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동향 및 전망
  • 트렌드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종현
  • 2018-12-25
  • 출처 : KOTRA




1. 에티오피아 농업 및 원예산업 개요

 

에티오피아 농업 개요

 

  ㅇ 에티오피아는 전체 인구의 8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업 국가임. 농업 분야는 국가 GDP42%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연간 7% 이상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에티오피아 전체 수출액의 86%는 농산물이 차지하고 있음. 참고로 에티오피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서비스 분야 45%, 농업 35%, 제조업이 20%를 차지하고 있음.

 

  ㅇ 전체 국토 면적 중 농업에 활용 가능한 경작 가능 면적은 68%7350ha이나 실제 경작 면적은 1800ha에 불과함. 그만큼 경제적인 산업 인프라가 매우 취약해 관개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임.

 

  ㅇ 현재 에티오피아는 경제발전계획(GTP II)의 일환으로 세계은행(World Bank)이 실시하는 농업 개발 프로그램(Agriculture Growth Program. AGP II)을 통해 농업 실태 조사,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품질 경쟁력 제고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농업 부문 혁신을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음.

 

에티오피아 원예 부문 개요

 

  ㅇ 농업 분야 중 하나인 원예산업은 전체 농업 생산물 중 약 13%를 차지하며, 크게 3가지 화훼류(10%) 채소류(2%), 과일류(1%)로 나뉨. 선진국형 농업에서 원예농업이 차지하는 범위가 최소한 전체 농업 비율의 30%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에티오피아 농업에서 원예산업 비율은 약소하며 작물재배 불균형이 큰 편임.

 

  ㅇ 고질적으로 수입경제에 의존하는 에티오피아의 수출 3위 품목이 원예작물인 점을 감안할 때 원예산업은 에티오피아 정부의 수출주도정책에 따른 우선 육성 희망산업으로 집중적인 투자 및 발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함. 참고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수출 1위 품목은 커피, 2위는 참깨, 3위는 장미 및 채소임.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회계연도

화훼류

채소류

과일류

합계

2016/2017

174.35

39.37

4.88

218.6

2017/2018

200.91

43.675

5.725

250.31

2018/2019

218.52

40.34

7.73

266.59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ㅇ EHDA의 통계에 따르면 FY 2018/2019 기준 수출용 원예 총 생산액은 2억6659만 달러이며, 이 중 화훼류는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연간 증가율이 9%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함. 한편 채소류는 전체 수출액의 15%, 과일류는 3%를 차지하고 있음.

 

원예 생산 농지 개발 현황

(단위: ha)

회계연도

화훼류

채소류

과일류

허브류

합계

2016/2017

1,655

1,483

10,861

89

14,130

2017/2018

2,738

1,884

11,061

140

15,823

2018/2019

3,338

2,684

11,641

290

17,773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ㅇ EHDA의 통계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내 원예 생산 농지 중 화훼류가 전체 생산 가능 농지의 18%, 채소류는 15%, 과일류는 65%를 차지함. 에티오피아는 고도 1100~3000m 지대에서 작물이 재배돼 병해충으로 인한 손실은 30~40%의 감수가 보고되고 있으나, 병충해 방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정부에서 관리대책을 조사 및 수립 중에 있음.

 

  ㅇ 최근 들어 에티오피아 정부는 만성화된 국가외환 부족 사태를 타개하고자 수출산업 집중 투자를 통한 생산 공급 확대를 강조하고 있음. 특히 농업 분야에서 수출 확대를 목표로 투자 우대 조치와 지원책을 간구 중임. △ 농산물 품종 개발과 생산, △ 부가가치 원료 생산 △ 식물 보호용품 생산 등 3개 분야 투자에 면세 조치나 토지 사용료의 저감 등을 적용하는 방침을 세우고 있음.

 

2. 에티오피아 원예생산품 종류 및 주요 생산지대

 

화훼류

 

  ㅇ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국가에서 2번째로 큰 화훼 수출국임. 생산 원가 및 노동력이 저렴하면서도 유럽, 중동 등 수요가 꾸준한 지역에 지리적으로 인접해 신속한 배송 등 시장 접근성에 우위를 가지고 있음. 특히 발렌타인데이, 크리스마스 등 명절 및 행사 시즌 1~2달 전 급증하는 수요에 맞게 공급시기를 조절하고 있음.

 

  ㅇ EHDA의 통계에 따르면 FY 2016/2017 기준 화훼류 전체 수출액은 1억7435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 중 장미 수출액이 약 70%이상을 차지함. 에티오피아는 화훼 재배에 적합한 지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비옥한 토양인 100~400c에 이르는 유리한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어 전국 3338헥타르의 토지에서 카네이션, 국화, 화분 식물 등 다양한 꽃을 재배 및 공급하고 있음.

