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 휴대폰 악세서리 시장을 파헤치다
  • 상품DB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조명경
  • 2018-12-27
  • 출처 : KOTRA

- 핸드폰 사용 이용자 증폭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 수요 증대

- Big Phone.com, T shop 등 휴대폰 액세서리 전문 판매점 등장

- 아직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 초기 단계, 다양한 핸드폰 기종사용 등 시장 특성 파악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

   - 플라스틱제 : HS Code 3926.90 

   - 외부표면이 폴리우레탄제의 것이나 가죽으로 된 것 : HS Code 4202

   

□ 선정사유


지속적인 경제성장 젊은 소비증의 지속적인 확대에 힘입어 캄보디아의 모바일 이용자는 연일 급성장


1인당 2 이상의 핸드폰 소유한 경우가 다대하며(가격민감도가 높아 통신사별로 핸드폰을 소유) 핸드폰의 사용범위 지속적으로 네비게이션, 교통수단 예배, 모바일 결제 등으로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 시장 규모 및 동향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는 2017 기준 인구의 85% 육박하며( 12백만명), 스마트 이용자 48%, 페이스북 이용자는 6.8% 이를 정도로 빠른 속도로 모바일 이용자 급성장중


ㅇ 주로 판매되는 품목은 폰케이스, 강화유리커버, 충전선 등이며 최근 1,2년새 오토바이를 변형한 툭툭(Tuk-Tuk), 릭샤(Rickshaw)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차량용 핸드폰 액세서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


ㅇ 그러나 아직 시장 초기 단계로, 디자인 다양성은 제한적이며 기본적인 디자인의 제품이 주를 이룸. 케릭터를 활용한 디자인은 거의 미비하며 제품의 색깔 정도의 차이점이 있는 정도임.


ㅇ 최근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이어폰, 스피커 제품이 시장에 선보이기 시작하였지만 아직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실재 사용층은 아직 미미한 편


ㅇ 가격민감도가 높은 시장의 특성상 주로 저가의 중국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베트남, 태국 등을 통해 육로로 수입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그러나 최근 시장 전반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 말레이시아, 홍콩 등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서 조금씩 선보여지고 있음(수량은 아직 다소 미미한 수준


ㅇ 스마트폰은 브랜드별 벤더의 시장 점유율은 2017-2018 1년간 애플(35.75%), 삼성(23.87), 화웨이(11.56%), Oppo(9.57%) 으로 다양한 브랜드가 통용되어지고 있음

품목별 시장 가격 

품목명

사진

평균 시장 가격

비고

폰케이스

 

         3.5 US$ ~ 5 US$

*기능성 케이스 7 US$

기본 디자인 형태가 주를 이루며,

기능성 케이스는 판매량은 아직 미미함

블루투스

이어폰

 

11 US$ ~ 44 US$

기능, 디자인, 브랜드에 따라 가격 상이

케이블

 

4.5 US$

(2m, 3 in 1 기능 기준)

겔럭시, 아이폰, C Type 등 품목 다양하게 판매

핸드폰 용 광학렌즈

 

3.5 US$

아직 제품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이 낮으며, 몇몇 브랜드의 유통점에서만 판매되고 있음

이어폰

 

3.5 US$ ~ 4.5 US$

기본형 디자인이 주를 이룸

파워뱅크

 

10 US$ ~ 15 US$

(5,000 암페어 기준)

기본형의 디자인이 주를 이루며, 용량에 따라 가격대 상이

차량용

연결잭

 

7 US$ ~ 9.5 US$

(연결포트 2개기준)

기본형의 디자인이 주를 이루며, 릭샤(오토바이를 변형한 교통수단)에서 많이 사용됨

강화유리커버

 

8 US$ - 10 US$

기능, 디자인, 브랜드에 따라 가격 상이

사진출저 : miniso facebook 계정, Baseus 캄보디아 페이스북 계정, Konfulon 캄보디아 페이스북 계정


 수입 시장동향 및 관세, 인허가


2017년 캄보디아의 휴대폰 케이스(HS Code 4202, HS Code 3926.90) 수입액은 약 1.4억불으로 2년간 약 4% 증가함. 주요 수입국은 태국(47%)과 홍콩(22%)으로 수입액의 대부분을 차지


ㅇ 가격민감도가 높은 시장으로써 중국, 홍콩등에서의 저렴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그외 태국, 베트남으로 부터 육로로 수입되는 제품이 시장에서 크게 차지하는 형태


ㅇ 한국의 수입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다소 미미하나, 한국산 제품이 태국이나 베트남등의 인근지로부터 육로 혹은 개개인의 핸드캐리로 들여오는 경우가 다대하기 때문에, 사실상의 시장 규모는 통계치보다 최소 20% 가량 높을 것으로 예측 됨.


