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UAE 주얼리 시장동향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상목
  • 2017-12-21
  • 출처 : KOTRA
Keyword #UAE #주얼리

- 고가 귀금속 주얼리는 고전적인 디자인 예술미와 금전적 투자가치로 활용 -

- 명품뿐만 아니라, 고품질과 서비스로 세계적인 주얼리 브랜드 개발 필요 -



 

□ 시장 현황

 

  ㅇ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신변장식용품, 금 세공품, 은 세공품, 기타 세공품(Jewellery)

    - HS Code: 7113~7117

 

  ㅇ 선정 사유

    - 많은 관광객과 높은 국민소득으로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지, 목걸이 등 주얼리에 대한 관심도 높음. 현지 세계 유명 금시장(Gold Souk)이 있으며, 현지 금은 UAE의 수출과 수입 품목에서 각각 최상위 품목임.

 

  ㅇ 시장규모 및 동향


최근 3년 주요 범주별 주얼리시장 현황

(단위: 백만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external_image

자료원: 유로모니터

 

2016년 주요 품목별 시장 현황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원: 유로모니터


    - 주얼리시장은 약 112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약 31억 달러) 규모로 귀금속 중심의 주얼리인 Fine Jewellery와 저가의 패션 중심의 Costume Jewellery로 크게 양분됨.

    - 매년 전체 주얼리시장은 5~6%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Fine Jewellery시장은 고가 귀금속 시장으로 고전적인 디자인이 추세이며, 금전적 투자 용도로 이용됨. 자녀에게 상속, 유산적 가치로 이용됨.

    - 반면 Costume Jewellery 시장은 Fine Jewellery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시장으로 다양한 젊은 계층의 여성, 연인, 관광객들이 선호함. 최신 디자인 유행이 반영된 제품 선호함.

    - 의상와 함께 코디네이트 할 수 있는 패션 액세서리로 각광을 받고 있음.

 

□ 수입 현황

 

  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UAE 귀금속 수입현황(HS Code 7113.19 기준)

순위

국가명

수입액(백만 달러)

비중(%)

2014

2015

2016

2014

2015

2016

-

전체

9,512

7,063

6,702

100.00

100.00

100.00

1

인도

2,493

1,500

1,696

26.21

21.24

25.30

2

말레이시아

1,928

1,678

1,404

20.28

23.76

20.95

3

홍콩

747

752

816

7.85

10.66

12.17

4

이탈리아

750

463

396

7.88

6.56

5.91

5

프랑스

698

461

355

7.34

6.53

5.29

6

스위스

370

259

336

3.89

3.67

5.01

7

싱가포르

410

382

302

4.31

5.41

4.51

8

태국

284

189

215

2.99

2.67

3.21

9

바레인

298

266

150

3.14

3.76

2.23

10

중국

156

158

146

1.64

2.24

2.18

24

한국

20

13

15

0.21

0.19

0.2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인도(25%), 말레이시아(21%), 홍콩(12%) 순서로 UAE의 수입에 약 58%를 차지함.

    - UAE의 수출은 이라크, 카타르, 이란 등 약 49%가 중동지역으로 수출되고, 이외 주요 지역으로 인도 14%, 홍콩 5%를 차지함.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UAE의 대한국 수입액은 2016년 기준으로 1500만 달러를 나타냈으며, 점유율은 0.22%로  24위를 차지함.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주요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업체명

2014

2015

2016

Damas LLC

20.9

20.8

20.4

Joyalukkas Holdings

8.5

8.5

8.3

Malabar Group

5.7

5.8

5.8

Richemont (Dubai) FZE

4.5

4.6

4.6

Kalyan Jewellers India Pvt Ltd

3.5

4.1

4.3

Pure Gold Group

2.4

2.4

2.3

Tiffany & Co

2.2

2.3

2.3

Apparel Group

1.9

2.0

2.1

Jawad Business Group

0.7

0.7

0.7

M H Alshaya Co

0.6

0.6

0.6

Chanel Ltd FZE

0.4

0.4

0.4

LVMH Moët Hennessy Louis Vuitton SA

0.4

0.4

0.4

Chalhoub Group

0.3

0.3

0.3

LVMH Watches & Jewelry Middle East Ltd

0.3

0.3

0.3

Kering SA

0.2

0.2

0.2

Al Tayer Group

0.2

0.2

0.2

Chopard & Cie SA

0.2

0.2

0.2

Pandora A/S

0.2

0.2

0.2

Folli Follie Group

0.1

0.1

0.1

Salvatore Ferragamo SpA

0.1

0.1

0.1

Others

47.0

46.0

46.3

Total

100.0

100.0

100.0

자료원: 유로모니터


    - 현지 Damas사가 회사명과 동일한 브랜드명인 Damas와 Graff로 주얼리시장에서 두 자리 숫자인 20.4%를 차지해 1위를 기록

    -  Joyalukkas Holding(8.3%), Malabar Group(5.8%), Richemont(Dubai) FZE(4.6%)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시장점유율을 보인 반면에, 인도 기반인 Kalyan Jewellers India Pvt Ltd(4.3%)는 최근 약 1% 가까운 시장점유율 확대를 보임.

