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블라디보스톡으로 천연가스 공급, 언제 될까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8-07-16
  • 출처 : KOTRA

- 블라디보스톡까지 가스관 연결은 완료 그러나 가정, 산업용 공급까지는 시간 소요될 것 -
- 현재 연해주 2곳을 비롯한 선도개발구역 위주로 가스 공급 작업 진행 중
-


 
□ 가즈프롬 회장, 블라디보스톡 가스화는 빨라야 2020년 시작?


  ㅇ 지난 7월 초, 모스크바에서 열린 가즈프롬 언론 간담회에서 알렉세이 밀러 회장은 ‘(한동안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던) 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를 재개할 계획’임을 언급
   - 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Владивосток СПГ)란 LNG 연료 생산 공장 및 해상 벙커링 시설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가즈프롬은 블라디보스톡 외에도 현재 채굴 중인 사할린-2를 비롯, 발틱 및 칼리닌그라드주 가스화 프로젝트를 보유 중
   - 한편, 지난 2016년 6월 가즈프롬은 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는 ‘시베리아의 힘(러중 가스 협력 프로젝트)‘ 등 거대 프로젝트로 당분간 추진 계획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음


  ㅇ 밀러 회장은 현재 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 투자 타당성 평가를 진행 중으로 만약 동 프로젝트가 확정된다면 그 시기는 2020년이 될 것이라 덧붙임


  ㅇ 가즈프롬은 애초 연해주 지역에 LNG 생산 공장을 설립, 아태지역으로 천연가스 수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① 천연가스 국제 시황 변동 및 ② 아태지역에서 가스 자체보다는 ‘가스 연료’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가스화 프로젝트 방향을 변경한 바 있음


  ㅇ 이에 지난 2017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제3차 동방경제포럼 기간 중 가즈프롬은 일본 미쓰이 상사와 ‘가스 연료 생산 및 해상 벙커링 분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함
   - 미쓰이 상사는 이미 사할린-2 가스 개발에 참여 중이며 총 12.5% 지분을 보유
   - 사할린-2 가스전 개발은 사할린 에너지 인베스트먼트 컴퍼니가 운영 중인 가운데 그 지분은 각각 가즈프롬(51%), Shell(26.5%), 미쓰이 상사(12.5%), 미쓰비시(10%)이 보유
   - LNG 연료 생산 목적의 천연가스 원료는 사할린-2를 비롯한 사하공화국 및 이르쿠츠크 지역 가스전을 통해 공급한다는 구상이며, 공장 후보지는 연해주 하산군 Perevoznoe 지역으로 연간 1500만톤 규모 생산을 목표로 함  


□ 러 평균 천연가스 보급률 67.2%, 극동러시아는 여전히 하위 수준


  ㅇ 2017년 초, 가즈프롬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평균 천연가스 보급률은 67.2%로 2006년 53.3%와 비교하면 10여년 만에 10% 이상 그 수치가 상승
   - 단, 지역 내 가정 및 공장까지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가스관을 비롯한 공급시설 등을 신규 설치, 정비해야 하며 러시아의 경우,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이 많아 가즈프롬의 천연가스 공급 속도는 점점 둔화되는 추세
   - 참고로 도시 내 천연가스 보급률은 평균 70%를 상회하지만 지방 및 시골로 갈수록 평균 보급률이 떨어지는데 이는 대략 57% 수준임


자료원 : 가즈프롬


  ㅇ 가스 보급률은 러시아 지역 및 주(州)별로도 큰 편차를 보임 


러시아 내 가스전 및 가스관 연결 현황

자료원 : 가즈프롬


  ㅇ 가장 큰 이유는 ① 현재 채굴 중인 가스전 자체가 러시아 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으며 ② 가스 보급률 관련 공사비용이 적지 않다는 것
   - 생산된 가스를 타 지역까지 전송 및 보급하기에는 제반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나 가즈프롬에서 동시다발적인 투자비용을 감당하는데 한계가 있음. 가즈프롬에 따르면 2005-2015년간 진행한 러시아 전역 가스 보급률 확대 프로젝트에 소요된 비용은 약 2,700억 달러
   - 이에 상대적으로 채굴지와 가까운 지역의 경우, 개별 주택으로의 천연가스 보급률이 높은 편


  ㅇ 가스 공급 관련 지역 내 시설 유무도 또 다른 원인임
   - 특히 극동러시아의 경우, 사할린과 같이 가스 채굴지를 보유하고 있는 지역을 제외하면 천연가스 보급 수준은 러시아 내 하위 수준


  ㅇ 주택 난방가격 인하 및 산업시설 유치 등을 위한 가스 공급은 필수적이나 커다란 영토와 산발적인 인구 구성, 예산 사정 등으로 러시아 내 가스 보급화는 어려울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 
   - 이에 알렉산더 노박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은 ‘러시아 전역에 가스를 100% 공급한다는 것은 실현 가능한 일이 아니며 ’시골 등 인프라 부족 지역의 경우,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함


자료원 : 현지 언론기사


자료원 : forum-msk.info


  ㅇ 러 정부는 ‘2012년 블라디보스톡 APEC’ 추진 과정에서 2009년부터 사할린 가스를 하바롭스크를 거쳐 블라디보스톡까지 공급하는 ‘사할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를 시작
   - 그 결과, 하바롭스크주의 경우 사할린 가스가 가스관 등을 통해 주도(州都) 하바롭스크시까지 공급되고 있음
   - 반면, 블라디보스톡 및 연해주의 경우, 아직 천연가스 공급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데 현재 블라디보스톡 내 천연가스가 공급되는 곳은 ① 루스키섬 소재 블라디보스톡 화력발전소(ТЭЦ)-2, ② 극동연방대 캠퍼스 등 일부에 불과
   - 가즈프롬 담당자 문의 결과, 2017년 연해주 나제진스크 및 미하일롭스크 선도개발구역(TOR) 내 인프라 공급을 위한 가스 연결 공사가 진행 중이며 즈베즈다 조선소가 위치한 발쇼이 카멘 선도개발구역의 경우, 가스 공급 연결을 완료


□ 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 벌써 20년째 이야기만?