주요 국가별 휴대폰 케이스 수입동향(HS Code 4202 & HS Code 3926.90)

순위

(‘17합계기준)

국가

수입액 (단위 : 천불)

점유율(%)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전체

136,513

140,372

141,671

100

100

100

1

태국

69,708

65,599

66,895

51.1

46.7

47.2

2

홍콩

29,340

31,606

30,867

21.5

22.5

21.8

3

중국

19,132

22,264

25,045

14.0

15.9

17.7

4

대만

6,243

5,666

6,178

4.6

4.0

4.4

5

베트남

3,425

3,707

4,221

2.5

2.6

3.0

6

일본

2,222

3,170

1,846

1.6

2.3

1.3

7

한국

2,317

2,731

1,533

1.7

1.9

1.1

8

싱가포르

916

1,479

775

0.7

1.1

0.5

9

말레이시아

925

495

796

0.7

0.4

0.6

10

이태리

415

768

911

0.3

0.5

0.6

자료원 : Trade Map(mirrored data)


ㅇ  HS Code 4202의 일반관세는 7%, VAT 는 10% 이며 한-아세안 FTA 적용대상되는 일반품목으로 FTA 관세는 0%, VAT는 10%이다. 해당 HS Code 는 수입/수출시에 특별한 인증이나 인허가는 요구하지 않음.


ㅇ HS 3926.90 품목의 경우 HS Code 3926.90.44(관세 15%, VAT 10%), HS Code 3926.90.81, 3926.90.89(관세 35%, Special Tax 10%, VAT 10%), HS Code 3926.90.82(관세 35%, VAT10%) 외 항목들은  일반관세 15%, Special Tax 10%, VAT 10%가 부과됨. 3926.90 이하 항목의 경우 한-아세안 FTA 적용을 받지 않음.


 ㅇ HS Code 3926.90.41과 3926.90.55을 수입하는 경우에는, 수입 전 캄보디아 내무부(Ministry of Interior)의 사전 승인 및 라이센스를 발급받아야 하지만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특별한 인허가나 인증은 없음.


□ 경쟁동향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낮아 아직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의 특성에 따라, 저가의 중국제품이 크게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 현지 통신업체나 전문점을 통해 시장에 브랜드 인식을 높여가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가는 중. 중국산 휴대폰 악세사리의 캄보디아 수출량은 2015년1.9천만 불에서 2017년 2.5천만불로 3년간 꾸준히 성장

 

ㅇ 항공 운송 및 해상 운송의 발달이 아직 미미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소비재의 큰 부분이 아직 접경지인 태국이나 베트남을 통해서 육로로 유통되고 있어 수출입 통계상의 태국산 제품의 수입 비중이 높지만, 개중 중국산, 한국산 제품이 많이 섞여 있을 것으로 추정

 

ㅇ 특히 낮은 가격으로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산 제품이나, 최근 2,3년 동안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미니소(Miniso), 이온몰(Aeon Mall) 등의 일본 유통판매점에서 일본산 제품의 판매루트가 확대되면서 중국과 일본으로의 수입비중 또한 조금씩 늘어나고 있음. 


□ 유통구조


ㅇ 캄보디아에서는 ‘Phone Shop’ 이라는 형태의 개인 소규모 핸드폰 판매대를 통해 주로 휴대폰을 구입하는 형태가 전형적인 판매 형태의 모습


ㅇ 그러나 2017년 베트남 기업인 MWG에서 Big Phone(휴대폰 및 악세서리 전문 판매점) 캄보디아 지점을 개점, 캄보디아 기업인 T-Shop(스마트 악세서리 전문 판매점)이 프놈펜내 지점을 11개로 확대하는 등 전문 판매점이 3, 4년새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음.


ㅇ 일본 프렌차이즈인 미니소(Miniso)등의 글로벌 생활소비재 유통점이 캄보디아에 진출하며 다양한 자체 브랜드의 핸드폰 액세서리를 판매, 다양한 디자인과 일본 제품의 내구성에 대한 소비층의 신뢰를 바탕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꾸준히 확보하는 중 


ㅇ 캄보디아 자체 브랜드인 T Shop CEO 벙후어씨는, “캄보디아의 모바일 시장의 성장성을 전망하고 사업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였지만 현재 캄보디아의 최초 자체적인 프렌차이즈 브랜드가 되었으며 수도인 프놈펜을 포함해 현재 캄보디아 전역에 11개의 지점을 낼정도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공급회사와의 계약이 성장에서의 추진력이 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말레이시아 다양한 브랜드를 들여오고 있다.  매장고객이 대부분 18~25세의 젊은 층인만큼 캄보디아의 젊은 세대는 새로운 성능과 기능의 모바일 악세사리에 대한 수요가 높은만큼 해당 타켓층의 수요를 노리는 것이 시장진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조언함.   