    - 현지 UAE 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서남아시아인이 주요 소비자가 되고 있음. 인도 주요 축제일인 Diwali 등 현지 쇼핑 축제와 연관돼 주요 매출 증가 요인이 되고 있음.


 주요 브랜드 TOP 10

순위

브랜드명

사진

회사명

홈페이지

1

Damas

 external_image

Damas LLC

damasjewellery.com

2

Joyalukkas

 external_image

Joyalukkas Holdings

joyalukkas.com

3

Malabar Gold

external_image

Malabar Group

malabargoldanddiamonds.com

4

Cartier

 external_image

Richemont(Dubai) FZE

cartier.ae

5

Kalyan Jewellers

external_image 

Kalyan Jewellers

India Pvt Ltd

candere.com

6

Pure Gold Jewellers

 external_image

Pure Gold Group

pugold.com

7

Tiffany & Co

 external_image

Tiffany & Co

international.tiffany.com

8

Aldo Accessories

 external_image

Apparel Group

aldoshoes.com

9

Accessorize

 external_image

Jawad Business Group

global.accessorize.com

10

Claire's

 external_image

M H Alshaya Co

claires.com

자료원: 유로모니터 및 브랜드 홈페이지

   

  ㅇ 관세율, 수입규제 및 유통구조

    - HS Code 7113~7117: 수입관세율 5%

    - 수입규제로 공통적인 제품에 대한 ESMA의 ECAS 필수 인증이 있음.

    - 유통구조는 온라인 유통 0.8%와 오프라인 유통은 주얼리 등 전문매장 92.8%, 백화점 3.8%, 하이퍼마켓 2.4% 순으로 유통됨.

 

□ 시사점

 

  ㅇ (상품가치 극대화) Fine Jewellery시장은 고가의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해당 귀금속의 가치 하락을 우려하지 않도록 프리미엄 부가서비스를 제공함.

    - 현지 고가 귀금속시장은 금전적 투자가치로 이용됨. 여기에 보다 고전적이며, 예술적인 디자인을 주어서, 좀 더 금전적 가치가 향상된다면 타 상품보다 우월한 매력적인 위치에 있을 것임. 현지의 다양한 수요자 계층을 세분화해 각 특징에 맞게 디자인 개발이 필요함.

    - 또한 이런 고가의 금전적 가치를 보증할 보험서비스와 재구매 서비스도 함께 다양한 프리미엄 사후 서비스를 개발해 제공한다면 럭셔리 고객층에 대한 확보와 함께 지속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며, 마케팅 이점과  함께 주요한 시장경쟁력 중에 하나가 될 것임.

 

  ㅇ (세계적인 주얼리 브랜드 육성 필요) 한국에서 제품 중간단계 반제품인 마운팅 제품 수출을 넘어서 세계의 다양한 최종 소비자까지 감당할 수 있는 주얼리 브랜드 육성이 필요함.

    - 주얼리와 관련된 보석 개발, 디자인, 가공기술 및 기계, 보석감정 전문 인력 및 설비, 사후서비스 등  제반 산업 성장이 필요함. 인력과 기술뿐만 아니라 채광, 제조, 유통, 마케팅까지 다루는 한국 주얼리산업이 세계 주얼리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요함.

    - 점차 전 세계적으로 고소득 계층 등의 경제인구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고부가가치인 주얼리의 세계 시장진출을 위한 산업 육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이런 액세서리 산업은 의류, 패션, 화장품, 미용 등 소비재 시장과도 관련돼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산업 육성이 필요함.

 

  ㅇ (전시회 등을 통한 시장 모니터링) 매년 현지에서는 주요 주얼리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음. 이와 관련된 전시회 참가를 통해서 중동아프리카의 주얼리 시장을 탐색해보는 것은 좋은 기회임.    

    - 두바이 국제보석 박람회(VOD Dubai International Jewellery)는 올해 2017년도에는 11월  15일부터 18일까지 개최됐음. 2018년도는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두바이에서 개최 예정임.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www.jewelleryshow.com) 참고.

    -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시계 및 주얼리 박람회(MidEast Watch & Jewellery Show)는 춘계(4월)와 추계(9월 또는10월)로 나뉘어서 매년 개최됨. 이번 2018년도는 춘계 박람회는 4월 3일부터 7일까지 샤르자 엑스포센터(Expo Centre Sharja)에서 개최 예정임.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www.mideastjewellery.com) 참고.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유로모니터,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UAE 주얼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