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9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 및 교역동향
  • 경제·무역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심수진
  • 2019-07-18
  • 출처 : KOTRA

- 베트남 상반기 경제성장률 6.76% 달성, 국제 금융기관 예상치도 낙관적 -

- 세계 경제 둔화, 무역긴장감 팽팽해지나 베트남은 FDI 제조중심의 수출 성장 확대 중 -

 

 


□ 2019년 상반기(1-6월) 베트남 경제동향

 

  ㅇ 2019년도 상반기 베트남 경제성장률 6.76% 달성  

    - 2019년도 7월 초 베트남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베트남의 GDP 성장률은 6.76%로 연초 베트남 정부에서 설정한 목표 6.8%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음.  

      · 베트남의 연도별 상반기 GDP 성장률 추이(%): (’15년) 6.28% → (’16년) 5.52% → (’17년) 5.73% → (’18년) 7,08% → (’19년) 6.76%


베트남의 주요 경제지표

(단위: %)

주요 지표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6

GDP(억 달러)

1,706

1,859

1,915

2,013

2,232

2,427

1,071

GDP성장률

5.4

6.0

6.7

6.2

6.81

7.08

6.76

1인당 GDP(달러)

1,900

2,049

2,088

2,172

2,385

2,587

-

도심 실업률

3.59

3.40

3.37

3.23

3.18

2.95

2.95

연평균물가상승률

6.60

4.09

0.63

2.67

3.53

3.54

2.64

자료: 국제금융기구(IMF), 아시아개발은행(ADB), 베트남 통계총국(GSO)

 

    - 2018년도 베트남은 7.08%이라는 이례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이룩했으며, 각 국제금융기관은 올해에는 작년 성장률보다 소폭 하락한 6.5~6.8%의 경제성장률을 전망

 

주요 국제금융기관의 베트남 경제 전망

기구명

2019년 경제성장률 전망

IMF(국제통화기금)

 6.5%(업데이트 시기: 2019년 7월)

WB(월드뱅크)

 6.6%(업데이트 시기: 2019년 7월)

ADB(아시아개발은행)

 6.8%(업데이트 시기: 2019년 4월)

 

  ㅇ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2.64% 상승해 경제 성장률 대비 안정적인 물가 기조

    - 2018년도 베트남이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여러 전문가들의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음. 또한 2019년 1월부터 최저임금이 5.3% 인상되면서 교육·의료 서비스 등 일부 분야의 가격이 상승했으며, 특히 연초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상승했음.

    - 그럼에도 불구 상반기 CPI지수는 2.64%로 전년대비 3.29%에 비해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 연초 베트남 정부에서 설정했던 목표(4% 이하로 통제)를 달성하고 있으며, 이는 당국의 인플레이션 통제 정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시사함.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도 상반기 항목별 CPI 지수 변화

 word_image

자료: 베트남 통계청,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 베트남의 대외 교역 동향

 

  ㅇ 지난 5개년 개발계획기간(2011-2015) 동안 베트남의 대외 교역액은 연평균 12.6%(수출액 13.7%, 수입액 11.6%)의 속도로 증가 했으며, 삼성 등을 비롯한 전자업계의 수출 본격화로 인해 2018년에는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각 2434억8328만 달러, 2366억8792만 달러를 기록해 67억9536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 달성

 

  ㅇ 최근 2019년 1~6월 베트남의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 1225억3324만 달러, 1209억 4415만 달러로 전년대비 각각 7.2%, 8.9%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해당 기간의 무역 수지는 15억8910만 달러 흑자로 양호한 실적 추이를 나타냄.


