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라오스 과일 시장동향
  • 상품DB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정현서
  • 2019-05-20
  • 출처 : KOTRA

자금·기술 부족으로 과일 소비의 상당 부분을 태국, 베트남에 의존 -

- 한국 과일 소비수요 성장하나 높은 직거래 비용이 제약 -




 상품명 및 HS Code


   신선과일(HS Code 0804 ~ 0810)

 

□ 과일 시장동향


  ㅇ 라오스는 인구의 75%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지만 과일은 기술과 자금의 부족으로 인근국에서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라오스는 동남아 여느 국가와 마찬가지로 파인애플, 파파야, 망고 등 열대과일을 생산하지만 기술과 자금 부족으로 생산량이 시장의 수요를 맞추지 못해 태국, 베트남 등의 국가로부터 과일을 수입하고 있음.

    - 라오스 정부는 농업 진흥을 위해 여러가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쌀, 옥수수, 커피 등의 작물 재배에 자원을 투입하고 있어 과일 산업의 발달은 미비한 상황임.

    - 특히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식품 가공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투자를 유치하고자 하나 노동, 물류, 자본 등 관련 인프라 미비로 관련 산업의 성장은 매우 더딘 상황임.


  ㅇ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 증가, 높은 젊은 인구 비율, 도시화, 건강에 대한 관심 등의 영향으로 과일을 찾는 국내 소비자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

    - 라오스의 15세 이상 64세 미만 인구는 2010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60% 이상으로 라오스 소비시장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소득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에 힘입어 건강에 좋은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ㅇ 한류의 영향으로 K-Food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

    - TV, SNS, 동영상 포털 등을 통해 한국을 소개하는 콘텐츠 등에 노출되고 한국을 찾는 라오스 관광객의 수가 늘어나면서 한국산 과일인 딸기, 감귤, 배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

    - 한국산 신선과일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반응은 긍정적인 편이나 비교적 고가에 판매돼 프리미엄 과일로 인식되고 있음.


 수입동향 및 관세율


  ㅇ 라오스는 바다가 없이 5개의 국가로 둘러싸인 내륙국으로 KOTRA 비엔티안 무역관이 인터뷰한 과일 유통기업 G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신선과일을 임의 통관해 유통하므로 관세당국의 통계로 시장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함.

    - 라오스 정부가 발표한 최신 공식 수입통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HS Code 0804~0810의 총 수입액은 1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3300% 이상 증가했음.

    - 이 중 가장 수입량이 두드러진 품목은 망고, 망고스틴, 아보카도 등 라오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일의 분류인 HS Code 0804로 전년대비 44만% 이상 증가해 공식 통계를 신뢰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ㅇ 라오스에서 판매되는 상당수의 신선과일은 태국, 베트남, 중국 등 국경을 접한 국가에서 수입됨.

    - 라오스 과일 시장에서 유통되는 용안과 람부탄은 주로 베트남에서 수입되며 두리안사과오렌지파파야망고 등은 주로 태국에서 수입됨

    - 라오스는 냉동창고, 컨테이너 등 식품 보관 시스템이 발달되지 않아 소량주문을 선호하며 지리적으로 가깝고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는 태국과의 언제든지 재고 부담이 없는 거래에 익숙함.

    - 라오스 및 인근 국가에서 생산되지 않는 사과, 포도키위딸기 등의 과일은 생산지에서 태국으로 수입된 제품이 다시 라오스로 수입, 유통되고 있음.


라오스 신선과일 수입현황

 (단위: 천 달러, %)

주: 라오스 통계 기준(Direct)


1. HS Code 0804(대추야자·무화과·파인애플·아보카도·구아바·망고·망고스틴)

자료: Trade Map(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2. HS Code 0805(감귤류의 실)


자료: Trade Map(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3. HS Code 0806(도)

  자료: Trade Map (www.trademap.org, 2019.5.13. 확인)

 

  4. HS Code 0807(멜론(수박 포함), 포포(파파야))


자료 : Trade Map(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5. HS Code 0808(사과·배·마르멜로) 자료: Trade Map(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6. HS Code 0809(살구ㆍ체리ㆍ복숭아ㆍ자두ㆍ슬로)

자료: Trade Map(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7. HS Code 0810( 밖의 실)

자료: Trade Map (www.trademap.org, 2019.5.15. 확인)


 경쟁동향 및 주요 판매 제품


  ㅇ 라오스의 신선과일 중 라오스나 인근지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종은 주로 태국에서 재수입돼 판매되고 있음.

    - 주요 수입 품종은 사과, 배, 딸기, 포도 등이며 사과는 미국·뉴질랜드·호주·중국·태국, 배는 한국·태국·중국, 딸기는 한국·일본·태국, 포도는 미국·호주·뉴질랜드 등에서 생산된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 내륙국의 지리적 제약, 과일의 짧은 유통기간, 미비한 식품 운송 보관 시스템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선택권은 제약되며 소수의 수입 유통기업이 선택하는 제품이 시장에 판매되는 구조임.


