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코트디부아르 영유아용품시장 현황
  • 상품DB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이연주
  • 2019-06-17
  • 출처 : KOTRA

- 저가와 고가제품의 양극화가 명확한 시장으로 중국산과 유럽산 간 경쟁 치열 -

- 우수한 품질의 제품으로 중상류층 수입수요 공략 필요 -

 

□  시장 현황 및 동향


  o Enquete Statisfa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영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668억 달러로 추정

    - 코트디부아르 시장의 경우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수치나 통계가 부재한 가운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이나 수요는 꾸준한 것으로 판단됨.


  o 동 정보에서는 다양한 영유아용품 중에서도 장난감(HS 94035010), 영유아방 인테리어 관련 제품(HS 940360), 영유아복(HS 6111), 목욕용품/케어제품(HS 3304) 그리고 유모차 및 관련 액세서리(HS 871500)을 주로 다루고자 함


 

 코트디부아르 영유아의류 매장 전경

 

자료 : 무역관 자체 촬영 

 

  o 다른 소비재와 유사하게 저가시장에서 중국산이 홍수를 이루는 가운데 중상류층에서는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두드러짐.

  •     - 수입통계의 경우 중국산의 비중이 높으나 특별한 브랜드 상태로 수입되고 있지는 않아 유명한 제품을 꼽기가 어려움.

  •     - 반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산의 경우 영유아제품 전문매장을 통해 비싼 가격에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수입현황

 

  o 최근 3년간 통계로 살펴본 수입시장 수요는 해마다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다소 불안정함을 알 수 있음.

  •     - 국가 간 등락폭 역시 해마다 다른 양상을 띄고 있으나 저가제품은 중국, 고가제품은 유럽, 미국산 등이 주요 공급처인 것으로 판단됨.

    - 특징적인 점은 수입품에 꽤 높은 관세가 부과되어 통상 소매판매가의 최대 44%까지도 차지한다는 것임.


  o 세부 품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중국산이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 뒤를 이어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등이 고가제품을 내세워 시장에 진입하였으나 점유율을 중국에 크게 뒤쳐짐.

 

  o 한국산 영유아제품은 아직 시장에 진출했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나 일부 제품군에서 중고가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음.

 

  o 그 외 튀니지의 선전도 눈에 띄는데 특히 SAH사에서 7,100만 달러를 투자, 2017년 아부아소(Aboisso) 소재 공단에 4,000 m2 규모의 기저귀 생산 공장을 설립한 바 있음.

 

유모차 및 관련 제품(HS 871500) 수입 동향

(단위 : 달러, %)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증감율(17/18)

비중 (‘18)

1

중국

40,395

31,577

39,327

24.5

60.2

2

이탈리아

298

6,460

10,429

61.5

16.0

3

프랑스

15,911

8,772

8,241

-6.1

12.6

4

미국

1,438

11,344

2,380

-79.0

3.7

5

벨기에

915

781

1,863

138.6

2.9

6

가나

56

260

1,041

300.5

1.6

7

레바논

0

164

552

237.8

0.85

8

영국

2,047

1,403

538

-61.7

0.82

9

UAE

0

0

351

 

0.54

10

캐나다

174

60

188

215.7

0.29

41

한국

4,091

58

0

-100.0

0.0

합계

80,600

72,969

65,296

-10.5

10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영유아용 기저귀(HS 9619) 수입 동향

(단위 : 달러, %)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증감율(17/18)

비중 (‘18)

1

중국

1,638,894

2,191,269

1,822,480

-16.8

23.6

2

터키

1,725,412

2,247,611

1,796,355

-20.1

23.3

3

가나

613,264

852,973

1,431,922

67.9

18.5

4

이집트

635,126

765,037

687,337

-10.2

8.9

5

프랑스

599,996

613,798

470,348

-23.4

6.1

6

튀니지

525,076

160,682

356,839

122.1

4.6

7

인도

623

115

232,126

201,748.7

3.0

8

나이지리아

259,641

458,290

185,365

-59.6

2.4

9

그리스

0

0

174,386

 

2.3

10

말레이시아

10,153

12,032

147,006

1,121.8

1.9

46

한국

0

0

105

 

0.0

합계

6,819,206

8,024,595

7,722,246

-3.8

10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영유아용 의류 및 액세서리(HS 6111) 수입 동향

(단위 : 달러, %)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증감율 (17/18)

비중 (‘18)

1

중국

2,924,682

1,898,534

886,893

-53.3

65.3

2

인도네시아

76,174

180,588

164,559

-8.9

12.1

3

가나

85,499

52,353

114,200

118.1

8.4

4

프랑스

37,570

85,836

63,638

-25.9

4.7

5

태국

42,129

48,050

36,278

-24.5

2.7

6

인도

61,147

40,716

26,617

-32.2

2.0

7

스페인

109,501

20,672

18,559

-10.2

1.4

8

캄보디아

0

5,289

14,181

168.1

1.04

9

방글라데시

27,011

59,781

13,769

-77.0

1.01

10

터키

1,779

218

6,816

3,020.0

0.5

합계

3,405,377

2,422,511

1,357,878

-44.0

10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주요 제품/브랜드/기업 현황

 

  o 코트디부아르 혹은 서부아프리카에 기반을 둔 현지 브랜드도 일부 강세를 나타냄.

     - 화장품/뷰티제품, 향수 등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La Nouvelle Parfumerie Gandour사가 Bay Kiss Talc, Caline Caline Pikaboo, Familia 등의 영유아제품 브랜드 보유

     - 그 외 유통매장 등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1회용 기저귀 시장은 현지 브랜드인 Smiley 제품이 우위를 점함.