주요 핸드폰 악세서리 판매점 형태

구분

Miniso

Phone Shop

T Shop

Big Phone.com

진출형태

일본 프렌차이즈 생활용품 유통점

현지 개인 운영 핸드폰 가입 소매점

현지기업, 스마트악세서리 전문점

베트남 프렌차이즈, 핸드폰기기 및 악세서리 전문

특징

- 자체 브랜드 제품 판매

- 최근 프놈펜에서 브랜드 인지도 제고 중(2017년 진출)

- 케릭터를 활용한 디자인제품 판매

- 핸드폰 판매점 형태

- 곁들여서 매장에서 핸드폰 악세서리 판매(소량)

- 스마트 액세서리 판매 전문

- 온라인 홈페이지(판매제품 상세설명, 온라인 구매가능)

- 핸드폰, 태블릿 기기 판매

- 온라인 홈페이지 운영(판매제품 상세설명, 구입은 오프라인으로만 가능)

핸드폰 액세서리

품목특징

일본제품 판매

(자체브랜드)

현지 도매점을 통해 유통(주로 중국, 베트남, 태국 수입제품)

중국, 미국, 말레이시아, 홍콩 등 다양한 브랜드 판매

베트남, 태국에서 수입, 판매

삼성, 애플외에도 화웨이, Oppo 등 다양한 핸드폰브랜드용 액세서리 판매

가격대

평균 가격대

가격대 저렴,

제품군 제한적

타 판매점 대비 가격대 높음(기능성 악세서리)

타 판매점 대비 가격대 저렴

매장개수

9

45

캄보디아상공회의소 등록기준

14

10

*도매시장은 비교대상에서 제외

) ”Phone Shop”은 소규모의 핸드폰 판매점 형태로 개인소유 판매대인 경우가 다대함

다양한 캄보디아 핸드폰 액세서리 판매점 형태

(왼쪽부터 전형적인 phone shop, Big Shop, Miniso, T shop 매장)


사진출저 : 무역관 자체촬영

□ 소비자 특성 분석


ㅇ 일반적으로 기기 액세서리에 관심이 많은 젊은 소비층이 주요 사용자이지만, 최근 핸드폰 거치대, 이어폰 등의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다양한 연령층의 핸드폰 액세서리 수요 증가 추세


ㅇ 최근 들어 다양한 디자인, 케릭터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식은 높아졌으나 소매치기 등의 경범죄에 대한 경계가 심하여 이동 중 자유롭게 휴대폰을 꺼내들지 못함. 주로 주머니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이상의 사이즈로 된 케이스에 대한 수요 낮으며 도난의 위험으로 인해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는 수요가 미미한 편


ㅇ 보안문제로 오토바이는 차량용 핸드폰 악세사리를 사용하지 않으나, 최근 오토바이를 변형한 형태의 툭툭이, 릭샤 사용자가 프놈펜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택시 예약 서비스 어플(Grab, Passapp), 네비게이션으로 휴대폰을 운전 중 활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 충전책, 케이블, 통화용 이어폰을 기본적으로 장착하는 경우가 많음


캄보디아의 릭샤 운전사가 핸드폰 액세서리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거치대, 연결잭, 차량용 충전기)

사진출저 : 무역관 자체촬영


□ 시사점 


ㅇ 캄보디아의 두터운 젊은 소비층과 모바일 시장의 급성장에 힘입어 그에 따른 휴대폰 악세사리 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됨. 성공적인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현지의 보안문제, 오토바이의 변형태인 릭샤 운전사들을 타겟하는 등 시장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품목 선택이 중요


ㅇ 한국산 제품에 대한 디자인 및 제품에 대한 질이 높으나, 가격민감도가 높은 시장인 만큼 주요 수입국인 중국, 홍콩 제푸메 비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 차별적인 기능성 제품으로 떠오르는 젊은 소비층을 겨냥하는 특정 타겟층을 대상으로 하는 진출 전략이 필요


캄보디아 자체 브랜드인 T Shop CEO 벙후어씨는, “캄보디아의 모바일 시장의 성장성을 전망하고 사업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였지만 현재 캄보디아의 최초 자체적인 프렌차이즈 브랜드가 되었으며 수도인 프놈펜을 포함해 현재 캄보디아 전역에 11개의 지점을 낼정도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공급회사와의 계약이 성장에서의 추진력이 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말레이시아 다양한 브랜드를 들여오고 있다.  매장고객이 대부분 18~25세의 젊은 층인만큼 캄보디아의 젊은 세대는 새로운 성능과 기능의 모바일 악세사리에 대한 수요가 높은만큼 해당 타켓층의 수요를 노리는 것이 시장진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조언함



자료원 : Statcounter, Open Institute Survey, Trade Map, Google Map, 기업 홈페이지 및 인터뷰,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휴대폰 악세서리 시장을 파헤치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