베트남의 대외 교역 동향

(단위: USD 백만, 증가율 %)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상반기

수출

132,033

(15.3)

150,217

(13.8)

162,017

(7.9)

176,581

(9.0)

214,019

(21.2)

243,483

(13.2)

122,533

(7.2)

수입

132,033

(16.0)

147,849

(12.0)

165,570

(12.0)

174,804

(5.6)

211,104

(20.8)

236,688

(11.1)

120,944

(8.9)

무역수지

0

2,368

-3,554

1,777

2,916

6,795

1,589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ㅇ 2019년도 상반기(1~6월) 기준, 베트남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1위), 중국(2위), 일본(3위), 한국(4위) 차지

    - 특히 인도의 거대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휴대폰 및 전자제품의 수요가 증가해왔으며, 삼성의 대베트남 투자 및 본격적 생산 라인 가동, AIFTA(아세안-인도 FTA) 탄력효과 등으로 인해 인도가 수출국 5위로 부상

      · 베트남의 대인도 수출액 동향(증감률): 2015년 - 25억 달러(-1.5), 2016년 - 27억 달러(8.7), 2017 - 38억 달러(39.9), 2018년 - 65억 달러(74.1)

 

  ㅇ 주요 수입국은 중국(1위), 한국(2위), 일본(3위), 대만(4위) 차지

    - 삼성·인텔 등의 글로벌 전자 업체들의 물동량 증가에 따른 관련 부품·소재의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2019년 상반기(1~6월) 베트남의 주요 교역국 현황

(단위: USD 10억, %)

순위

국가명

수출액(비중)


순위

국가명

수입액(비중)

1

미국

27.5(22.4)


1

중국

35.7(29.5)

2

중국

16.7(13.6)

2

한국

22.5(18.6)

3

일본

9.6(7.9)

3

일본

8.8(7.3)

4

한국

9.1(7.4)

4

대만

7.1(5.9)

5

인도

3.4(2.8)

5

미국

6.9(5.7)

6

독일

3.3(2.7)

6

태국

6.0(5.0)

7

네덜란드

3.2(2.6)

7

말레이시아

3.5(2.9)

8

홍콩

3.2(2.6)

8

인도네시아

2.7(2.2)

9

아랍에미리트

2.9(2.4)

9

호주

2.2(1.8)

10

태국

2.8(2.3)

10

인도

2.1(1.7)

기 타

40.8(33.2)

기 타

45,946(38.0)

합 계

122.5


합 계

120,944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2019년 베트남의 주요 수출입 품목

(단위: USD 백만, %)

순위

품목명

수출액(비중)


순위

품목명

수입액(비중)

1

전화기 및 그 부분품

23,495(19.2)

1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분품

23,904(19.8)

2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분품

15,521(12.7)

2

기계, 장비, 도구 및 기타 부속품

17,646(14.6)

3

섬유·의류제품

15,092(12.3)

3

직물

6,565(5.4)

4

신발류

8,740(7.1)

4

전화기 및 그 부분품

5,815(4.8)

5

기계, 장비, 도구 및 기타 부속품

8,235(6.7)

5

철강재

4,824(4.0)

6

목재 및 목제품

4,821(3.9)

6

플라스틱 원료

4,386(3.6)

7

수송수단 및 그 부속품

4,241(3.5)

7

비금속

3,155(2.6)

8

수산물

3,899(3.2)

8

플라스틱 제품

3,059(2.5)

9

철강재

2,225(1.7)

9

섬유·의류·신발의 원부자재

2,931(2.4)

10

카메라 및 그 부분품

2,124(1.7)

10

석유제품

2,713(2.2)

기 타

34,140(27.9)

기 타

45,946(38.0)

합 계

122,533


합 계

120,944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 한-베트남 교역·투자 동향

 

  ㅇ 2019년 상반기(1~6월) 대베트남 무역수지는 131억 달러 수준으로 전년대비 6% 증가했으며, 한-베트남 교역 규모는 330억6300만 달러,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각 231억 달러, 100억 달러로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국이자 5위 수입국, 4위 교역 상대국임.

 

한국의 대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USD 백만, %)

년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상반기

수출 (한→베)

22,352

(6.0)

27,771

(24.2)

32,630

(17.5)

47,754

(46.3)

48,622

(1.8)

23,094

(-1.9)

수입 (베→한)

7,990

(11.4)

9,805

(22.7)

12,495

(27.4)

16,177

(29.5)

19,643

(21.4)

9,969

(6.0)

무역수지

14,362

17,966

20,135

31,577

28,979

13,125

교역규모

30,342

32,576

45,125

63,931

68,265

33,063

: ( ) 안은 전년 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참고) 한국의 대베트남 주요 수출품목

(단위: USD 백만, %)

