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산업 현황
  • 트렌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박혜은
  • 2019-04-17
  • 출처 : KOTRA

-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 유통소비재 시장, 브랜드 라이선싱산업 -

- 유명인, 스포츠 스타의 브랜드를 활용한 라이선싱 활발 -

 

 

  

인도 경제발전과 라이선싱산업 현황

    

  ㅇ 명목 GDP 기준 세계 6위 시장, 빠른 성장세

    - 2018년 인도는 프랑스를 제치고 명목 GDP 기준 세계 6위 국가로 성장했으며 13억 인구를 바탕으로 한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음.

    - 2015년 이래 7~8%대의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IMF 등 세계 경제기관은 인도가 향후 10년간 전 세계 경제성장률 평균치의 2배를 상회하는 고속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ㅇ 인도 라이선싱산업의 글로벌 비중과 현황

    - 2017년 글로벌 라이선싱산업 조사(Global Licensing Industry Survey)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인도의 라이선싱 상품 매출은 139600만 달러로 세계 20위에 랭크됐음. 인도 라이선싱협회(LIMA)는 인도 경제의 높은 성장 잠재성을 언급하며 인도 라이선싱산업의 향후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음.

      · 인도 라이선싱 시장 규모: 13억8600만 달러(2016년 기준, GLIS), 12억 달러(2017년 기준, LIMA)

    - 인도의 라이선싱 및 상품화 시장의 규모는 전 세계 시장 대비 5~7%가량으로 추정되며 엔터테인먼트 라이선싱 시장은 4600만 달러, 패션 라이선싱은 59400만 달러, 스포츠 라이선싱의 경우는 3000만 달러가량으로 추정됨. 인도 자체 브랜드가 인도 라이선싱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미만으로 해외 라이선싱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디즈니는 1993년 인도 KK Modi 그룹과 파트너십을 맺고 인도 라이선싱 시장에 진출했으며 2001년에는 Turner IndiaCartoon Network Enterprises를 인도 내 설립했음.

    - 전체 패션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신발과 액세서리 제품을 중심으로 패션 라이선싱 분야의 매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장난감 시장이 매년 10~15%가량 성장하면서 캐릭터 라이선싱 분야의 주목을 받고 있음.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 시장 현황

 

  ㅇ 브랜드 라이선싱의 개념과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

    - 브랜드 라이선싱은 기업의 명칭, 로고, 트레이드 마크 등을 활용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제품을 생산하는 라이선싱산업의 일종임. 예를 들어 버거킹 로고가 인쇄된 티셔츠와 같이 한 기업이 시장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명세, 신뢰도를 활용해 이들 브랜드의 파생상품을 판매하는 방법임.

    - 인도는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했으나 낮은 도시화율(2011년 기준 32%)과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유통산업의 발전이 저조한 상황임. 인도 소매유통시장의 98.1%가 점포형 소매점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 점포형 소매점의 절대 다수가 동네 잡화점인 키라나(Kirana)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 인도 유통협회(RAI, 2016)는 백화점, 슈퍼마켓 등 현대화된 유통채널의 소비시장 내 비중이 10% 안팎에 불과할 것으로 추산했음.

    - 다만,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도입으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소비자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고 현대화된 오프라인 유통채널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이에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성장전망은 밝은 편이라 할 수 있음.


  ㅇ 인도 내 브랜드 라이선싱 활용 분야 및 주요 사례

    - 기업 브랜드, 디자인, 캐릭터, 연예인을 활용한 라이선싱은 의류, 액세사리, 전자제품 및 장난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특히, 인도 내에서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영화배우, 크리켓 선수들이 자체 브랜드를 론칭하고 여기서 파생된 상품을 출시하고 있음.

    - 제조기업들의 경우, 의류 분야의 Arvind BrandUS Polo, Page IndustriesJockey 이너웨어의 브랜드를 차용해 상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VideoconPhilips 텔레비전, BajajMorphy Richards의 가전제품 브랜드를 내세워 시장에 어필하고 있음. 기타 Future GroupSunkist 등 다양한 글로벌 식음료 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브랜드 라이선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음.