 

에티오피아 재배 화훼 종류

품목명

대표사진

품목명

대표사진

장미

 

수국

 

안개꽃

 

하이페리쿰

 

라벤더 꽃

 

스태틱

 

카네이션

 

국화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채소 및 과일류

 

  ㅇ 에티오피아는 열대 및 아열대지대로 유기농 채소 재배방식에 적합한 기후임. 현재 전국 곳곳에 40개 이상의 주정부 농가가 해외 직접투자 및 합작투자 형식의 자금 조달을 통해 운영되고 있음. 최근 엘리뇨 등 기후 변화 요인으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수출액이 2.6% 감소했으나, 에티오피아 정부는 채소 재배용으로 1만2000헥타르 토지를 개발하며 신규 투자 유치를 통한 민간 참여를 적극 장려하고 있음.

 

에티오피아 생산 채소 종류 

품목명

대표사진

품목명

대표사진

완두콩류

 

아스파라거스, 회향

 

브로콜리, 콜라비, 콜리플라워

 

대파, 시금치, 부추

 

셀러리

(줄기, 뿌리, )

 

양배추류

 

 

가지, 주키니, 오이

 

토마토류

 

양파류

 

감자, 고구마류

 

무류

 

파프리카, 고추류, 하바네로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ㅇ 에티오피아 생산 과일류는 아래와 같으나 망고, 바나나, 아보카도, 레몬, 파인애플, 토마토 이외의 과일은 애당초 수출용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내수시장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임.

 

에티오피아 생산 과일 종류

품목명

대표사진

품목명

대표사진

레몬, 오렌지

 

망고, 사과,

 

아보카도, 파파야, 바나나

 

파인애플

 

포도

 

복숭아, 승도복숭아, 자두, 살구

 

패션푸르츠, 딸기

 

호두류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허브류

 

  ㅇ 에티오피아 원예산업에서 허브 작물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소하며 대부분은 내수시장용으로 재배되고 있음. EHDA의 통계에 따르면 FY 2016/2017 기준 허브 생산을 위해 개발된 총 토지는 90헥타르에 불과하나, 해당 산업 투자자들과 향후 농가 수 50% 이상 확장을 검토 중에 있음.

 

에티오피아 재배 허브 종류

품목명

대표사진

품목명

대표사진

바질

 

로즈마리

 

 

파슬리

 

민트, 샐비어

 

고수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에티오피아 주요 생산지대 및 특징


연번

지역명

특징

1

Adiss Ababa - Oromia 지대

- 개발계획지역: 4,000ha

- 개발가능지역: 1,050ha

- 내륙운송거리(to Djibouti): 767km

2

Hawassa - Arbaminch 지대

- 개발계획지역: 2,000ha

- 개발가능지역: 1,781ha

- 내륙운송거리(to Djibouti): 1,008km

3

Awash, Diredawa, Harar - Somalia 지대

- 개발계획지역: 1,000ha

- 개발가능지역: 6,000ha

- 내륙운송거리(to Djibouti지역): 309km

4

Bahirdar, Abay Valley - South Gondar 지대

- 개발계획지역: 4,000ha

- 개발가능지역: 250ha

- 내륙운송거리(to Djibouti): 792km

- 내륙운송거리(to Sudan): 1,282km

5

Mekele, Raya - Alamata 지대

- 개발가능지역: 5,000ha

- 내륙운송거리(to Djibouti지역): 521km

6

Jimma 지대

재배 가능성 검토 중

7

Bahirdar, Konzila, beshergo 지대

재배 가능성 검토 중

8

Arbaminch, Abaya 지대

재배 가능성 검토 중

9

Raya, Mekele, Bale 지대

재배 가능성 검토 중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3. 원예 생산품별 상위 5대 수출국 및 수출규모

 

화훼류
 

연번

수출국

수출량(백만 kg)

수출액(백만 달러)

1

네덜란드

39.7

169.15

2

사우디아라비아

2.2

8.68

3

영국

2.03

8.02

4

미국

0.63

5.88

5

노르웨이

1.25

5.16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채소류(허브류 포함)


연번

수출국

수출량(백만 kg)

수출액(백만 달러)

1

소말리아

100.2

29

2

지부티

50.02

8.5

3

네덜란드

1.75

2.6

4

영국

0.56

1.3

5

러시아 연방

0.24

0.75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 과일류


연번

수출국

수출량(백만 kg)

수출액(백만 달러)

1

지부티

12.7

2.75

2

소말리아

9.2

2.22

3

사우디아라비아

0.36

1.54

4

아랍에미리트

0.24

0.83

5

나이지리아

0.061

0.23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4.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외국인 투자 현황 및 투자 인센티브

 

원예산업 외국인 투자 현황

 

  ㅇ 1995~2017년까지 누적 기준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분야의 평균 투자규모에 대한 정보는 외부 유출이 금지돼 확인하지 못했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투자 유치 실적은 총 118개에 달하고 있음. 전체 투자의 60% 이상이 외국인 집적투자 형태로 이뤄짐. 이는 전체 수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화훼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음.