순위

수출품목명

2018년

수출액(비중)

2019년 상반기

수출액(비중)

1

반도체

10,939 (22.5)

5,664 (24.5)

2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8,909 (18.3)

3,124 (13.5)

3

무선통신기기

2,632 (5.4)

1,331 (5.8)

4

기구부품

2,332 (4.8)

1,068 (4.6)

5

합성수지

1,976 (4.1)

796 (3.4)

6

석유제품

1,659 (3.4)

733 (3.2)

7

플라스틱 제품

1,205 (2.5)

600 (2.6)

8

철강판

1,107 (2.3)

572 (2.5)

9

광학기기

1,049 (2.2)

526 (2.3)

10

자동차

944 (1.9)

513 (2.2)

기타

15,870 (32.6)

8,167 (35.4)

합계

48,622 (100.0)

23.094 (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MTI 3단위 기준)

 

(참고) 한국의 대베트남 주요 수입품목

(단위: USD 백만, %)


수입품목명

2018년

수입액(비중)

2019년 상반기

수출액(비중)

1

무선통신기기

4,838(24.6)

2,622(26.3)

2

의류

3,570(18.2)

1,508(15.1)

3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137(5.8)

733(7.4)

4

신변잡화

980(5.0)

510(5.1)

5

목재류

793(4.0)

358(3.6)

6

컴퓨터

539(2.7)

328(3.3)

7

산업용 전기기기

445(2.3)

228(2.3)

8

기구부품

417(2.1)

216(2.2)

9

영상기기

396(2.0)

185(1.9)

10

기타섬유제품

364(1.9)

172(1.7)

기타

6,164(31.4)

3,109(31.2)

합계

19,643(100.0)

9,969(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MTI 3단위 기준)

 

  ㅇ 2019년 상반기 FDI 동향

    - ‘88년~’19년 상반기(6월 20일) 누계를 기준으로 국가별 외국인투자는 한국이 투자건수 7905건, 투자금액 645억5000만 달러로 대베트남 최대 투자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투자 금액을 기준으로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약 18.4% 차지하고 있음.

      · 이어서 일본(4190건, 578.9억 달러), 싱가포르(2266건, 491.6억 달러), 대만(2645건, 319.2억만 달러) 순

    - 그러나 ’19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국가별 외국인투자(신규+증액)는 중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에서 18.1%의 비중을 차지하며 구간별 투자에서 최초로 1위로 나섰으며, 한국은 17.0% 투자비율로 2위로 밀려남.

      · 이어서 일본(15.1%), 홍콩(12.3%), 싱가포르(12.2%), 대만(4.9%) 순이며 중국의 경우 타이어제조, 철강, 화학제조 등 분야 등 4개 프로젝트에 총 8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대규모 투자로 강세를 보임.

 

 대베트남 국가별 투자 누적액 상위 8개국의 최근 5년 투자동향

(단위: USD 백만, 건)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

2018년

2019.1~6

1988~2019.6 누적

1

한국

6,983.2

(1,029)

6,895.8

(1,263)

7,801.8

(1,339)

5,928.5

(1,446)

1,766.2

(698)

64,551.2

(7,905)

2

일본

1,803.4

(475)

2,509.8

(574)

8,718.6

(601)

7,989.3

(630)

1,572.7

(327)

57,899.8

(4,190)

3

싱가포르

2,082.5

(204)

2,123.3

(309)

4,939.0

(271)

3,269.8

(295)

1,265.0

(163)

49,161.5

(2,266)

4

대만

1,468.2

(187)

1,351.6

(222)

1,162.6

(206)

679.5

(204)

515.3

(110)

31,927.3

(2,645)

5

홍콩

1,148.1

(150)

1,626.1

(228)

1,412.9

(232)

1,936.9

(242)

1,274.0

(181)

21,306.0

(1,554)

6

버진 아일랜드

1,217.3

(89)

826.3

(88)

487.3

(65)

534.6

(70)

400.8

(35)

21,274.9

(816)

7

중국

744.1

(210)

1,705.9

(358)

1,645.8

(380)

1,662.5

(479)

1,876.8

(362)

15,452.4

(2,461)

8

말레이시아

2,478.8

(49)