  ㅇ 한국산 과일인 딸기, 배 등은 고급 슈퍼마켓 또는 한국 마트에서 판매되고 있음.

    - 고급 슈퍼마켓은 주로 태국에서 일부 물량을 떼와서 라오스에서 판매하는 형태이며 계절별로 딸기, 배, 사과 등 한국 특산품을 한국시중가의 2~3배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음.

    - 라오스 내 한국 마트에서는 소량의 물량을 비행기 배송을 통해서 판매하고 있으나 종류가 다양하지 않으며 판매주기도 일정하지 않은 일회적인 판매가 대부분임.


라오스에서 판매 중인 고급 수입과일

 

자료: KOTRA 비엔티안 무역


   관세율(단위: %)

HS Code

제품 설명

일반

MFN

한-아세안 (AKFTA)

 중-아세안(ACFTA)

아세안

(ATIGA)

0803

바나나-플랜틴(plantain) 포함

(신선하거나 건조한 것으로 한정)

40

40

0

0

0

0804

대추야자·무화과·아보카도

(신선하거나 건조한 것으로 한정)

30

30

0

0

0

파인애플·구아바·망고·망고스틴

(신선하거나 건조한 것으로 한정)

40

40

40

40

5

0805

오렌지·만다린·클레멘타인·윌킹·이와 유사한 감귤류 종·레몬·라임

40

0

40

40

5

그레이프프루트(포멜로우 포함)

40

0

0

0

5

0806

포도

(신선하거나 건조한 것으로 한정)

30

10

0

0

0

0807

수박·포포(papaw)[파파야(papaya)]

(신선한 것으로 한정)

40

5

40

40

5

기타 멜론

40

5

25

0

5

0808

사과·배·마르멜로

(신선한 것으로 한정)

30

10

0

30

0

0809

살구·체리·복숭아[넥터린 포함자두·슬로

(신선한 것으로 한정)

30

10

0

0

0

0810

밖의 과실(신선한 것으로 한정)

30

10

30

0

0

주: 2019년 기준

자료: Customs Tariff of Lao PDR, Ministry of Finance, 2016 

 

 유통구조


  ㅇ 라오스는 680만의 적은 인구와 내륙국으로 물류가 어려운 특성상 유통단계가 단순하고, 특히 식품 유통체계가 미비함. 

    - 수입업자가 수입, 도소매, 유통까지 모두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수입업체가 가격 결정권을 보유하고 있음.

    - 냉동 컨테이너, 냉동창고 등 식품 수입유통 체계가 미진해 유통기간이 짧고 소비량이 적어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제한이 되고 있음.


  ㅇ 고급 과일은 외국계 슈퍼마켓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인근지 등에서 생산되는 과일은 소매상이 도매시장에서 직접 물건을 떼와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고 있음.

    - 대표적인 과일 유통시장은 수도 비엔티안 왓타이 공항 근처에 위치한 ‘Sikhai’ 지역에 소재하고 있음.

    - 소수의 과일 도매수입상들이 태국, 베트남 과일 판매 기업에 주문한 과일을 소매상들이 구매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임.

    - 뉴질랜드·미국산 사과는 위 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취급이 어려운 딸기, 감귤, 배 등의 고급 과일은 위 시장에서 유통되지 않고 외국계 마트를 통해서 별도로 유통되고 있음.


‘Sikhai’ 과일 시장 전경

자료: KOTRA 비엔티안 무역


  ㅇ 과일, 소비재, 식품류는 태국, 중국, 베트남 국경을 맞댄 주변국에서 주로 수입되며 수입 관세 부가세 등을 적게 내기 위한 편법화통관이 일반화돼 있음.

    - KOTRA 비엔티안 무역관이 인터뷰한 Guang Dong food Supplies의 직원 A씨에 따르면, 라오스와 국가 간의 육로 국경에는 도소매상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함께 입국심사를 받아 정식 통관 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순한 입국심사 과정만을 거쳐 수입 관세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함.


라오스 내 주요 과일 유통 업체


자료: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  전망 시사점


  ㅇ 현지 과일 유통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필요

    - 라오스는 식품 보관 시스템이 발달되지 않아 많은 양을 한번에 수입하기 보다는 소량구매를 하거나 소비자의 선주문에 따라 물건을 수입해 판매하는 경우가 대다수임.

    - 특히 신선과일의 경우, 보관기간이 짧고 비용이 높아 운송비 및 최소주문수량 부담이 있는 한국과의 직거래보다는 태국, 베트남 등 인근 국가와의 거래를 선호하는 편임.


  ㅇ 한국 딸기, 배 등 고급 과일에 대한 수요는 존재

    - 한국산 딸기는 라오스에서 직접 재배되는 딸기 및 태국, 일본 등 경쟁국가에서 재배되는 딸기에 비해 당도가 높아 한국 딸기에 대한 선호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산 배도 과질이 단단해 라오스 소비자들 사이에 수요가 높음.

    - 신선식품 보관역량이 있는 업체와 직거래 등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존재함.



자료: Trade Map, 라오스 재무부,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인터뷰 등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라오스 과일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