인도 유명인 브랜드 마케팅 주요 사례

유명인

브랜드명

관련 사진

살만 칸(Salman Chan), 배우

Being Human

 

샤히드 카푸르(Shahid Kapoor), 배우

SKULT

 

디피카 파두콘(Deepika Padukone), 배우

All About You

 

비랏 코흘리(Virat Kohli), 크리켓 선수

WROGN

 

유브라이 싱(Yuvrai Singh), 크리켓 선수

YWC

 

마헨드라 싱 도니(Mahendra Singh Dhoni), 크리켓 선수

Seven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현지 언론보도 자료 등으로부터 KOTRA 뉴델리 무역관 종합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 시장전망과 주요 진출, 활용사례


  ㅇ 전자상거래 확대 속, 주요 거래 품목의 다변화

    - 2015년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 이래 인도 유통소비재 시장의 화두는 전자상거래의 확대였음. 2017년 기준 Amazon이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에 53억 달러의 누적투자를 기록한 데 이어 Walmart가 인도 전자상거래 스타트업 Flipkart160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시장선점을 위한 글로벌 유통 공룡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음.

    - 인도 유통 소비재 시장은 열악한 교통 인프라와 낮은 도시화율 및 현대화된 유통채널의 부족으로 소비자 접근이 제한됐으나 온라인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며 이러한 진출 장벽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음. Amazon, Flipkart와 같은 종합 온라인 스토어뿐만 아니라 Jabong, Myntra(의상, 의류), Nykaa(화장품), BigBasket(식품) 등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온라인 스토어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2017년 기준으로 전자제품(48%), 의류(29%)가 전자상거래의 주요 매출 품목이었으나 전자상거래 거래 대상품목이 다변화되고 소비자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기존 패션 중심의 브랜드 라이선싱 대상 품목 또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ㅇ 주요 진출, 활용사례

    - 인도 프리미어 리그(IPL) 브랜드 라이선싱: 인도 크리켓 리그인 인도 프리미어 리그는 2007년 출범했으며 2018년 한 해 텔레비전 시청수가 460억 회를 상회하는 최고의 인기 스포츠임. 글로벌 컨설팅펌인 더프앤펠프스(Duff&Phelps)에 의하면 인도 프리미어 리그의 브랜드 가치는 2018년 기준 63억 달러에 달함. 인기 구단인 Mumbai Indian2018년 기준 브랜드 가치 1억 달러를 기록하며 최초로 1억 달러를 돌파한 구단이 됐음.(기타로 Kolkata Knight Riders: USD 9900, Royal Challengers Bangalore: USD 8800)

 

인도 크리켓 프리미어 리그 주요 마케팅 제품 사례

자료: 인도 프리미엄 리그(IPL) 웹사이트


    - 한류스타 BTS 굿즈 열풍: 세계적인 K-Pop 그룹 BTS는 인도 내에서 유튜브 등의 미디어를 통해 두꺼운 팬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BTS 관련 상품은 Amazon, Flipkart 등 인도 내 온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음.


Amazon IndiaBTS 관련 상품 사례

자료: 인도 아마존 웹사이트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 관련 제도


  ㅇ 인도 라이선싱 관련 법규

    - 인도의 경우 브랜드 라이선싱에 특정된 법은 없으며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여러 법의 내용에 맞춰 법리적 판단을 해야 함. 인도의 유통소비재 시장은 비조직화(Unorganized) 비율이 상당히 높아 이들 비조직화 소매업체들의 브랜드 무단 도용, 위조의 가능성을 충분히 염두에 둬야 함.

    - 지식재산권과 관련돼 개정 특허법(Patent Act, 2005), 상표법(Trademarks Act, 1999), 디자인법(Design Act, 2000) 등이 있으며 분야별로 정보기술법, 의약품 및 화장품법, 식품안전기준법, 관세법, 형법 등이 별도로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음.

      · 개정특허법: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회원국이 가입하는 트립스 협정 제27조를 준수하고 있으며 특허권자의 허가가 없는 특허상품의 제조, 제조절차의 사용, 판매, 홍보 등을 특허권 침해사례로 규정하고 있음. 특허권자는 특허권의 침해에 대해 사용금지 가처분 신청,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가 있음.