688.3

(68)

161.2

(47)

282.2

(54)

27.8

(24)

12,504.6

(599)

FDI 투자총계

24,115

(3,038)

22,379.7

(3,862)

30,783.1

(3,975)

25,572.8

(4,215)

10,347.1

(2,351)

351,655.6

(28,954)

주: 순서는 ‘88년~’19년 1~6월 누적 투자액순(6월 20일 기준)

 자료: 베트남 투자청


    - 한편, 상반기 기준 업종별로 한국 기업 총 투자의 89%가 제조업으로 약 15억7000만 달러 규모를 나타냈음. 정보통신업(0.6억 달러, 3.1%), 도소매 및 유지보수(0.4억 달러, 2.4%) 순으로 여전히 제조 분야의 투자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남.

 

(참고) 2018~2019년 상반기 한국 기업 주요 투자 프로젝트 현황

(단위: USD 백만)

연번

기업명

분야

투자금액

지역

1

H사

폴리프로필렌 & LPG 플랜트

1,201

Ba Ria Vung Tau(남부)

2

H사

폴리에스터, 나일론

210

Quang Nam(중부)

3

H사

태양광 개발

106

Ba Ria Vung Tau(남부)

4

S사

전자부품

100

Bac Giang(북부)

5

C사

신발 봉제

100

Dong Nai(남부)

6

F사

인테리어 소품

75

Dong Nai(남부)

7

S사

풍력개발

70

Binh Dinh(남부)

8

C사

목재가공

60

Long An(남부)

9

L사

부동산개발

47

Hanoi(북부)

10

M사

부동산개발

45

Ho Chi Minh(남부)

11

S사

플라스틱

45

Dong Nai(남부)

12

H사

카본

45

Binh Phuoc(남부)

13

S사

제약

40

Ho Chi Minh(남부)

14

S사

봉제, 섬유

40

Dong Nai(남부)

주: 신규 투자 중 투자신고액 4,000만 달러 이상 대형 프로젝트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 시사점

 

  ㅇ 상반기 베트남 경제는 양호한 성장 흐름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높은 대외적 변수 또한 존재

    - 각 국제금융기관들은 올해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을 6퍼센트 중후반대로 전망하며, 낙관적인 예측치를 보여줬으나 ㅿ베트남 국영기업의 더딘 민영화, ㅿ장기화 되는 미-중 무역전쟁의 부정적인 여파, ㅿ세계 경제 위축으로 인한 제조업의 성장 둔화, ㅿ은행 부문의 느린 개혁 등의 부정적 요소를 꼬집으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 할 것을 첨언함.

    - 베트남 세계은행 총재인 오스만 디오네(Ousmane Dione)는 대내외적 리스크의 현실화를 막기 위해 베트남은 거시경제 정책 컨트롤 타워를 강화하고 구조개혁을 강화 할 것을 권고했음.(7월, 언론 Vnexpress 인터뷰)

    - 베트남 기획투자부의 장관 응우엔 치 중(Nguyen Chi Dung)은 “2019년 상반기 세계 경제의 성장은 둔화됐으며, 국가 간 무역 긴장감이 팽팽해지고 있다. 그러나 큰 대외적 변수가 없다면 베트남은 올해 6.8%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함.

 

  ㅇ 베트남은 다자간 FTA에 적극 참여하는 등 대외 시장접근성을 확대해가고 있어 해외시장진출 교두보로서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여짐.

    - 베트남의 대세계 수출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상반기를 기준으로 인도가 베트남의 수출 5위국으로 부상하면서 아세안-인도FTA 활용 효과를 크게 나타내고 있음.

    - 지난 6월 30일 서명한 EU와의 FTA뿐만 아니라 EAEU 등 거대 경제권과의 FTA는 물론 CPTPP, RCEP 등 메가 FTA 추진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세계 주요 경제권을 아우르는 FTA 네트워크를 구성해 나가고 있어 해외시장 진출 요지로서 가치가 부상 중임.

 

 

자료: 국제금융기구(IMF), 아시아개발은행(ADB), 베트남 통계총국(GSO), 월드뱅크, 베트남 세관총국(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베트남 투자청,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9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 및 교역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