 Stove Top Cookware임. 그다음으로 접시, 그릇과 같은 Dinnerware, 오븐용 도구인 Ovenware 순서임.

 

2017년 UAE 주방용품 품목별 규모

(단위: AED 백만, AED 1 = USD 0.27)

주: 이 통계는 소재와 관계없이 모든 주방용품을 포함

자료원: Euromonitor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UAE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로 핸드폰, TV를 통해 다양한 요리 방송을 시청하는 소비자가 많음. 요리 방송을 통해 주방용품 및 식기의 구색을 갖추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고 품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돼 주방용품 소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함.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UAE 주방용품 수입규모 및 동향

 

UAE 주방용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76151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점유율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

전체

83.35

69.90

57.55

100

100

100

1

중국

41.15

33.73

27.87

49.37

48.26

48.44

2

인도

10.79

10.35

9.07

12.95

14.81

15.76

3

태국

6.60

8.67

7.07

7.92

12.40

12.28

4

프랑스

6.16

4.51

4.95

7.39

6.45

8.60

5

파키스탄

3.72

2.62

2.06

4.47

3.74

3.58

6

이탈리아

3.65

3.65

1.79

4.37

5.22

3.11

7

터키

1.19

0.58

1.04

1.43

0.83

1.80

8

대한민국

4.21

1.75

0.86

5.05

2.50

1.50

9

미국

0.99

0.90

0.71

1.19

1.29

1.23

10

브라질

0.25

0.41

0.44

0.30

0.59

0.77

주: 해당 HS Code는 알루미늄 소재의 식탁용품∙주방용품 및 용기 세정 용구, 그 밖의 가정용 물품 등을 포함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2016년 기준 UAE 주방용품 수입시장은 중국이 48.4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그다음으로 인도(15.76%), 태국(12.28%), 프랑스(8.60%) 순서로 수입 비중을 차지함. 한편 한국산 수입 비중은 전체 수입량의 1.5%임.

    - 비교적 저가 제품 생산이 가능한 중국, 인도산 수입액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해당 HS Code에 대한 UAE의 수입액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임. 특히 2015년 대비 2016년 UAE의 주방용품 전체 수입액은 약 18% 감소했으며, 한국산 수입액도 약 51% 감소함.

    - UAE는 석유의존적인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Post-Oil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산업 다변화 혹은 산업 다각화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지속 가능한 제조업을 육성 중임. 특히 공정 과정에서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에너지 집약적 산업인 알루미늄산업에 전기를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경쟁력으로 알루미늄산업을 적극 육성 중에 있음. 이러한 영향으로 UAE의 알루미늄 소재 주방용품의 수입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임.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UAE 주방용품시장 경쟁동향

 

2017년 UAE 주방용품 시장점유율 상위 5개 기업

(단위: USD, %)

기업명

브랜드명

주요 제품

가격

점유율

SEB Group

Tefal

(프랑스)

주방용품 세트

60

 

15.6

Element Middle East LLC

Prestige

(영국)

압력 냄비 2L

24

13.2

Al Futtaim Group

IKEA

(스웨덴)

주방용품 세트

- 5L, 3L, 2L 냄비

107

11.3

Arc International Groupe

Luminarc

(프랑스)

식기 세트(19pc)

56

5.0

Landmark Group

Home Centre

(UAE)

주방용품 세트

- 소스 프라이팬 2개, 냄비 2개

95

3.9

주: 이 통계는 소재와 관계없이 모든 주방용품을 포함

자료원: Euromonitor, Souq

 

    - UAE 주방용품시장 내 상위 점유율을 보이는 글로벌 브랜드인 Tefal과 Prestige는 고품질의 제품을 저가로 판매하며 넓은 유통망을 가졌다는 3가지 이미지로 주방용품시장 내에서 오랫동안 자리함.

    - 각 기업은 타기업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매년 여름과 겨울에 개최되는 두바이 쇼핑 페스티벌(Dubai Shopping Festival)이나 화이트 프라이데이(White Friday)와 같은 행사를 통해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단일 제품이 아닌 다양한 구성품을 포함한 세트 형태의 제품을 판매함.