  ㅇ 연해주 내 가스 보급이 최초로 공론화된 것은 지난 1995년 12월임
   - 사할린-1, 사할린-2 가스전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연해주에도 가스 공급을 확대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


  ㅇ 한동안 잠잠하던 연해주 가스 보급 프로젝트는 2007년, 당시 세르게이 다르킨 연해주지사 및 가스프롬이 ‘향후 5년 내 연해주 내 가스 공급 확대’ 협약을 체결하며 재언급


  ㅇ 2008년 2월, ‘2012 블라디보스톡 APEC 개최’가 확정되면서 당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2011년까지 연해주 가스 공급 완료’ 명령에 서명
   - 2009년 시작된 ‘사할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화 프로젝트는 2011년 9월 1차 공사를 마쳤으며 그 결과, 블라디보스톡 루스키섬 내 ‘블라디보스톡 화력발전소-2’와 극동연방대로의 가스 공급 시설이 구축됨
   - 이후 ‘2012-2015 연해주 가스 공급 프로젝트’ 추진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동 계획에 따르면 연해주 내 시골 마을까지 총 556km의 가스관을 연결하는 것과 주요 가스 수요처인 아르쬼 카지노 단지, 아르쬼 화력발전소, 나호드카 석유화학 공장, 나호드카 화력발전소 등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한다는 내용이 포함


  ㅇ 그러나 2012년 APEC을 앞두고 연해주지사가 변경되고 이후 예산 부족 등의 사유로 연해주 가스 공급 프로젝트는 무기한 연기
   - 이에 대해 가즈프롬은 프로젝트 계획은 다 준비되었는데 주정부를 비롯한 지방정부 측에서 가스 공급 시설 투자를 하지 않고 있어 진도가 나가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며, 주정부는 가스 공급 시설 관련 가즈프롬 측에서도 투자를 해야한다는 의견


  ㅇ 연해주정부 면담 시, ‘블라디보스톡까지 가스관 연결이 되어 있는가’라는 무역관 문의에 에너지 국장은 ‘사할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톡’ 본 가스관은 블라디보스톡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다만 동 가스관에서 개별 주택 및 아파트까지 연결되는 추가 가스관 연결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 


  ㅇ 지난 2018년 1월, 연해주 안드레이 타라센코 주지사 대리는 ‘2017-2021년 연해주 가정 및 산업용 가스 보급화’ 프로그램의 본격 추진을 언급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총 557억 루블 예산 중 9.44억 루블을 연해주정부 예산으로 투입하겠다고 밝힘


  ㅇ 가즈프롬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가즈프롬은 ‘극동 및 동시베리아 가스 보급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으며 특히 아래 선도개발구역(TOR)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해당 구역 내 가스 공급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을 강조
   - (연해주) 나제진스크 및 미하일롭스크 선도개발구역
   - (하바롭스크주) 콤소몰스크 선도개발구역
   - (사할린주) 고르늬 보즈두흐 선도개발구역
   - 그 외 2017년 8월, 연해주 발쇼이 카멘 선도개발구역 내 가스 공급 작업 완료


  ㅇ 그와 별도로 가즈프롬은 러-중 가스 협력 사업인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 관련 사하공화국(야쿠찌야) 및 아무르주 대상 가스관 설치 및 해당지역 내 가스 공급 작업을 2026년까지 진행 중임을 덧붙임


□ 시사점


  ㅇ 극동러 진출 관심기업의 주요 질문 중 하나는 가스 공급을 비롯한 전기, 수도 등 연해주 내 인프라 구축 상태임
   - 아직까지 주택 및 산업용 가스 공급이 더딘 관계로 현지는 아직까지 대부분 화력 발전 등을 통해 전력을 생산
   - 가스전이 있는 사할린주를 제외하고는 극동러시아 가스 공급은 러 평균 대비 낮은 수준으로 이 같은 이유로 극동러시아는 타 지역 대비, 전기세가 높음


  ㅇ 선도개발구역(TOR) 위주로 가즈프롬의 가스 공급 공사가 진행 중이나 여전히 속도는 더딘 편
   - 같은 선도개발구역이라도 연해주와 하바롭스크주 선도개발구역의 가스 요금 차이는 6배 가까이 나는데 이러한 이유로 일본기업 JSC Evergreen사는 연해주가 아닌 하바롭스크주 선도개발구역에서 온실 사업을 추진 중


  ㅇ 안드레이 타라센코 연해주지사 대리는 주택 및 산업시설 대상, 가스 공급화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으로 앞으로 연해주 가스화 작업이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연해주정부 면담, 가즈프롬, 현지 언론 및 KOTRA 블라디보스톡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블라디보스톡으로 천연가스 공급, 언제 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