 

  ㅇ 이는 베트남, 미얀마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의 농업 발전 형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에티오피아 정부는 농산물의 생산성을 향상해 품질 경쟁력을 통한 수출 확대를 목표로 투자 우대 조치와 지원책을 간구 중임. 농산물 품종 개발과 생산, △부가가치 원료 생산, △식물 보호용품 생산 등 3개 분야 투자에 면세 조치나 토지 사용료의 저감 등을 적용하는 방침을 세우고 있음.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투자 형태 및 실적

(단위: 개)

연번

투자 형태

화훼류

채소류

과일류

허브류

합계

1

현지기업

16

15

11

2

44

2

합작투자(JV)

4

1

1

1

7

3

외국인직접투자(FDI)

52

4

8

3

67

총계

72

20

20

6

118

자료원: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ㅇ 에티오피아 농업 부문은 잠재성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돼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로부터 투자가 저조해 발전에 한계를 보여옴. 이러한 이유는 에티오피아의 낮은 경제력과 부족한 정부예산으로 인해 대다수 농지개발사업의 경우 관개 수 설치 등 농업 인프라 구축에 유상차관에 의존하는 구조적인 문제점, △ 토지 보상에 대한 지방정부의 더딘 업무처리 및 능력 부족, 최근 2년간 지속된 국가 비상사태의 여파로 인한 잦은 공사 중단에 따른 지연 등으로 종합해볼 수 있음.

 

투자 인프라 및 인센티브 조건

 

  ㅇ 통상 정상적인 꾸준한 투자 유치가 실현될 경우 전년대비 5~10%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것이 보통이나 주요 투자 대상 지역인 Oromia(오리미아) 주-Somalia(소말리아) 주 간 영토 분쟁이 지속돼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됐음. 2018년도 상반기, 총리가 교체되면서 정세가 안정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 이후 해당 산업에 대한 투자 문의가 증가하고 있음.

 

  ㅇ (임차료, 전기/수도 요금) 원예공단 설립 시 토지 임차료는 지방정부 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투자지역별 인센티브 내역은 하기 홈페이지를 통해 필히 확인 요망. 전기/수도 요금은 섬유 봉제산업 등 타산업의 투자 여건과 동일함. 참고로 오로미아(Oromia) 주 임차료는 1헥타르당 US$4~7/년이며 암하라(Amhara) 주 임차료는 1헥타르당 US$6~28/년.

  

관련 정부기관 및 지원 내역

연번

관련 정부기관

홈페이지

지원 내역

1

  에티오피아 투자청

(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EIC)

www.investethiopia.gov.et

투자 절차

인센티브 내역 등

2

  에티오피아 원예개발기구

(Ethiopian Horticulture Development Agency, EHPEA)

www.ehpea.org

토지 라이선스

수출 증명서 발급

 

5.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SWOT 분석 및 투자진출 관련 유의사항

 

□ 원예산업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풍부한 재배 면적 및 관개 가능 토지

- 유리한 기후 조건(토양, 고도)

- 풍부한 노동력 및 저렴한 인권비

- 에티오피아 정부의 농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AGP)

- 수출주도정책에 따른 우선 육성 희망산업

- 수출기업 대상 면세 및 과세 유예

- 저렴한 산업용 전기, 용수 및 각종 지원 확대

- 병해충으로 인한 손실 상당

- 직원 숙련도 미흡 및 연구 역량 부족

- 종자 및 플랜트기계 미흡

- 토지 개발을 위한 불안정한 인프라로 생산활동 저해

- 원예산업에 특화된 투자 인센티브 부재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미국(AGOA), 유럽(EBA) 활용 시장진출 확대

- 물류여건 개선(아디스-지부티 철도 2019년 초 운행 예정)

- 중동, 유럽 등 수요가 꾸준한 지역에 지리적 인접성

- 건강 & 환경을 생각한 천연/유기농 제품 수요 급증

- 종족 간 영토분쟁으로 인한 소요 사태 시 재배 구간 안전 위협

- 종족 간 영토분쟁 등 정치적 불안요인 상존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투자진출 관련 유의사항

 

  ㅇ 원예산업 투자진출을 고려하는 대다수 해외 기업들은 무엇보다 값싼 노동력을 주목하고 있으나, 인건비 절감을 상쇄하는 물류비와 각종 Hidden cost를 고려해야 함.

 

  ㅇ 원예산업 전문가들에 따르면 재배 가능 토지 취득 이후 지방정부 및 인근 지역주민들과의 문화적 소통이 중요함.

 

  ㅇ 인근 지역주민들에게 일자리 제공 시 무엇보다 치밀한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에티오피아의 종교적 다양성과 종족 간 영토분쟁 등 예측 불가능한 돌발상황이나 문제 발생 시 이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한 대처능력 또한 필요함.



자료원: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원예산업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