      · 상표법: 인도 및 외국산 상품의 상표 등록과 상표권 침해에 대한 민사 및 형사적 보호수단을 규정하고 있음.

      · 디자인법: 해당 법은 모양, 유형, 장식, 선의 구도, 색상 등을 포함하는 2D, 3D 형태의 산업디자인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보호기간은 10년이고 갱신 시 5년을 포함해 총 15년을 보장하고 있음. 디자인권의 침해에 대해 민사상 구제가 가능하며 형사처벌 규정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ㅇ 기타 상표법과 관련된 등록 관할지 소개

    - 인도 내에서 라이선스 계약체결 관련 주무부서는 인도 상공부 산하 특허, 디자인, 상표 관할국(Controller General of Patents, Design & Trade Marks).

    - 해당 기관의 사무소에서 라이선스 계약 체결 내용을 등록할 수가 있으며, 지역별 관할지는 다음과 같음.

 

인도 라이선스 계약 체결 관련 지역 사무소 현황

사무소 소재지

관할지

뉴델리

뉴델리. 잠무&카슈미르, 펀잡, 하리아나, 우타르 프라데시, 히마찰 프라데시, 우타르칸트, 찬디가르

뭄바이

마하라슈트라, 마디야 프라데시, 차티스가르, 고아

첸나이

안드라 프라데시, 탈렌가나, 케랄라, 타밀나두, 카르나타카, 푸두체리

콜카타

아루나찰 프라데시, 아쌈, 비하르, 오리싸, 웨스트벵갈, 마니푸르, 미조람, 메갈라야, 시킴, 트리푸라, 자르칸트, 나갈랜드, 안다만 제도

암다바드

구자라트, 라자스탄, 다만&디우, 다드라

자료: 인도 상공부


시사점


  ㅇ 확대되는 인도 유통소비재 시장, 브랜드 라이선싱 활용 진출기회 모색

    - 인도가 7~8%대의 고속성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데이터 통신의 도입과 빠른 도시화로 인해 소비시장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인도 유통소비재 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음.

    - 이와 함께 브랜드 라이선싱 시장 또한 성장성이 기대되는 바, 관련 기업의 인도 시장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임.

 

인도 라이선싱 관련 행사 내용

행사명

2019 인도 라이선싱 전시회

일시 및 장소

2019.7.8~9. 인도 뭄바이 Bombay Exhibition Centre(BEC)

세부사항

- 인도 라이선싱 전시회는 신생 라이선싱 기업들로 하여금 라이선싱 비즈니스 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및 다양한 라이선싱 제품군에 관한 설명을 제공함.

- 라이선스 인디아 주최인 이번 박람회는 글로벌 브랜드, 소매업체, 제조업체, 대형 라이선싱 기업, 에이전시 및 인플루엔서(Influencer)’ 간의 관계형성을 목표하며 딜메이킹(Deal Making) 및 새로운 트렌드 개발 부문을 다룰 예정임.

자료: 인도 라이선싱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ㅇ 5대 유망소비재의 대인도 수출 확대, 제품 포지셔닝의 Tool로 브랜드 마케팅 활용

    -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 철강, 화학 등 산업재에 집중됐던 대인도 수출품목이 최근 인도 소비시장의 확대 및 유통환경 개선과 함께 화장품, 패션의류, 식품 등 소비재 품목과 의료기기 등으로 확대되고 있음. KOTRA 뉴델리 무역관의 인터뷰에 따르면 현지 유통 분야 진출기업은 유튜브 등을 통해 한국 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식품과 화장품에 대한 인도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라고 했음.

    - 식품, 화장품 등 주요 소비재 품목에 대해 소비자의 인도 내 생산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높은 편으로 주요 소비층을 중심으로 외국산 식품,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한국산 소비재는 인도 소비자에게 다소 생소하기 때문에 제품 포지셔닝을 위해 브랜드 라이선싱의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 Samiksha Sarna A.Mng.

자료: 글로벌 라이선싱 산업조사 보고서, 인도 라이선싱협회 자료, 브랜드 라이선싱 관련 기업, 주요 인사 홈페이지 등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브랜드 라이선싱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