 

□ 유통구조

 

  ㅇ UAE 주방용품 유통구조

 

UAE 주방용품 유통구조

 

    - 초기 단계 혹은 소규모 거래 시 현지 법인 설립 없이 수입업체(Distributor)와 에이전트 거래를 통해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임. 특히 UAE 표준측량청의 규제 대상 품목의 경우, 인증 취득 과정에서 현지의 유효한 산업/무역 라이선스가 요구돼 수출 준비과정에서 현지 에이전시 선정이 선행되는 것이 보통임.

    - 수입업체의 보유 거래처를 토대로 가정용품 전문점, 하이퍼마켓, 백화점 등으로 납품이 이루어지므로 업체 선택에 신중해야 함.

 

  ㅇ UAE 주방용품 주요 유통채널

 

2017년 UAE 주방용품 주요 유통채널

주: 이 통계는 소재와 관계없이 모든 주방용품을 포함

자료원: Euromonitor

 

    - UAE 내 주방용품은 Home Centre, Ikea 등 가정용품 전문점을 통한 유통이 전체의 61%로 가장 많음. 그다음으로 Carrefour, Lulu Hypermarket 등 하이퍼마켓 및 슈퍼마켓을 통한 유통이 27.3%임.

    - 프리미엄 주방용품의 경우 Galeries Lafayette, Bloomingdale’s 등 대형 몰 내에 위치한 백화점을 통해 유통되며 전체 유통의 6.3% 비중을 차지함.

    - Souq, Noon 등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유통은 3.6%, Citruss TV 등 홈쇼핑을 통한 유통은 0.6%임. 인터넷 보급의 보편화에 따라 보다 편리한 쇼핑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유통의 비중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UAE 인터넷 쇼핑몰 Souq의 주방용품 할인 판매

자료원: souq.com

 

UAE 홈쇼핑 채널 Citruss TV의 주방용품 판매 모습

자료원: Citruss TV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user/CitrussTV)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해당 품목의 경우 현지의 수입관세율은 GCC 관세협정에 따라 5%가 적용되며, 부가가치세(VAT) 5%가 적용됨.

 

  ㅇ 식품에 접촉하는 제품인 주방용품은 ECAS 인증을 획득해야 함.

    - UAE의 표준측량청인 ESMA(Emirates Authority For Standardization & Metrology)가 제시하는 규제 준수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적합성 인증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를 획득해야 함.

    - 주방용품의 경우 용도와 소재에 따라 적용되는 표준이 상이하니 ESMA에 등록된 인증기관에 문의 요망

    - 등록된 인증기관은 ESMA 홈페이지(www.esma.gov.ae)에서 확인 가능함.

 

□ 시사점

 

  ㅇ TV, 인터넷 매체의 영향력으로 인한 소비자의 인식 개선

    - 최근 UAE 소비자들의 주방용품 품질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으며 비교적 고가이더라도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ㅇ UAE 내 알루미늄 제조산업 육성과 저가 제품의 시장 과점이 도전 과제

    - 중국, 인도, 파키스탄과 같이 비교적 저가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국가의 수입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국 기업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럽 브랜드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중국, 인도, 파키스탄의 브랜드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시장 내에서 적극적으로 어필할 필요가 있음.

 

  ㅇ 다양한 품목 보유가 중요하며 OEM 거래도 고려해볼 만하다는 현지 바이어의 의견

    - 현지 주방용품 수입업체의 구매담당자는 KOTRA 두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주방용품 브랜드의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이지만, 고품질이면서 Tefal, Prestige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함.

    -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다양한 품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지 시장 내에서 인지도 있는 브랜드와의 OEM 거래를 진출 방법으로 고려해볼 것을 조언함.

 

 

자료원: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Youtube, Souq, Citruss TV, 각 브랜드 웹사이트, 현지뉴스,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주방용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