 

현지 유통매장에서 판매 중인 각종 영유아용품  

   

자료 : 아비장무역관 자체 촬영

  

  o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보고서와 같은 자료가 사실상 부재한 가운데, 산업부, 중소기업부 등의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2017년 초 기준 15여개의 업체들이 23개의 브랜드를 필두로 영유아용품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음.

 

  o 정부 발표 및 업계 분석에 따르면 각 분야별로 인기가 높은 브랜드는 다음과 같음.

  •     - 베이비로션 등 스킨케어 제품 : Doudou

  •     - 1회용 기저귀 : Smiley

  •     - 분유 : Laity


경쟁동향

 

  o 브랜드 가치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지 않은 저가 제품군에서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중국산의 시장 장악이 눈에 띔.

    - 그러나 브랜드로서 널리 알려진 기업/제품은 대부분 유럽을 비롯한 수입산이며, 특히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음.


현지 유명 브랜드 현황

브랜드

국가

주요 제품

주소/연락처

프랑스

영유아용 식품 (Bledina, Cerelac ), 기저귀, 목욕용품/케어제품

 Centre commercial Playce Marcory

Centre commercial Playce Riviera 

(+225) 2100 6767

(+225) 2201 7809

 

프랑스

장난감/완구, 유모차 관련 제품

 Centre commercial Playce Marcory

Centre commercial Playce Riviera 

(+225) 2100 6767

(+225) 2201 7809




프랑스

영유아용 의류 액세서리

 Centre commercial Playce Marcory

Centre commercial Playce Riviera 

(+225) 2100 6767

(+225) 2201 7809

이탈리아

 

 

장난감, 유모차 관련 제품

 Centre commercial Playce Marcory

Centre commercial Playce Riviera 

(+225) 2100 6767

(+225) 2201 7809 

Centre commercial Sococe 2 Plateaux

(+225) 2241 9200

레바논

장난감, 유모차 관련 제품, 영유아용 인테리어 제품

 

 

Orca Deco Angré

Orca Deco Marcory  

(+225) 2121 2474

자료 : 무역관 자체 조사


□  유통구조

 

  o 우선적으로는 대형 슈퍼마켓 등의 유통매장을 통해 공급되고 있음.

  •     - 코트디부아르의 경우 레바논계의 Groupe Prosuma*가 유통산업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있음.

  •      * 1966년 설립된 레바논계 대형 유통그룹으로 아비장 시내 4개 쇼핑몰을 운영중. 동 그룹이 보유한 슈퍼마켓 체인은 4(Sococe, Hayat, Cash Ivoire, Cash Center)이며 코트디부아르 전역에서 159개의 매장 보유

     

    Groupe Prosuma 보유 슈퍼마켓 브랜드


  o 이들 슈퍼마켓 영유아용품 코너에서 1회용 기저귀, 목용용품을 비롯한 각종 케어제품, 영유아용 식품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음.

  • 대중적인 브랜드 및 제품을 주로 취급하며 중국산 비중이 높음.


  •   o 또한 일부 중상류층을 겨낭하여 유럽, 미국 등 수입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독립매장도 찾아볼 수 있음. 

  •     - 무역관에서 직접 판매자를 방문 조사한 결과, 장난감과 의류를 주로 취급하는 A 업체의 경우 14~178 달러 사이 상당히 고가인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처는 프랑스, 미국, 터키 등

  •    - B 업체의 경우에도 프랑스, 미국 등에서 들여온 장난감, 의류, 액세러리 등을 판매하는 데 가격이 최소 14달러에서 128 달러로 역시 고가임.


외국 수입제품 취급 영유아용품 전문매장      

  

자료 : 아비장무역관 자체 촬영


o 또한 한국의 전통시장과 유사한 지역 시장(Treichville, Adjamé, Abobo 등)에서는 일반 서민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 주로 유통, 판매됨.           

  •     - 이러한 전통시장에서는 저가의 중국산이 주로 공급되고 있음.

 

□ 수입 제한

 

  o 수입규제 및 제한 조치는 별도 없으나 최근 들어 관련 제품에 유해물질 포함을 경고하는 언론 기사 등이 전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

  •     - 라우릴황산나트륨(SLS),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S) 등의 유해물질이 베이비로션 등의 케어제품, 기저귀, 영유아용 티슈 등에서 발견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를 촉구

 

□ 결론 및 시사점

 

  o 영유아제품의 경우 저가제품은 중국산, 고가제품은 유럽산 등 구매처가 명확히 구분되는 양상, 이른바 이중경제(dual economy)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음.

    - 이는 오랫동안 프랑스 식민지 시기를 거친 코트디부아르 경제 특징과 맥락을 같이 하는 부분이며, 특히 소비재 분야에서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음.


  o 한국산 제품의 수입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나 가격 대비 품질 경쟁력을 지닌 세부 품목군을 위시로 중상류층 소비자들을 겨냥한 진출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음.


  •     - 특히 아이들에게 필요한 제품으로 일정 구매력을 갖춘 부모들이 꾸준히 소비를 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 미루어볼 때 향후 시장 수요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됨.

 

  o 최근 3개년 통계로는 수입제품 수요가 다소 불안정해 보일 수 있으나 중상류층의 고가 수입제품에 대한 관심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두어야 함.

  •     - 현지 제품이나 중국산의 경우 중상류층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므로 아이들에게 최상의 제품을 사주고자 수입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할 필요가 있음.

 

자료 : www.abidjan.net, www.financialafrik.com, Groupe Prosuma 홈페이지, Cash Ivoire 등 유통매장, GTA, www.elina-elie.com ,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코트디부아르 영유아용품시장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